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별이 된 시인, 윤동주 서거 72주기

by 4기전초현기자 posted Feb 16, 2017 Views 1406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7년 2월 16일, 오늘은 시인 윤동주 서거 72주기이다.

더불어 2017년은 윤동주 탄생 100주년이다.

그는 1917년 12월 30일 만주 북간도 명동촌에서 태어나 1945년 2월 16일 원인 불명의 사인으로 후쿠오카형무소에서 29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하였다.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인 윤동주, 사람들은 그의 시를 기억하고 사랑하지만 인간 '윤동주'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했다.


ㅋ.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전초현 기자]


그러나 2016년 2월 18일에 개봉한 '동주'라는 영화를 통해 시인 윤동주 뿐만 아니라 인간 윤동주에 대해 재조명되었다. 일제강점기 속 절망적인 삶 속에서 시를 쓰며 고뇌하던 청년 윤동주에 대해 조금 더 가까이서 만나볼 수 있었다. 그러한 모습들은 관객들의 마음을 끌기 충분했고 그 결과 누적100만명이 넘는 관객을 동원했다.


이번에, 윤동주 시인 탄생 100주년과 함께 윤동주 서거72주년을 맞아 2월 15일부터 19일까지 5일간 메가박스 코엑스, 목동, 신촌, 분당, 하남스타필드점에서 영화 '동주'가 재개봉된다.



untitled.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전초현 기자]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는 1948년 초판본이 나온 이후 1955년, 유족들이 가지고 있던 10편을 더해 증보판이 나왔다. 지금까지도 꾸준히 사랑받는 시집으로 시인 윤동주의 내면을 볼 수 있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이 없기를 바라던,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했던 시인 윤동주는 끊임없는 자기성찰과 반성으로 암울했던 당시 시대 속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고뇌하고 주어진 길을 묵묵히 걸어갔다. 이러한 모습이 잘 드러나있기 때문에 많은 세월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고민이 많고 현실에 지쳐있는 많은 현대인들이 공감하고 위로를 받는 것이 아닐까? 정말 사랑할 수 밖에 없는 윤동주와 그의 시는 쓸쓸하지만 찬란하고 아름답다. 별이 바람에 스치는 오늘 밤이라도 시인 윤동주의 시를 읽으며 그가 정말 빛나는 청춘이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기억하며 그 뿐만 아닌 일제강점기 속에서 조선이라는 나라를 지키기 위해 자신을 희생한 수많은 분들께 감사하는 마음을 갖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4기 전초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김유경기자 2017.02.17 23:39
    윤동주 시인은 작품으로만 접했다가 영화로 만나니 감회가 새로웠어요! 마음이 아프기도 했고... 마지막 문장이 와닿네요
  • ?
    4기전초현기자 2017.02.18 00:09
    감사합니다!?
  • ?
    4기정주연기자 2017.02.18 03:20
    윤동주 시인 평소에도 되게 존경했던 시인분인데 오늘이 72주기인지는 몰랐네요..좋은 기사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 ?
    4기전초현기자 2017.02.19 01:43
    많이 부족했는데 좋은 기사라고 봐주셔서 감사해요!
  • ?
    4기권지민기자 2017.02.18 17:24
    윤동주 시인은 볼때 마다 정말 대단하신거 같아요~
  • ?
    4기전초현기자 2017.02.19 01:45
    맞아요ㅠㅠ정말 대단하시고 존경받을 분이시죠?
  • ?
    4기기자채하연 2017.02.18 22:17
    저도 학교에서 동주라는 영화를 봤었는데 , 글로만 접하다가 영화로 접하니 윤동주 시인의 인생을 더 생생하게 이해할수 있었고 더 마음이 아팠던것 같아요 !
  • ?
    4기전초현기자 2017.02.19 01:52
    저도 딱 그랬어요! 그 당시를 마치 타임머신타고 본 기분이여서 윤동주시인이 되게 가깝게 느껴지면서 마음이 너무 아팠어요ㅠ
  • ?
    4기주가은기자 2017.02.19 01:54
    윤동주 시인.... 시들이 모두 다 주옥같죠! 동주 정말 보고 싶었는데 늦었지만 이 기사 보고 시간내서 한 번 볼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 ?
    4기유림기자 2017.02.19 09:22
    윤동주 시인을 참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마음이 뭉클해지는 것 같습니다. 윤동주 시인에 대한 기사,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알아갑니다.
  • ?
    4기김채원기자 2017.02.20 19:52
    자기 성찰과 반성을 시 속에 잘 담아내던 윤동주 시인의 시들을 읽고 나면 괜스레 저도 반성이 되고 하던 부분이 있었는데, 윤동주 시인의 예쁜 글감과 상황에 꼭 맞는 시어들은 제 마음 한 켠을 뭉클하게 해주었어요.
    그만한 가치가 있는 만큼 학교 국어교과서와 참고서 등에서 많이 만날 수 있었던 시인인데, 2017년이 그의 탄생 100주년이라니... 신기하기도 했고, 좋은 정보를 많이 얻을 수 있었던 기사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4기김서영기자 2017.02.25 19:44
    좋은기사 잘 보고 갑니당!
  • ?
    4기조묘희기자 2017.03.01 22:29
    윤동주 시인에 대해 사실 이름만 알고 있었어요... 오늘 자세히 알게 되어 좋네요!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4727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4441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6692
힙합계의 치트키 쇼미더머니, 각 시즌별 수혜자는 누구? 1 file 2016.07.30 조수민 18807
힙합 좋아하니? 2016년 하반기 힙합계의 이슈들! file 2016.07.25 신재윤 18553
힐링하는 축제, 유성온천 문화축제 file 2017.05.27 손예은 17591
힐링하기 딱 좋은 곳 '우도' 1 file 2017.08.30 한유진 18005
힐링이 필요해 2017.11.28 이지혜 16552
힐링의 끝판왕, 베트남 달랏의 메링 커피 농장 2 file 2019.02.27 최상선 18116
힐링되는 꽃나들이, 창원 장미축제는 어때? 1 file 2017.05.24 안예현 18546
힐링 여행이 필요하다면, 이웃나라 일본 오카야마. 2 file 2016.09.24 이지수 20335
흰지팡이는 무엇을 의미할까? file 2017.09.19 정은희 16554
흰색 머리카락, 노화가 아니다! 2018.04.02 김동희 18071
희망이란 그이름 당당한 그이름! 청소년과 함께! file 2017.03.14 이지은 16846
희망이란 그 당당한 이름! 청소년과 함께! 2 file 2017.03.15 이지은 16871
희망의 소리, 재능기부봉사로 전해요 2 file 2016.04.09 김선아 20432
희망의 섬 제주에서 8?15 행사를 주최하다. file 2017.10.02 문재연 18136
희망의 빛과 나눔을 실천하는 '내일을 여는 교실 지역아동센터'를 소개합니다. 2017.08.30 노도진 22040
희망을 파는 그들, 꿈다리 컴퍼니. 4 file 2017.02.26 박환희 17903
희망더하기 그 첫번째 이야기- '당신의 희망더하기 캠페인을 아십니까?' file 2016.11.27 최호진 18303
희망꽃이 피어나는 여기는 온고지신 희망 마을, 씨알 봉사단. 6 file 2017.02.12 허지민 18710
희귀의약품 '메카신(Mecasin)' 1 file 2022.03.07 김다혜 11081
흡연 경고 그림 도입으로 감소했던 흡연율 다시 증가, 담배케이스 때문? file 2017.05.24 최예헌 16277
흐름 속에 알찬 지식 의왕 철도산업홍보관 1 file 2016.08.24 박도은 19763
휴일 100배 즐기기 '서울환경영화제'에서! 2018.05.28 김예나 16790
훌쩍 다가온 가을, 제철음식은? file 2016.09.25 최서영 19493
훈훈한 네티즌들의 선행, 백범 김구 선생의 정신을 기리며 2 file 2016.03.19 전지우 18134
후회 없는 사랑, <목련 후기> 2019.05.13 김서연 19878
후쿠오카, 그곳은 어디인가? file 2019.04.29 배경민 17248
후쿠오카, 그 고즈넉함으로 빠져들다 file 2018.02.28 강예빈 14969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일본인의 의견을 묻다 1 file 2020.11.30 오은빈 15246
후각으로 기억을 되돌릴 수 있을까? 4 file 2017.10.13 박현정 18704
효율적인 공부를 위한 준비물부터 유용한 활용법까지! 4 file 2020.03.17 김윤채 16527
효율적인 경제동아리 운영? 바로 연합동아리로! file 2016.04.09 김성현 18654
획기적인 기술 여기 다 모여!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 4 file 2017.02.19 이재현 17084
획기적인 기술 여기 다 모여!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 1 file 2017.02.24 이재현 15221
황금연휴, 고양국제꽃박람회와 함께 봄내음을 즐겨보자! 3 file 2017.05.20 한예진 15973
황금연휴 제대로 알자! file 2017.10.13 김나림 15574
황금알을 낳는 관광, 마이스(MICE) 산업 1 file 2017.04.02 박마리 24007
활활 타오르는 일러스트의 열기, 지금은 일러스트로 소통하는 시대 2 file 2017.08.08 이정민 18569
환절기 감기 보내고 벚꽃 구경하러 가자! file 2016.03.24 안세빈 18658
환전은 무엇일까? file 2019.08.09 송수진 27246
환상적인 야경을 볼 수 있는 방콕 '아시아티크' 2 2019.02.18 안소민 16150
환경파괴를 최소화한 케이블카를 타고 쿠란다마을로 file 2019.09.02 임하늘 17331
환경을 생각하는 텀블러, 리유저블 텀블러 4 file 2019.10.24 박효빈 19119
환경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국제교류[주니어에코엔지니어링 아카데미] 1 file 2017.02.25 정혜윤 19020
환경을 돌아보는 전시...성북 뮤지엄웨이브 '티타임' file 2023.12.31 이지우 5863
환경을 다시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 '서울환경영화제' 1 file 2018.06.11 진현용 16877
환경운동연합 <350 캠페인> file 2017.02.28 양정윤 16767
환경에 대한 새로운 생각,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8.05.29 정하현 16355
환경부, 2018년 생물다양성 청소년 페스티벌 개최 file 2018.12.18 정수민 164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