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완전히 베일 벗은 국정교과서, 과연?

by 4기권지현기자 posted Feb 13, 2017 Views 1570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국정교과서. 많은 비판과 우려, 기대를 받아왔던 국정 역사교과서가 1월 31일, 최종 모습을 드러냈다. 20일, 국정화 역사교과서 금지법이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를 통과한지 약 11일 만에 최종본이 나온 셈이다. 금지법이라는 반대 쪽의 반격에도 불구하고 꿋꿋하게 최종본을 드러낸 국정교과서의 내용은 과연 어떨까.


최종본에서는 12월 발표했던 현장 검토본에서 내용이 추가되었다. 교육부 홈페이지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친일반민족 행위에 대해 구체적 제시하였고, 8·15광복 이후 '친일 청산 노력과 한계'를 기준으로 제시하여 친일 청산의 역사적 의의를 구체적으로 학습하겠다고 밝혔다. 일본군 '위안부' 관련 서술을 강화했으며 제주 4·3사건에 대해서는 수많은 무고한 희생자가 있었으며 진상규명 노력이 진행되었음에 유의하여 서술하였다고 밝혔다. 새마을 운동에 대해서는 성과와 더불어 한계점을 지적하는 견해도 추가하였다고 명시하였다. 논란이 되었던 '대한민국 출범' 관련 표현인 '대한민국 수립'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수립'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모두 서술 가능하도록 근거를 마련하였다고 밝혔다. 또한 국정교과서에서는 독도와 관련된 내용도 강화하여, 독도가 우리의 고유 영토라는 사실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자료들을 소개하고 독도는 우리 고유의 영토로서 분쟁지역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함으로써 일본 주장의 허구성을 분명히 인식하고 논리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고 밝혔다.


20170212_220056_HDR.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권지현기자]


국정교과서에 대해서 찬성 입장과 반대 입장은 팽팽하다. 작년 12월 7일, 사립 중고교 교장들의 모임인 대한사립중고교장회는 성명서를 내며 "국정 역사교과서가 기존 검정교과서의 좌편향적의 시각의 기술을 걷어냈다" 며 "검정교과서에 나타난 독재, 친일 미화 등에 대한 우려도 불식시켰다" 고 말했다. 또한 울산 김복만 교육감도 "바른 역사관과 국가관을 아이들에게 심어줄 수 있는 통일된 한 종류의 역사책을 바란다" 고 밝히며 국정교과서의 찬성의 뜻을 밝혔다. 일부 사립·공립 학교 학부모들도 국정교과서의 내용이 좋다며 국정교과서를 찬성했으며 여론 조사에서 찬성이 79.9%가 나와 반대를 압도했다.


반대 입장도 만만치 않다. 작년 12월 19일 대전 MBC라디오에서 조승래 의원은 "역사학자들이 말하기를 현재 국정 역사교과서는 우리나라 헌법가치를 훼손하는 방향으로 적혀있으며 다른 대통령에 비해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찬양과 기술이 비율상으로 너무 많은 것이 문제이다" 라며, "현재 박근혜 정부가 국정화 교과서를 고집하고 있는 이유는 정치적이고 이념적인 이유라고 밖에 해석할 수 없다"라고 밝혔다. 또한 최종본이 나온 당시, 역사교육연대회의는 최종본에 나온 오류가 653개임을 지적해 강력한 비판을 드러냈으며 그에 대한 사례 약 28개를 공개했다. 역사교육연대회의가 지적한 고교 <한국사> 최종본 오류 몇 가지를 살펴보겠다.

- 80쪽에는 "후삼국 통일 이후 태조는 조세 감면을 실시하여 농민의 부담을 줄이는 등"이라는 내용이 있으나 실제 고려 태조가 조세감면을 한 것은 건국 (918)년 직후이다.

-197쪽에는 "1906년 3월이 되어서야 대한제국 정부는 울도(울릉도)군수로부터 일제의 독도 불법편입 사실을 보고 받고" 라는 내용이 있으나 실제로는 3월이 아닌 4월이다.

반대를 주장하는 시민들은 블로그나 SNS를 통해 국정교과서 반대 서명 운동을 통해 강력한 반대 입장을 드러냈다.


2018학년부터 각 학교에서는 금년말 검정심사에 합격한 검정교과서와 국정교과서 중 1종 자유롭게 선택해 사용한다. 국정교과서가 나올 때부터 이승만, 박정희 대통령 관련 미화 내용이 검정교과서에 비해 많았던 것은 사실이고 최종본에서도 약 600여건의 오류가 나왔다는 것은 국정교과서가 마땅히 비판받아야 하는 부분이다. 허나 여론조사에서 79.9%의 찬성 입장이 나왔다고 해서 '조작설'을 제기하는 야당의 태도도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다. 지금은 무엇보다 배우는 입장인 학생들이 나서서 역사에 관심을 갖고 역사와 관련된 서적과 자료들을 통해 국정교과서에 잘못된 점들을 바로잡고, 올바른 역사를 만들어 나가기 시작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권지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이주현기자 2017.02.14 20:07
    저희가 역사를 올곧게 알고있어야한다는 점이 여기서 드러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배우는 교과서 또한 올곧아야할텐데 국정교과서에 대해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습니다.
  • ?
    4기유림기자 2017.02.19 18:54
    국정 교과서에 있는 미화된 내용은 마치 역사 왜곡과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국민들의 반대에도 결국 최종본을 내놓은 상황에서 국민들에게 국정 교과서 선택을 부추길 가능성이 크지 않을까요? 후손들에게 올바른 역사를 알려주기 위해서라도 앞으로 역사를 배울 많은 청소년들이 바른 선택을 하길 바랍니다. 좋은 정보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370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160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5505
난민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과 청와대의 답변 file 2018.08.09 이수지 10461
날개 꺾인 나비들의 몸부림, 그리고 두 국가의 외면 7 file 2016.02.25 최은지 17115
날로 심해지는 중국 내 반(反) 사드운동. 새 정부가 해결할 수 있을까? file 2017.03.22 장진향 10651
날로 커지는 중국의 영향력, 중국어 자격증 HSK 전격 해부 file 2019.05.30 장윤서 14213
날마다 변화하는 “매미나방의 피습” file 2019.08.05 김선우 12901
남북 24시간 소통,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식 1 file 2018.09.18 정한솔 9547
남북 경제협력주, 안전한 걸까? 2 file 2018.05.25 오명석 11409
남북 경헙의 미래 성공 or 실패 file 2019.03.28 김의성 13911
남북 정상의 신년사에 담긴 의미는? file 2018.01.12 정성욱 11630
남북정상, 한반도 평화시대 선언.."올해 종전선언·평화협정 전환 추진" file 2018.04.27 디지털이슈팀 13200
남북정상회담, 그 효과와 발전방향은? 2 file 2018.10.01 김도경 11869
남북한 정치 차이 과연? 2019.03.27 최가원 18237
남아공 육상영웅 세메냐: 영광 뒤에 숨겨진 성별 논란 1 file 2018.06.14 박성우 12117
남이섬, 친일 재산인가 1 2017.09.28 문세연 13885
납치범이 드라마를 보여준다고? 3 file 2020.02.26 안효빈 11564
내 손 안의 판도라... 스마트기기 14 file 2016.02.13 한종현 17131
내가 다니는 학교에 확진자가 나온다면? 6 file 2020.12.24 김진현 19089
내가 하면 로맨스, 네가 하면 스캔들? 4 file 2017.01.25 김민정 17118
내가한흡연은 나만의 것이 아니다. 2014.07.29 박지원 23332
내년 3월부터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 그 함의는 무엇인가? file 2020.10.22 정지후 8905
내전의 시련 속에서 한줄기 희망 시라아 민간구조대 ‘한얀 헬멧’ file 2016.08.24 노태인 14979
네티즌 충격, 인천 초등생 살인사건의 전말 1 file 2017.07.21 이다빈 24612
노동계의 사각지대. 비정규직 그들의 외침.... 7 file 2017.09.14 서호연 11232
노동인권을 다룬 만화, '송곳'을 통해 알아보는 노동3권 1 file 2017.09.11 신동경 13435
노동자들의 파업, 비난 아닌 연대의 시선으로 1 file 2020.01.23 박효빈 11513
노란 물결이 일렁이는 4월 16일 file 2017.04.16 이지연 11973
노랑나비, 위안부 할머님들을 위해 날다. 1 file 2016.03.24 강민지 20734
노로 바이러스, 너의 정체가 궁금하다! file 2018.04.23 박기상 10297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8주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file 2017.05.25 임재우 13114
노인 복지 정책, 어떻게 얼마나 변했는가? file 2018.07.26 장서진 11866
노인 자살, 도대체 왜? file 2019.05.23 진찬희 12250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 과연 경제적으로 합당한가? file 2017.11.20 김진모 13146
노점상, 생계를 위한 불법? 1 file 2016.03.24 김현승 18253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 재건 해야 하나? file 2019.05.10 유예원 13002
노트르담 대성당의 붕괴 file 2019.05.14 양재성 11282
노트르담 대성장 화재, 그리고 한 달 file 2019.05.21 최예주 11389
노화? 제대로 알고 방지하자! 1 2019.01.08 이지은 12405
논란 많은 한국의 페미니즘, 왜? 5 file 2018.08.23 김성백 13276
논란 속 국정화 교과서... 시범학교 신청마감 1 file 2017.02.21 김리아 16402
논란 속의 '페미니즘' 1 2018.04.18 이가영 12497
논란의 기안84... 이번에도 여성 혐오 논란 2 file 2020.08.19 김민결 9409
논란의 정답은 외인사로 끝나지 않는다.; file 2017.06.25 김유진 9114
논란의 중심 배달의민족 file 2020.04.27 박채니 8855
논란의 중심인 국적법, 도대체 뭐길래? file 2021.05.24 서호영 8414
농산물이 일으킨 수출의 문 file 2020.10.05 김남주 8870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헌법에, 1천만 명 서명운동 2017.11.21 강승필 11554
농정원, 코로나19 전후 명절 선물 트렌드 변화 분석 결과 발표 file 2022.08.31 이지원 6736
누가 영웅을 쓰러뜨리려 하는가 3 file 2017.05.02 김수민 105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