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청소년 언어문화, 이대로 괜찮은가?

by 장한 posted Jul 27, 2014 Views 3060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청소년 언어문화, 이대로 괜찮은가?

        사회적 논란거리가 된 청소년 언어문화, 그 이유는 무엇일까?


  청소년의 언어는 그들만의 문화를 형성해왔고, 엄청난 회전률과 신속성을 띈다. 이러한 특성은 SNS을 활성화하고 인간관계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커다란 문제 숨어있다.


  청소년의 언어 문화가 사회적 논란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 청소년 언어문제는 크게 3가지로 구분지을 수 있다.

우선, 신조어들과, 줄임말, 올바르지 못한 맞춤법등은 일상생활과 SNS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신조어의 사용은 세대차이 정도의 수준을 넘어 문장저체르 알아들을 수 없는 수준이 되었다. 올바르지 못한 맞춤법의 사용은 공공연히 이우어지고 있고 지금은 맞춤법을 틀리는 것에대해 전혀 개의치 않을 뿐 아니라 당연시 한다. 더욱 심각한 것은 청소년들이 자신이 사용하는 문장이 무엇이 잘못 되었는지 조차 모른다는 것이다. 청소년들의 잘못된 언어의 사용은 국어의 근간을 흔드는 커다란 문제로 이어진다.

또, 청소년 언어의 장점이자 특성이었던 신속성은 가벼운 인간관게와 예절 파괴로 변신해 나타난다. 미디어의 발전과 그 중심에선 청소년들은 인간관계을 가벼히 여기고 기본적으로 지켜야할 언어 예절에 대해 망각하고 있다. 광범위하고 일회적인 관게의 폭은 넓지만 그 깊이는 그에 미치지 못한다. 이러한 가벼운 인간관계와 청소년의 언어가 합쳐져 사이버 폭력, 명예훼손과 같은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위의 문제를 일으키는 복합적인 원인은 폭력성이다. 청소년 언어의 폭력성은 이전부터 집중되어져 왔지만 그 정도는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이제는 비속어를 접두사와 접미사로 쓴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비속어의 사용빈도가 높아졌고 수위 또한 높아졌다. 그러나 이러한 폭력성은 단지 언어의 문제가 아니라 학교폭려, 언어폭력, 사이버 폭력등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청소년 언어 문화는 사회 문제와도 관련서이 크기 때문에 개선방안이 시급하다. 현재 학교에서는 동영상 교육을 실시하거나 벌점제를 통해 청소년의 비속어 사용에 대한 제제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 시행되고 있는 방법은 일회성이 너무 크다. 또한 청소년의 언어 문화를 억제하는 방식은 옳지 않다. 그 이유는 청소년들이 비속어를 사용하는 이유에 있다. 청소년의 96%가 비속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 중 42%가 스트레스와 화가나는 감정때문이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도대체 왜 스트레스를 받는가? 우리가 주목 해야할 점은 바로 이곳이다. 청소년은 무한 경쟁체제 속에서 학업에 대한 부담을 계속 지고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와 분노는 비속어로 표출된다. 때문에 획일적이고 일회적인 교육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폭력성이 심한 청소년은 심층 상담을 통해 원인과 개선방안을 개개인에 맞게 고민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청소년 스스로 개선하려는 의식과 자세이다. 이를 위해서 본인이 어느 정도로 비속어를 사용 하는지 스스로 알게하거나 캠페인을 하는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말 청소년의 언어 습관이 개선 되기를 원한다면 우리의 태도가 바뀌어야 한다. 우리 모두가 청소년의 언어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함께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청소년의 비속어 사용 이유 통계 출처 : 문화체육 관관부


2017-07-27

장은영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623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321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7185
Greatest Fakes, China file 2016.08.25 정채현 52739
청소년 언어문제 , 욕설문제 해결이 우선 file 2014.07.27 이동우 53830
진실을 숨기는 학교와 언론사···그 내막을 밝히다. 7 file 2017.02.11 서상겸 53879
공정무역의 가면을 쓴 불공정 무역 4 file 2016.09.25 노태인 55439
문이과 통합교육과정에 따른 문제점 2 file 2016.03.25 조해원 57386
소년법 폐지를 둘러싼 찬반 양론, 소년 범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1 file 2018.01.02 이지현 58009
뜨겁게 불타올랐던 133일의 끝, 마침내 봄이 오다 1 file 2017.03.21 4기류지현기자 63831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7 소손 원인 발표 ··· "죄송하며 감사하다." 3 file 2017.01.23 이정수 64490
청소년들의 비속어 사용,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file 2017.10.30 주진희 67399
청소년들의 언어사용 실태 5 file 2016.10.25 김나연 68708
[PICK] 독일 연방하원 선거... '혼전' file 2021.06.24 오지원 87493
[PICK] 고위공직자 범죄 수사처와 검찰의 연이은 이첩 분쟁, 향후 미래는 file 2021.06.28 김민성 88690
[PICK] 美과 中의 양보없는 줄다리기, 흔들리는 지구촌 file 2021.07.07 한형준 91886
[PICK] 백신 맞으려고 모의고사 접수? 절반이 25세 이상 file 2021.07.20 김해린 92087
4.7 보궐선거의 결과 그리고 그 이후의 행보 file 2021.04.26 백정훈 104244
KAI의 국산 수송기 개발 계획 어떤 수송기 만들려는 건가 file 2021.04.29 하상현 107356
미 증시 S&P500 신고가 경신…지나친 낙관적 태도 자제해야 file 2020.08.21 이민기 115323
[PICK] 델타 변이 바이러스, 한명 당 평균 9명에게 전파 file 2021.08.27 김해린 127325
"여주인님으로 모신다면.." 미성년자 상대 페이스북 변태행위 심각 15 file 2016.02.22 김현승 157075
ISIS' cultural atrocities in the Middle East 1 file 2016.06.25 정채현 164157
[PICK] 중국 기업 CEO들의 대거 사퇴.. 중국의 자유시장 위협받다 file 2021.09.02 이성훈 250821
페이스북과 유튜브, 오류의 원인은? file 2018.11.08 김란경 4253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