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계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인형 뽑기'를 그만둘 수 없는 이유

by 4기이혜진기자 posted Feb 19, 2017 Views 1975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국정 농단이나 장기 불황 같은 눈살 찌푸려지는 이야기만 가득한 희망 상실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요즘, 소소한 것에서 행복을 찾는 '행운 마케팅'이 각광받고 있는 추세다.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열풍이 불고 있는 '인형 뽑기 방' 이 행운 마케팅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KakaoTalk_20170212_18344732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혜진기자]

(한 학생이 인형 뽑기 기계 앞에서 돈을 넣으려고 하는 모습이다.)


인형뽑기.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혜진기자]

(실제 인형 뽑기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인형 뽑기 방'은 길거리에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단돈 1000원에 10배 이상의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탓에 주머니 사정이 넉넉지 않은 젊은 세대들을 중심으로 '인형 뽑기 방'에 몰리고 있다. 이에 따라 길거리에는 '인형 뽑기 방'이 급증하고 있다. 게임물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015년 21곳이었던 뽑기방은 지난해 8월 147곳, 올해 1월 1160곳 이상으로 급증했다. 이와 같이 인형 뽑기의 인기가 급증하는 데에는 경기 침체와 사회적 영향과 깊 연관이 있다. 바로, 최저 비용으로 최대 만족을 찾는 (즉 '가성비'라고 불릴 수 있는) 경제적 불황기에 나타나는 특이한 소비패턴 때문이다. 우리는 이것을 '립스틱 효과라고 한다.
[립스틱 효과 : 경제적 불황기에 나타나는 특이한 소비패턴으로, 소비자 만족도가 높으면서도 가격이 저렴한 사치품(기호품)의 판매량이 증가하는 현상이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 또한 최근 들어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혼 밥(혼자 밥 먹기)' 와 '혼술(혼자 술 먹기)' 등이 증가하며 혼자서도 즐길 수 있는 '홀로 놀이' 및 키덜트(어린이 감성의 어른) 문화가 영향을 끼쳤다. 인형 뽑기는 노력에 따른 정당한 결과에 대한 불신이 깊어지고 있는 만큼 운과 같은 불확실한 결과에 기대 작은 행복이라도 얻기 위함이다. 마냥 작은 운에 기대어 뽑기를 즐길 것이 아닌 인형 뽑기의 인기 상승은 경기 침체의 여파로 나타난 안쓰러운 현실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인형 뽑기의 인기가 급증하며 최근에는 '인형 뽑기 창업' 또한 창업계에서 큰 열풍이 불고 있다. 치킨집과 커피숍이 대표주자였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비숙련 소자본창업인 '인형 뽑기 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추세를 보였다. 인형 뽑기 방의 특성이기도 한 5평에서 10평 정도의 작은 공간에서 무인으로 운영으로 인한 인건비 절약 및 수입 전액이 현금으로 유통된다는 점에서 이 같은 불경기에는 큰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인형 뽑기의 인기 급상승과 인형 뽑기 방의 창업률 증가는 경기 침체의 또 다른 면을 보여주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이혜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최민규기자 2017.02.21 19:39
    립스틱 효과라.. 또하나의 정보를 알아가네요^^ 요즘 인형뽑기 상점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는게 이러한 이유때문이군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이하영기자 2017.02.27 02:21
    행운마케팅부터 립스틱효과까지 기사를 읽고 새롭게 알게된 정보들이 많아요:)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544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343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7473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673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878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219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427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233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2109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452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20017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9159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952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857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252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277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607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464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586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353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459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842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0143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911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1128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394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386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462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295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391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606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6031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398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406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999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659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701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239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340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582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714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452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716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8206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914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761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673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455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503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745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60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