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변질: 블레임 룩(blame; 비난, look; 주목)

by 4기조나은기자 posted Feb 28, 2017 Views 1612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순실 국정 농단 사건이 대한민국을 휩쓴 후 국민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그 관심이 변두리로 집중되는 것이 문제이다. , 일부 대중들이 사건 당사자나 현재 정치 상황보다 당사자들, 특히 사회 고위층의 패션이나 소지품 등의 부속적인 것들에 주목한다는 것이다.


옥스퍼드 사전이 선정한 2016 올해의 단어에는 ’post-truth‘라는 단어가 있다. 여기서 post라는 접두사는 특정 개념이 더 이상 중요하지 않거나 무관계해진 시간에 속하는 것이라는 뜻을 내포한다. 쉽게 말해서 진실이나 진리가 더 이상 중요하지 않거나 영향력이 없게 된 시기라는 뉘앙스가 강하다.


옥스퍼드 사전은 세간이 집중되었던 유럽 연합의 브렉시트 국민 투표와 미국 대선 당시 이 단어의 사용 빈도가 크게 증가했다고 기술했다. 이것은 비단 다른 국가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상황에도 꼭 들어맞는다.


이를 테면, 국정 농단 사건이 벌어진 이후 사람들의 관심이 최순실 일가에게 집중되면서 최순실 구두와 정유라 패딩이 포털 사이트 실시간 검색어 1위에 올랐던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것을 블레임(blame; 비난)과 룩(look; 외모, 주목)의 합성어인 블레임 룩이라고도 하는데, 즉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킨 인물이 언론 등을 통해 대중 앞에 등장했을 때 해당 인물의 의상 등 외관에 관심이 집중되는 현상을 말한다.

[출처: 뉴시스] *저작권자에게 사용 허가 받음*

[이미지 제공=뉴시스] *저작권자에게 사용 허가 받음*


사건의 본질에서 벗어난 가십성 기사 덕에 국민들은 고가 패딩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다. 정유라 패딩에 관해 최초로 보도한 기자는 정유라의 패딩이 캐나다산 고급 브랜드 '노비스' 제품으로 100만원을 호가하는 명품이라 주장했다. 정씨가 입고 있는 패딩과 티셔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강조하면서 성급히 블레임 룩 현상을 점친 기사내용은 식상하기 짝이 없다.


블레임 룩이라는 근본 없는 신조어가 사회현상처럼 자리 잡은 것은 꽤 오래 전 일이다. 20여 년 전인 1997, 탈옥수 신창원이 검거 됐을 당시 입었던 무지개색 티셔츠가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미소니사의 제품으로 알려지면서 전국의 시장에 미소니 모조품이 자리를 차지하였다. 욕하면서 따라한다는 블레임 룩의 탄생배경이다.


더 한심한 것은 기사내용의 왜곡이다. 기자가 노비스 패딩이라 지적한 정유라 패딩은 해당 회사의 제품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기사가 뜨고 난 뒤 해당 브랜드를 수입, 판매하는 업체 관계자는 "호기심에서 제품 확인을 문의하는 고객이 많아 이전 모델까지 모두 찾아봤지만 우리 제품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며 손사래를 쳤다. 패딩의 디테일이 노비스와 많이 다르다며 해당 제품이 자사 제품이 전혀 아니라는 업체의 발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보를 낸 기사는 내려지지 않고 있다. 무책임하게 검증 되지 않은 원본기사를 복사해 올린 수많은 기사들 역시 버젓이 살아있는 상태다.


옷차림 뿐 아니라 최근에는 화장품, 액세서리, 신발, 심지어 립밤까지도 뜨거운 화제가 되었다. 2016126일에 열린 국회 청문회에서 삼성전자 부회장인 이재용이 바른 립밤의 브랜드와 가격 등이 실시간 검색어에 올라 대중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

[출처: 부산일보] *저작권자에게 사용 허가 받음*

[이미지 출처=부산일보] *저작권자에게 사용 허가 받음*


허나 우리가 집중해야 할 것은 최순실이 검찰 출석 당시 신었던 구두가 아니라 최순실이 국정을 농단한 사실 자체이며, 정유라가 덴마크에서 체포될 때 입었던 패딩이 아니라 그의 죄를 낱낱이 파헤치는 것이고, 이재용이 청문회에서 사용한 립밤이 아니라 청문회에서의 그의 발언과 정경유착의 부정부패 행태이다.


이러한 주객전도 현상을 방지하고 대중들이 변두리에 현혹되지 않도록 하려면 시민들 스스로가 질 높은 정치의식을 가지고 비판적 대중으로서의 태도를 보여야 하고 절대 본질을 흐려서는 안 된다. 그렇지 않으면, 국민들은 또 다시 정치가들에게 미개한, ·돼지 같은 대중으로 인식될 것이다. 자극적이고 쓸모없는 내용을 보도하는 언론에 힘없이 휩쓸리지 않는 똑똑하고 굳건한 시민으로서 본보기를 보여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조나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방예진기자 2017.02.28 22:38

    국정농단 사태에 대해 진상 규명과 책임을 묻는 과정이 본래 의미에서 퇴색되어지고 있는 모습에 안타깝습니다. 발전된 대한민국을 만들어가는 주체가 국민임을 인식한 만큼, 보다 성숙한 시민의 자세를 가져야할 것 같습니다. 이번?사태를 통해?상업적인 부분에 이용하는 사람들에 대해 분별적인 태도를 가져야겠습니다.

  • ?
    4기신유정기자 2017.03.03 20:21
    국정농단 사태의 발생 이후 지금까지 많은 여론이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그런 과정에서 본질을 잃고 기사에서 말한 '블레임 룩'같은 일들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 안타까운 것 같습니다. 이번 사건이 잘 해결되고 앞으로 더 발전된 대한민국을 만들어가기 위해서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해결하는데에 중점을 두는 것이 중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한한나기자 2017.03.09 21:25
    국민들이 많이 실망하고 화가 많이 났다는것을 실감 할수 있겠네요 물론 좋은 현상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앞으로 국민들을 실망시키는 정치판이 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69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06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367
[기자수첩] 데이트폭력이 부른 비극...김포 반려견 유기 사건 1 file 2024.03.13 김진원 5439
[기자수첩] 다시 등장한 범죄자신상 사이트...'사적 심판' 확산 file 2024.05.18 김진원 3087
[기자수첩] 노키즈존은 차별...'케어키즈존'이 필요하다 file 2023.12.31 심이슬 5855
[기자수첩] 광주 중학생들 대낮에 금은방 털어...'촉법소년' 처벌 높여야 file 2023.05.06 김휘진 6167
[기자수첩] 공정위는 왜 통신3사에 과징금 336억원을 부과했을까 file 2023.06.29 김휘진 5202
[기자수첩] SKT 인공지능 '에이닷' 출시에...통신비밀법 해석 이견 file 2023.11.24 김휘진 4685
[기자수첩] AI, 인공지능이 규제되어야 하는 3가지 이유 file 2023.07.26 서예영 10791
[기자수첩] 9호선, 공항철도 직결 합의...인천시민 '기대' file 2023.12.31 박서율 5355
[기자수첩] 8.14 위안부 수요시위는 평화를 외쳤다 2023.10.20 정세윤 5223
[기자수첩] '노키즈존'은 혐오 표현...아동 차별에 반대한다 file 2023.07.21 김하은 7281
[기자수첩] '검정 고무신' 작가의 죽음이 사회에 남긴 것 file 2023.04.12 김진원 7537
[기자수첩] "시간 많이 썼는데"...고1 6월 모의고사 문제오류에 수험생들 당혹 file 2023.06.29 정현정 10049
[기자수첩] "공사장에서 부려먹고 학대"...탄현동 헤드록 살인사건의 전말 file 2023.09.16 김진원 6736
[공지]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콘텐츠 업데이트 일자 안내 file 2017.01.06 온라인뉴스팀 16220
[공동취재] 기획기사 ③ 꿀잠, 그래서 뭐 하는 곳인데? file 2021.12.27 이유림 7517
[공동취재] 기획기사 ② 비정규노동자들의 쉼터 ‘꿀잠’, 재개발 속 부딪히는 이해관계 file 2021.12.27 함지원 7554
[공동취재] 기획기사 ① 신길 2구역 “재개발만으로는 설명 불가능하다” file 2021.12.24 오정우 9365
[PICK] 중국 기업 CEO들의 대거 사퇴.. 중국의 자유시장 위협받다 file 2021.09.02 이성훈 250990
[PICK] 백신 맞으려고 모의고사 접수? 절반이 25세 이상 file 2021.07.20 김해린 92186
[PICK] 독일 연방하원 선거... '혼전' file 2021.06.24 오지원 87601
[PICK] 델타 변이 바이러스, 한명 당 평균 9명에게 전파 file 2021.08.27 김해린 127469
[PICK] 고위공직자 범죄 수사처와 검찰의 연이은 이첩 분쟁, 향후 미래는 file 2021.06.28 김민성 88787
[PICK] 美과 中의 양보없는 줄다리기, 흔들리는 지구촌 file 2021.07.07 한형준 92000
[:: 경기도의 9시 등교, 시행해본 결과는 ...?? ::] 2014.09.16 장세곤 21053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20501
[4.7 서울시장 선거] '이분법정치의 패배'...네거티브는 먹히지 않았다 file 2021.04.09 김도원 9645
[3.1절 97주년 기념] 3.1절은 쉬는 날? 1 file 2016.03.25 김미래 17593
UN반기문의 대선출마선언 가능한가?? 7 2017.01.20 한한나 16450
UAE 홈 팬들의 물병 투척, 당당하지 못한 행동 file 2019.01.31 박상은 10556
TV, 혈전으로의 죽음 위험증가 file 2016.07.28 양유나 15308
TOEIC 시험 중 들린 소음 file 2018.10.23 정예은 10995
TIMES와 종이신문의 그림자 4 file 2016.05.25 김초영 21921
SRF 열병합 발전소 신재생에너지의 빛인가? 어둠인가? 1 file 2018.02.28 이현규 16379
SNS상 신조어 사용, 영화 말모이를 통해 돌아보다 3 file 2019.02.01 김수민 23617
SNS는 사람이다 file 2019.11.29 전혜은 14719
SNS가 되어버린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1 file 2018.08.16 지윤솔 10746
SNS 마케팅에 대하여 1 file 2019.02.21 김세진 13001
Snapmaker 2.0 , 킥스타터에서 3D프린터의 틀을 깨다 2019.05.30 박진서 12419
SKY 캐슬, 그리고 우리나라의 현실 2 file 2019.02.26 김성철 15766
SBS, 또 터진 일베논란 3 file 2017.05.22 추연종 15973
S-OIL, 샤힌 프로젝트에 9조원 투자...2026년 6월 완공 file 2023.03.10 디지털이슈팀 6188
Review 2008,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란? file 2018.11.19 이호찬 13666
PK8303의 추락. 이유와 결과 2020.06.10 이혁재 7584
PB상품, 득일까 독일까? 4 file 2017.07.26 서주현 11293
OECD 국가 중 만 18세에게 선거권을 주지 않는 나라는 우리나라 뿐 2 file 2018.04.05 김선웅 21598
OCN의 긴급 편성 변경, 논란이 되고 있는 이유 1 file 2019.09.25 정은재 9498
Netflix가 시작한 OTT서비스, 과연 승자는 누구일까? file 2019.12.24 이지현 132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