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양날의 검, 생체 보안 기술

by 4기김세원기자 posted Feb 15, 2017 Views 1608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누구나 한 번쯤은 알리바바와 40인의 도둑 속 열려라 참깨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동화 속보 안이 오늘날 생체 보안 기술로 실현되었다. 이때 생체 보안 기술이란 사용자 개인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인증하기 위한 보안 기술로 지문 인증, 음성 인증, 얼굴 인증, 정맥 인증, 홍채 인증 등 개인의 고유 정보를 사용하여 개인의 신원을 식별하는 기술이다. 2016819일 정식 출시한 갤노트 7에는 홍채 인식 기술이 탑재되어 있다. 이 홍채인식 기술로 잠금 해제 및 은행 결제도 가능하다. 하지만 생체 보안 기술이 우리의 정보 유출에 날개를 달아주는 것은 아닌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한다.


SAM_2247.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세원기자]


 생채 보안 기술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지문인식도 포함된다. 생체 보안 기술이 보편화된다면 편의점에서도 지갑 없이 물건을 살수 있을 것이며 급식실에서 학생증 없이 혹은 대중교통에서 교통카드 없이 결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우리의 일상에 편리함을 더해주기에 그 활용 범위 또한 넓어지고 있다. 이웃나라인 일본은 2004년 도쿄미쓰비시은행을 시작으로 UFJ 은행오가키 교리 은행 등 ATM 거래에 손가락 정맥인증 시스템을 도입하였다우리나라도 현재 기업은행에서 홍채 인식 적용을 검토 중이며 KEB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지문인증 방식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생체 보안 기술은 우리에게 분명히 편리함을 가져다줄 것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 또한 많다. 우리가 사용하던 이전의 패스워드나 패턴과 같은 보안 방식은 해킹으로 유출되었다. 하지만 생체 보안 기술은 우리의 신체와 직접 관련이 있어 강력범죄가 우려된다. 2005년 말레이시아에서 지문인식으로 시동을 거는 고급 승용차를 강탈하기 위해 운전자의 손가락을 절단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러한 식으로 오늘날의 휴대폰 절도가 아닌 납치와 같은 범죄가 발생하게 될지도 모른다. 이러한 범죄는 우리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이기에 보안 강화가 더욱 중요하다. 특히 생체 인식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 신체 훼손 시 본인마저 정보에 접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이러한 문제점을 막기 위해서는 생체 보안 기술과 패스워드를 겸용하여 2중 보안을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또한 생체 보안 기술의 정보가 새어 나가기라도 한다면 개인의 신변이 위험해질 수도 있고 자신의 얼굴과 건강 등 사생활이 유출될 수도 있다는 우려를 안고 살아야 한다또 비밀번호는 쉽게 변경이 가능하지만 홍채와 같은 신체 정보는 한번 유출되면 피해가 크고 바꾸기가 어렵다. 마이너리티 리포트라는 영화 중에 주인공이 지나갈 때 홍채를 인식하여 전광판의 광고에서 주인공의 이름을 부르고 주인공에게 맞는 물건을 추천해준다. 그러나 이 주인공이 범죄자가 되어 시스템으로부터 추격당하자 이것을 피하기 위해 불법으로 다른 사람의 눈을 이식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처럼 홍채 갈취손가락 절단 등 극악무도한 범죄가 발생하고 불법 시술이 팽배하게 되면 피해자도 속출하게 될 것이다. 이것 이외에도 생체정보관리는 누가 할 것인지 등 많은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생체 보안 기술은 달과 같아서 어느 누구에게도 보이지 않는 어두운 면이 있다. 따라서 우리는 생체 보안 기술에 무조건 의존하기보다는 다른 보안체제와 함께 사용해야 하며 오늘날 큰 문제인 보안이 반드시 강화되어야 한다. 우리의 생명과 직결된 기술이기에 우리가 고려할 수 있는 한 최대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해야 하며 이 기술에 따른 법률 개정도 발 빠르게 이루어진다면 조금이나마 진정한 편리함을 누릴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당신은 미래를 알고 있으니 원한다면 바꿀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김세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추연종기자 2017.02.16 01:37
    저는 생체 보안 기술이라고 하면 지문인식이 먼저 떠올랐는데 정맥인증이나 홍채 인식이라는 다양한 생체 보안기술이 있다는게 놀랍네요, 단순히 생체 보안기술의 밝은면만 알고 있었는데 기사를 본 후 악용된다면 한없이 어두워질 수 있는 기술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의 올바른 사용을 위하여 빨리 좋은 정책이 마련되면 좋겠습니다. 좋은기사 잘 읽고갑니다.
  • ?
    4기김민준기자 2017.02.16 19:43
    생체보안기술이 자기 자신이 아니면 풀지 못할 거라 생각하지만, 전에 개발자 단체에서 사진을 통해 간단하게 다른 사람의 지문을 채취하는 기술을 보여준 적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생체보안기술도 아직 갈 길이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나중에는 보안기술 없이도 보안이 되는 날이 왔으면 합니다.
    (기술적으로나 법적으로나 이 문제를 완벽히 해결할 수 있는 날이 왔으면 합니다.)
    좋은 내용의 긴 기사를 작성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4기김도영기자 2017.02.20 22:01
    생체 보안 기술은 기술적으로 보면 정말 엄청난 발전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기술이 실제 우리 생활 속에 스며들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생각해보면 아직은 보편적으로 도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법적으로도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법안이 발의되었으면 합니다. 하지만 정말 대단한 기술이라고 생각해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216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45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786
개성공단은 재가동 되어야 한다 8 file 2016.02.23 조민성 14865
개발과 교육은 반비례? 위험에 노출된 아이들 file 2019.03.05 한가을 14395
개 구충제인 펜벤다졸, 정말로 암 치료에 효과가 있을까? 5 2020.02.24 배선우 10812
같이 사는 세상, 층간 소음 file 2017.10.30 황현지 11230
같은 하늘, 같은 시간, 다른 곳에서 2 2017.05.25 류지현 13116
같은 약인데도 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약값만 천만원...보험 급여 확대 호소한 국민청원 file 2019.03.04 나하연 10094
강추위 속 촛불 3 file 2017.02.13 한지선 17566
강제로 뺏어 간 자연을 다시 되돌려주는 일, 환경과 기후 변화 협약 file 2021.05.03 박연수 10461
강원도 표준 디자인 교복, 학생들은 '불편' 1 file 2018.02.07 이형섭 28532
강원도 스키 강사 초등생 성폭행 사건 발생 file 2022.02.07 오경언 6980
강서구 PC방 살인사건, 100만이 분노하다 2 file 2018.10.26 김준수 12383
강서구 PC방 살인 사건 관련 청원, 국민청원 100만 돌파 file 2018.10.26 정아영 10776
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2022 스마트폰 가족치유캠프 개최 file 2022.07.15 이지원 7963
강릉 가스 사고, 그 책임을 묻다 file 2019.01.03 박현빈 11816
강동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이태원 사고 관련 ‘재난 심리지원 특별상담실’ 운영 file 2022.11.16 이지원 6317
강남역 살인사건...남혐 vs 여혐으로 번진 추모의 행동 올바른 추모형식인가.. 2 file 2016.06.06 최다혜 16150
강경화, 문대통령의 5대 인사원칙 무시하고 외교부장관 되나 file 2017.05.28 천세연 12181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통역 없는 접견'에 대한 엇갈린 반응 1 file 2017.06.26 이소영 11034
갑작스런 천재지변...세계 항공사들의 대처는? 7 file 2016.02.23 박지우 18810
갑작스러운 북중 정상회담, 왜? file 2018.04.05 박현규 10893
갑을관계 속 청소년 알바생들 9 file 2016.02.24 이현 17797
갈피를 잡지 못하는 80조 원의 저출산 대책 4 file 2017.03.07 김규리 15623
갈수록 줄어드는 청소년 정치 관심도...선거가 언제죠? 12 file 2016.02.19 박소윤 37705
갈수록 심해지는 청년층 근로빈곤율 2018.11.12 전고은 11093
갈수록 난민혐오 심해져. 2 file 2016.03.25 임유희 15109
간호사들의 악습, '태움 문화' 1 file 2018.03.02 김고은 20067
간통죄 폐지 이후 1년, 달라진 것은? 8 file 2016.02.25 한서경 17060
각 나라의 코로나19 대처법은? file 2020.04.09 이채영 15067
가짜 뉴스, 당신도 속고 있나요? 1 2020.05.14 김호연 8976
가좌역 유치가 절실한 저희 목소리를 들어주세요 2 file 2016.03.24 정향민 19585
가장 치열한 전쟁, 종자전쟁 2017.12.26 황혜령 12011
가자! 416노란버스를 타고 김제동과 함께 file 2017.04.18 김하늘 10374
가습기 살균제의 악몽, 액체괴물로 재발하나 2 file 2018.02.14 최수영 11545
가상화폐의 실명제가 논란이 되는 이유 2 file 2018.01.18 김진모 10524
가상화폐는 투기적... 주요 인사들의 경고 file 2021.02.26 김민정 7609
가상화폐 속으로 빠져들다! 1 file 2018.01.22 임소현 11108
가사근로자법안 발의, 환영의 목소리만 있을까 file 2021.05.31 하수민 7373
가사 소송법 24년 만에 전면 개정 추진, 미성년 자녀의 권익 보호된다 1 file 2015.02.21 김동욱 23517
가계부채와 금리의 상관관계 file 2017.10.30 배정은 15771
가격제도, 이대로 괜찮은가? 2 file 2017.07.26 박다혜 11125
가게에 직원이 없다? 커져가는 키오스크 시장 file 2019.08.01 김사랑 18019
靑, 토지공개념... 찬반여론 팽팽히 맞서 2 file 2018.03.30 이종훈 12173
美정부의 무역 정책과 자승자박 2018.01.30 김민우 13122
美서 '북한·러시아·이란' 통합제재안 통과, 각국의 반응은? 3 file 2017.08.09 홍동진 14989
美, 트럼프 취임식 후...'트럼프 반대 여성 행진' 열려 17 file 2017.01.26 이태호 17436
美, 잇따라 아시아인을 겨냥한 범죄 발생… file 2021.03.29 이지연 9357
美, 웜비어 씨 사망 한 달 만 "북한 여행 전면 금지" 결정해 1 file 2017.07.24 이윤희 9989
美 폼페이오 방북 취소, 어떻게 봐야 할까 file 2018.09.03 이윤창 87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