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황교안의 선택... 그 방향은?

by 4기최우혁기자 posted Feb 18, 2017 Views 1603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의 행보가 주목되고 있다. 황 대행은 본래 국무총리직을 맡고 있었으나 지난 12월 9일 국회에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이후, 박근혜 대통령의 직무 정지로 인해 임시적으로 국정 운영을 총괄하고 있는 인물이다. 16일 여론조사 전문 업체인 리얼미터가 발표한 차기 대선주자 지지율 조사를 참고하면, 황 대행의 지지율은 지난주와 비교해도 1.2 퍼센트가 오른 16.5 퍼센트로 확인되었다. 유력 대선주자들 중 현재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안희정 충남지사 뒤를 잇는 견고한 3위로,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를 2배에 가까운 수치로 따돌리고 있다. 현재 보수 진영이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의 대선 불출마 선언 이후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한 황교안 권한대행의 10퍼센트대 지지율에 희망을 걸고 있는 이유이다.


8cdcd503ad473937475d5ac881185f94.png

지난주와 비교해도 71.2%의 성장을 보인 황 대행의 페이스북 '좋아요' 수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최우혁 기자]


'최순실 게이트' 이후 지지 기반이 급속도로 무너졌다 해도 과언이 아닐 자유한국당(전 새누리당)의 노골적인 '황교안 띄우기'에 눈길이 자연스레 쏠린다. 인명진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은 지난 3일 TBS 라디오에서 "국민이 지금 (출마하라고) 얘기를 하는 것"이라며 황 대행의 대선 출마의 가능성을 시사했으며, 지난 10일 국회의 대정부질문에서 이루어진 당시 새누리당 의원들과 황 대행의 질의응답은 황 대행의 현 국정 운영에 만족감과 감사를 표하기 위한 시간이었다 해도 무리가 아니다. 황 대행 본인은 비록 아직 대선 출마 선언을 하지 않았으나, 출마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단호히 표명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지난 7일 국회에서 기자들이 대선 출마에 관한 입장을 밝힐 계획에 관해 질문하자 "적당한 때가 있을 것"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지난 10일 국회의 대정부질문에서도 마찬가지로,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의원의 "대통령으로 출마할 생각이 있느냐"라는 질문에 "국정 안정을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라고 대답하며, "출마하지 않겠다는 말은 왜 안 하느냐"는 추궁에도 "국정 안정화에, 지금 어렵다. 온 공직자와 함께 전념하고 있다"며 확실한 답을 내놓고 있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어찌 보면 동문서답처럼 들릴 수 있는 황 대행의 애매모호한 태도로 인해 그의 대선 출마 가능성이 더욱 강력하게 시사되고 있는 것이다. 故 노무현 대통령 탄핵 당시 대통령 권한 대행이었던 고건 총리의 행적과 현재 황 대행의 언행을 비교하자면, 신중한 대통령 권한 행사에 주력했던 고건 전 총리와는 달리, 황 대행은 상당히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첫 공식 업무일부터 국정 현안에 집중하고, 외부 행사를 빈번하게 참여하며 대중에게 모습을 드러내는 황 대행의 행보는 마치 대선 주자의 그것과 다름없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현재 보수 진영의 지지율을 단적으로 상징하는 존재로 분석되는 황 대행이 만약 출마하지 않을 경우, 그의 10퍼센트 대의 지지율이 어디로 쏠릴지도 관심사다.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의 불출마 선언 이후 반 전 총장의 지지율은 황교안 권한대행에게 가장 많이 옮겨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월에 들어 10퍼센트 가량 지지율이 상승한 황 대행의 현재 지지도는 반 전 총장의 불출마선언의 효과를 확연히 드러낸다. 그렇다면 과연 황 대행이 불출마할 경우, 황 대행의 지지도가 자유한국당에 그대로 남아있을 것일지도 의문이다. 여권에서 황 대행 외의 두 자릿수 이상의 지지도를 보유한, 이렇다 할 대선 주자가 거론되지 않고 있는 것이 실정이기 때문이다. '성완종 리스트' 사건에 연루되어 16일 항소심 선고공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홍준표 경남도지사에 무게가 실릴 수 있다는 예측도 존재한다.


황교안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 여부에 관한 선택은 대선의 판도를 바꿀 수 있을 법한 무게의 선택이다. 자유한국당 주자가 20퍼센트를 넘어서는 지지도를 얻을 수 있을지, 혹은 압도적인 야당 주자들의 지지율에 밀려 대선의 주요 주자로 발돋움하지 못할지는 그의 선택에 달려 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수사를 진행 중인 박영수 특검의 수사 기간 연장이 오늘 16일 황 대행에 신청되었다고 한다. 지난 10일 대정부 질문에서 지금은 특검이 "기본적으로 수사에 전념할 때"라며 수사기간 연장에 대한 답을 바라는 것은 오히려 무책임이라며 확답을 피했던 황 대행이 3월까지 수사 연장을 허락할지에 대해서, 일각에서는 회의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황 대행 측은 오늘 현 시점에서 구체적 답변을 내놓기는 어렵다며, "관련 법에 따라 검토"할 것을 밝혔다. 특검 연장과 대선 출마 여부에 관해 황 대행의 입은 굳게 닫혀 있다. 그의 침묵이 언제 깨질지,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최우혁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박우빈기자 2017.02.20 14:12
    좋은 기사입니다. 특검 연장과 대선 출마는 황 권한대행의 자유입니다. 하지만 그 전에 국민이 바라는 뜻은 무엇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보고 현명한 판단을 내리기를 바랍니다.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김동언기자 2017.02.20 16:51
    반기문 사무총장 불출마 선언 후 보수 유권자의 표가 강하게 갈리는 듯 하네요. 특히 유승민의원을 박근혜대통령의 배신자로 인식하는 유권자들에게 황교안 권한대행이 큰 지지를 얻어서 최근 성장세가 큰 것 같습니다. 물론 지지율이 올라서 대선에 출마하고 싶은 마음이 생길 수 있고, 출마하는 것도 황 권한대행의 자유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재 대통령의 권한대행으로서 선거날짜와 같은 차기 대선에 대한 사항을 결정해야 하는 자리에 있는 황 권한대행이 스스로 규칙을 정하고 대선에 나온다는 것은 조금 부적절해보입니다. 황 권한대행이 차기 대통령의 자리보단 현재의 혼란한 정국을 바로잡아야 할 권한대행의 자리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책임있는 행동을 했으면 합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이준석기자 2017.02.21 09:27
    현 정국에 대한 내용이 잘 정리되어 있어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황교안 대행이 대선 출마에 대해 명확한 답을 주지 않는 것은 어쩌면 본인의 입장에서는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제는 신속히 입장을 표명해야 할 때라고 봅니다. 대선출마의 의지가 있는 후보가 지지율과 여론을 살피며 간을 보는 행위는 대선 주자로서의 자질을 의심하게 합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525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198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5892
사법부, 잇따른 영장기각 file 2018.11.07 박상준 10204
사교육 이대로 가도 문제없는가..! file 2017.03.20 이현 10204
정시 확대, 조국이 쏘아올린 작은 공 2019.11.11 정혜원 10203
'사회의 악' 여론 조작,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8.08.30 최예은 10197
북미정상회담 결과에 미소짓는 시진핑 file 2018.06.18 박현규 10197
시리아 미사일 공격? 그래, 미국은 좋겠지. 그러면 타국은? file 2017.04.29 김유진 10194
미투 운동의 양면성 file 2018.11.01 이민아 10191
코로나 사태 탄소배출권 가격 안정화의 필요성 2021.02.10 김률희 10187
국제사회의 흐름에 발맞춘 한국의 '스마트시티' file 2018.11.20 함혜원 10187
<정치와 법> 교과서로 알아보는 미래통합당의 21대 총선 패배 이유 file 2020.08.25 남우현 10184
그 시절 빼앗긴 행복, 아직도 그들의 상처는 깊어간다. file 2017.08.28 박민수 10183
어린이가 안전한 나라...? file 2019.11.28 김두호 10181
한국 남성, 일본 여성 폭행... 과연 반일감정? 1 file 2019.09.26 김지은 10179
G- 경제 국제기구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file 2020.06.29 윤영주 10168
물난리 실언에 오토바이 불법주행...가수 정동원 연예계 퇴출시켜야 file 2023.12.04 디지털이슈팀 10165
트럼프 역대 최저 지지율, 등돌리는 여당 지지자들 1 file 2017.05.23 장진향 10165
말로만 '소방 안전 확인', 아직도 문제 개선 의지 없어 2018.12.11 노영석 10163
페이스북, 러시아 간섭의 작은 증거 file 2018.02.25 전영은 10158
문 대통령 'n번방' 회원 전원 조사 강조, "필요하면 특별조사팀 구축", n번방이란? file 2020.03.26 김서진 10157
끝없는 갑질 논란. 이번엔 백화점 난동? 1 file 2018.07.25 하예원 10156
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 그만의 '자유로운' 기자회견 1 file 2017.08.22 김지현 10155
노로 바이러스, 너의 정체가 궁금하다! file 2018.04.23 박기상 10153
세월호 인양작업... 또 다시 지연 2017.03.21 황서영 10149
4월 한반도 위기설 뭐길래? 1 file 2017.04.21 송선근 10148
일본군 '위안부' 피해, 오해와 진실 file 2019.11.25 정혜인 10142
美 트럼프 대통령 대북제재 사상 최대 규모, 어디까지 가나 file 2018.03.12 이지민 10130
미-중 무역전쟁의 시초 file 2019.10.31 김효정 10125
미디어, 가벼운 매체가 가진 무거운 영향력 2019.10.30 김우리 10122
국민의당 탈당파 민평당, 정의당과 연대? file 2018.02.05 박우진 10122
최저시급 , 고등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1 2020.08.21 이가빈 10115
文정부의 인사, 聞인가 問인가 2017.07.09 김세현 10112
법무부, ‘벌금형 집행유예’ 활성화 추진.. 구체적으로 어떤 효과가 있을까 file 2021.04.02 이승열 10105
브렉시트 투표 후 1년 반, 어디까지 왔나? 2 file 2018.01.29 신유진 10099
캐나다, '기호용 대마초 합법화' 발표 2018.10.23 정혜연 10079
자유한국당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 위원 발표’,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 “안타까운 일···” file 2019.01.21 이진우 10071
살충제 계란, 그것이 알고싶다 file 2017.08.30 강명진 10071
인천국제공항 드론 사건 1 file 2020.10.26 이혁재 10067
공급 차질로 빚어진 불확실한 접종 시기.. 재조정 들어갈까? file 2021.08.26 백정훈 10061
태영호 - 3층 서기실의 암호 1 file 2018.11.27 홍도현 10049
전 세계에 창궐해있는 코로나19, 그 이후의 세계는? 2 2020.08.31 유서연 10043
111년만의 기록적인 폭염,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2 file 2018.08.21 박상정 10041
우리 모두 잊지 말아요... 8월 14일 그 날을... 4 file 2017.08.23 김채현 10041
기업의 물적분할,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22.01.24 류민성 10036
김치가 중국에서 만든 거라고? 1 file 2020.12.30 김자영 10032
中 환경규제, 기회를 잡아야 file 2017.11.13 김욱진 10032
덴마크 - 한국 수교 60주년 file 2019.05.29 남윤서 10028
누진세 완화 정책 발표, 전기료 부담 줄일 수 있을까? 2018.08.20 김원준 10026
홍준표 정부·여당과 합의한 의료계에 "합의된 안의 지켜지지 않을 때 투쟁을 해도 늦지 않다" 3 file 2020.09.09 최성민 100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