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청소년들의 흡연

by 송민선 posted Jul 30, 2014 Views 2034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

청소년들의 흡연

요즘 청소년들 간의 문제점들이 많이 이슈 되고 있습니다.

< xml: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xml:namespace prefix = w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word" />그 중에 하나로 청소년 흡연입니다.

주변에 길가다가도 볼 수 있듯이 청소년들이 담배 피는 장면을 손쉽게 목격할 수 있습니다. 왜 청소년기에 흡연하는 것이 문제가 되는 걸까요?

청소년기는 장기가 성숙하지 않은 시기여서 16세 이하의 흡연으로 인한 신체적인 피해는 20세 이후 성년기에 처음 담배를 피기 시작했을 때의 피해의 3배에 이르는 피해를 입게 됩니다. 또한 청소년기에 흡연을 하게 되면 뇌졸중, 폐암, 췌장암, 후두암 등 각종 암에 노출 될 수 있으며 담배연기에는 4천 가지 이상의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고, 그 중 최소 250종이 암이나 병을 유발하는 물질이 들어있어 간접흡연 또한 심혈관질환인 심장마비와 뇌경색을 일으킬 수 있어 안전하다고 볼 순 없습니다. 청소년기 흡연은 우울증과도 연관이 있어 자살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무엇보다 청소년기 흡연자의 대다수가 성인기 흡연자로 이어지면서 평생 니코틴 의존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요즘은 남학생뿐만 아니라 여학생까지도 피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남학생이 담배를 피는 것도 문제가 되지만 여학생이 피는 것이 더 문제가 되는 이유는 여학생은 어른이 돼서 아이를 낳기 때문에 청소년기 때부터 담배를 피기 시작하면 기형아를 낳는 확률이 높습니다.

다행히 이 그래프를 보시다시피 청소년 예방 캠페인, 강의 등으로 흡연율이 줄어들고 있지만 아직까지 안심 할 순 없습니다.

흡연자가 금연자가 되는 것이 가장 힘들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흡연자들이 금연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

첫째, 흡연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에는 간단한 체조나 스트레칭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금연을 할 때에는 카페인이 들어간 커피나 콜라 말고 물이나 주스를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둘째, 혼자서 금연을 하는 것이 힘들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마음가짐입니다. 우리 모두 금연자가 되도록 노력해봅시다.

  경기관광고등학교 1학년 충반 송민선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624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323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7203
화성 동탄신도시 센터포인트 몰 건물화재 발생, 현재 화재 진압 중... (속보) 6 file 2017.02.04 최민규 21907
화성에 원숭이를? 3 file 2016.03.22 백미정 25347
화이트 데이 상술...소비계획 세워야 6 file 2016.03.20 이은아 19657
화장하는 청소년들 4 file 2016.04.24 신수빈 31166
화재 발생의 원인, 외장재 및 건물 구조가 영향 크게 미쳐 file 2018.03.01 정예현 19469
화재경보기가 울렸을 떄 2 file 2016.05.25 유승균 19710
화재는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른다 1 file 2020.09.22 정주은 11282
확진자 급등세에도 2달만에 봉쇄 완화하는 인도네시아 1 file 2020.06.30 오윤성 16033
환경 오염의 주범 일회용 컵, 정부가 규제한다 2 file 2018.09.11 이승은 15342
환경부의 층간소음 해결책..쓸모있나? file 2015.02.10 이광제 41110
환경실천연합회, 대기 환경 개선 위한 ‘대기를 살리는 청년들’ 서포터즈 모집 file 2022.06.13 이지원 6397
환경영향조사 마친 나주SRF 결정은? file 2020.05.14 김현수 9270
환경을 파괴하는 아보카도? file 2019.06.10 김예진 14481
환영받지 못하는 종이 빨대, 이대로 괜찮을까? 4 file 2019.02.25 이하랑 18716
황교안, 주목해야 할 보수진영의 대선주자 9 file 2017.02.22 김나현 19738
황교안의 선택... 그 방향은? 3 file 2017.02.18 최우혁 16049
후성유전, 이것의 정체는? file 2018.10.22 여다은 13368
휴가를 반기지 않는 반려견들 5 file 2016.08.11 임지민 16862
흉물속의 리그 file 2016.10.23 한종현 19995
흔들리던 새벽, 우리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file 2020.01.06 정다은 11394
흡연, 줄일 순 없는 걸까? file 2020.08.03 이수미 9343
흡연부스, 개선이 필요 합니다. 17 file 2016.02.25 최호진 29930
흡연자와 비흡연자, 갈등은 담배 연기를 타고... file 2017.11.29 오태준 16668
희망을 주는 무료 급식소와 취약계층의 피해... file 2020.02.12 정다현 9806
힘의 가치 2017.10.10 최지원 118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