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저희 엄마 좀 살려주세요"···대학에서 일어난 만행

by 4기서상겸기자 posted Apr 24, 2017 Views 145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실신.jpg
댓글ㄹㄹㄹ.png

[이미지 제공 = SNS 페이스북 모 페이지]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한 SNS 게시물에 '저희 엄마 좀 살려주세요'라는 댓글이 달려있다. 이 댓글로 인해 많은 네티즌이 눈시울을 붉히고 분노했다.


이 댓글의 게시자는 직위해제를 당해 충격을 받고 실신한 대학교수의 아들이었다.


과연 무슨 일인가?


지난 21일 울산에 위치한 한 대학에서는 직위해제를 당한 교수가 충격을 받고 학생들에게 억울함을 토해내다 실신한 사건이 발생했다. 다행히 119구조대가 출동하여 안전하게 병원으로 이송되었지만, 교수는 충격을 크게 받아 실어증에 걸렸으며 몇몇 단어만을 종이에 적어 가족과 대화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페이지.jpg

[이미지 제공 = SNS 페이스북 모 페이지]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21일 저녁 SNS 페이지에서는 해당 대학교수의 제자로 추정되는 제보자의 사연이 올라왔다. 이 제보자는 자신을 해당 대학의 재학생이라 밝히며 교수의 직위해제가 부당한 처사라고 전했다.


해당 게시물의 제보자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벌인 교내 불만 사항 설문조사가 학생들이 아닌, 한 교수를 모함하기 위해 이용한 수단이었다."라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이어 "대학측에서는 이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수업 태만, 학생 지도 태만, 수업자료 관리 태만'이라는 이유로 교수의 직위해제를 강행시켰지만 우리는 교수님의 진정성과 결백함을 누구보다 잘 안다"며 "이를 교묘히 속여, 학생들 손으로 교수님을 모함하게 하였다."며 학생들의 견해을 밝혔다.


실제로 설문조사는 교무팀에서 시행한 설문조사 2번, 해당 교수가 한 설문조사 1번으로 총 3번 이루어졌다.


교무팀에서 실시한 첫 번째는 3학년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치위생과 불만 사항 관련 설문조사이며 두 번째는 전공 심화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해당 교수 과목 설문조사였다.


해당 설문조사 응답 학생의 증언에 따르면, "3학년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는 OO과의 불만 사항을 조사하고 있었고 전공 심화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는 어떠한 과목의 휴강, 보강에 대해 조사했다. 그런데 유독 OOO교수님의 질문이 상대적으로 많았다."며 "질문은 OOO교수님이 해당 과목을 휴강했습니까? 휴강했다면 보강은 했습니까?" 등의 질문이 있었다고 밝혔다.


학생은 이에 "휴강 항목에 대해 그렇다고 응답했고, 보강 역시 했다고 응답했다."고 말했으며 이어 "문제될 게 없는데 대체 왜 직위해제를 당했느냐"며 개인적인 소견을 전했다.


마지막 세 번째는 해당 교수가 OO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는 자신의 직위해제 사유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물어봤다.


설문지.jpg

'직위해제를 당한 교수가 시행한 설문조사에 해당 학과의 재학생이 답변한 내용'

[이미지 제공 = 해당 학과 재학생 ]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결국 대학 측에서는 설문조사를 토대로 '수업 태만학생 지도 태만수업 자료 관리 태만'이라는 명분에 21일 해당 교수를 직위 해제시켰다.


하지만학생들의 입장은 대학 측의 입장과 달랐다.


수업 태만에 대한 학생들의 입장은 이러하다.


"학교 측에서는 교수님이 무단 결강 혹은 휴강을 한 날이 전체의 1/3이 된다고 주장한다하지만 이건 상식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이 주장이 사실이라면 대부분의 학생이 먼저 항의를 했을 것이다심지어 교수님이 시험 감독을 보는 날에도 정상적인 수업시간에 수업하지 않았다며 결강처리가 되어있다이게 말이 되는 것인가그럼 학교에서는 1년이라는 시간동안 경고를 하지 않고 무엇을 했던 것일까"라고 주장했다.

 

학생 지도 태만에 대한 학생들의 입장은 이러하다.


"학생 지도 태만이라는 사유는 이해가 가지 않는다교수님께서는 항상 학생들에게 좋은 교수가 되기 위해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는 분이셨고우리 학교에는 대학 생활의 이해라는 수업 시간이 있다.

이 시간은 교수님과 소통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주일에 한 시간 만이라도 교수님과 대화하는 시간을 가지기 위해서라는 명목으로 만들어진 시간이다교수님의 담당 지도 학생 여럿과 교수님 한 분, 1:()로 만나는 시간이다교수님은 대생(대학 생활의 이해시간이 없어도 항상 학생들과 상담을 하고 계셨고 1:1로 서로를 더 알아가는 것을 추구하시는 분이셨다대생(대학 생활의 이해시간이 없어도 충분히 학생들과 소통을 하는 분이셨다금요일 9교시 학생들이 금요일을 즐기기에도 모자랄 시간을 뺏는 것 같다며 항상 미안한 마음이 든다고 말씀하셨던 분이다이게 어떻게 학생 지도 태만인가"라고 주장했다.


수업 자료 관리 태만에 대한 학생들의 입장은 이러하다.


"교수님의 강의는 예방치과학공중구강보건학치의학용어인데 공중구강보건학과 치의학용어는 이론수업이라 재료를 쓰지 않는다예방치과학에 쓰는 구강 내 재료는 불소겔뿐인데 이 재료들은 유통기한 자체가 없다그마저도 1번 정도 사용하고 마는 수업이다게다가 예방치과학 강의실은 306호인데 정작 유통기한이 지난 재료를 조사한 강의실은 301호다. 301호는 치면세마(스케일링실습실이고 조사품목도 물티슈나 종이컵 같은 재료를 조사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학생 측은 "올해 3월에 개정된 학칙이 있다고 한다그 내용은 총장이 교수에게 직위해제 처분을 내리려면 징계위원회가 열리고 결정이 나야 직위해제 명령을 내릴 수 있던 학칙을 징계위원회가 열리기 전에 먼저 직위해제 처분을 내리고 징계위원회를 열 수 있도록 개정했다는 것이다"라며 "너무 뻔한 상황이다애초에 법을 개정한 이유가 한 명의 교수를 내보내기 위함인 것이 너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상황이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개정안중에서 그런 항목은 존재하지 않았다진위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OO과 재학생과의 간단한 인터뷰를 한 결과직위해제된 해당 교수가 학칙에 관련된 발언을 직접 전했다고 밝혔다이에 학생 측은 급히 개정된 학칙으로 인해 대학 홈페이지에 게재되지 않은 점에 대한 가능성을 제기했다.

 

종합적으로 학생 측은 "이 모든 일이 해당 교수를 파면 시키기 위해 조작한 일이며다른 교수도 억울한 해고 위기에 처했다며 학교 측의 부당함을 알리고 교수님들의 억울함을 풀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18120224_322865504797891_304595474_o.jpg

'해당 대학교 도서관 앞의 태극기가 바람에 펄럭이고 있다.'

[이미지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서상겸기자]


한편, 해당 대학교에선 4월 24일 월요일 저녁 7시에 해당 교수의 징계위원회가 열릴 예정이다. 하지만, 해당 교수는 징계위원회가 열리기 전날인 23일 저녁까지 안정을 되찾지 못해 교수의 가족들과 해당 학과 학생들의 걱정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 현재 해당 교수의 가족 및 해당 학과 재학생 측은 이 사건이 언론에 공개되지 않고 있는 점이 학교 재단이 언론적인 부분을 막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4기 서상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오경서기자 2017.04.30 09:42
    학교측은 어떤 의도로 교수를 파면시켰는지 궁금하네요. 진실들이 밝혀져 억울한 사람들의 누명이 풀렸으면합니다.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이건학기자 2017.05.02 11:21
    이번 기사도 언론의 문제가 반영되어 있는 것 같아요. 진실대로 학교측의 부당함이 밝혀졌으면 좋겠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291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6077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5736
동백의 딸들, 성화 봉송에 참여하다 file 2017.11.07 이유진 16827
딥 러닝, 알파고의 천재적인 실력의 비밀? 4 file 2017.02.20 강상윤 16830
아픔과 다짐이 담긴 DMZ 박물관을 다녀오다. file 2016.10.25 이예린 16831
학교안 정크푸드, 그린푸드로 4 2017.07.16 김영은 16831
우리나라의 의생활에 남아있는 일제 잔재 file 2021.12.03 김민정 16833
화성 효 마라톤 대회 그열정의 현장 속으로 file 2016.05.29 신수현 16834
왜곡된 생리 찾아 삼만 리, “나 생리한다!” 2020.03.02 최은아 16835
청소년의 '피, 땀, 눈물'은 어디로 갔을까 [청소년 아르바이트] 2 file 2017.04.24 이채은 16836
1919년 3월 1일 , 그날의 함성이 우리에게 닿는 날 file 2016.03.21 한지혜 16838
덕후, 새로운 문화를 만들다! file 2017.10.02 이지우 16840
Blooming their hooes with you, 희움을 아시나요? 1 file 2017.12.25 서수민 16843
임산부 뺏지를 아시나요 2 file 2016.04.28 이서연 16844
전무후무한 3관왕, 요네자와 월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file 2018.07.26 6기박상현기자 16844
국악과 시의 만남, 달콤한 시럽(詩LOVE) 1 file 2016.03.25 하혜주 16845
문화예술 NGO ‘길스토리’ 대표 배우 ‘김남길’ file 2021.03.24 문소정 16845
[가볍게 떠나요] 방학 맞아 학생들끼리 떠나기 좋은 지하철 데이트 코스 추천 1 file 2018.12.27 정하현 16846
생태교란종 "붉은귀거북" 무더기 발견 file 2020.05.11 김은준 16849
한국에서 접하는 이슬람, '한국이슬람교 부산성원' file 2017.05.14 허재영 16853
점 하나의 기적, 블랙 닷 캠페인 9 file 2017.02.16 김효원 16856
미디어를 테이크아웃 하라 file 2017.09.27 고은서 16856
2018년 우리들의 트렌드, 소확행 file 2018.05.23 정현택 16856
이주민들의 희망센터, 로뎀 1 file 2017.03.19 김다은 16857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file 2021.07.12 김윤서 16858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6861
'명량' 제치고 1위...그 어려운 걸 '부산행'이 지꾸 해냅니다. file 2016.07.25 이채은 16862
색다른 서울 근현대사 탐방하기 file 2019.07.25 최민주 16862
“나도 성악가” 부천 소사에서 펼쳐지는 가곡교실 4 file 2017.02.16 김준희 16863
수화가 아니라 수어라고? - 조금은 특별한 봉사활동 file 2017.10.24 홍정연 16863
평화의 소녀상의 거제 나들이 2 file 2018.01.29 최다영 16865
달콤함의 향연, '슈가플래닛'에 다녀오다! file 2018.12.17 송지윤 16865
배고플때 짜증이 난다? file 2017.03.25 진다희 16868
다른 세상에 사는 두 소녀의 이야기,<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 file 2018.03.29 김수민 16868
'희움일본군위안부역사관'에 다녀오다. 2 file 2016.03.13 권은다 16870
중국의 추석, 중추절 file 2017.10.23 이진하 16870
[MBN Y포럼] 대한민국 영웅들과 함께 꿈과 비전을 심다! 5 file 2017.02.11 고아연 16871
부산의 기자 꿈나무들, 부산일보에 모이다 file 2016.04.05 이민지 16872
카이스트가 해냈다! 이제 집에서 신경치료 하자! file 2018.11.16 백광렬 16872
공정무역이란? 2017.11.02 최인혜 16877
학생들이 스스로 만들어나가는 독서토론 문화, '읽다, 나누다, 느끼다' file 2017.09.11 오우택 16878
무더위도 잊게 만드는 뜨거운 과학 열기 속으로 1 file 2017.08.25 이지호 16885
새 학기 가방고민, 한방에 해결하기! 1 file 2017.02.24 이서영 16886
창원 시민들의 화합의 장 '제15회 창원야철마라톤대회' file 2019.04.18 민서윤 16886
김해시 대학병원 유치 실현에 시동걸어 2 file 2017.05.05 김규리 16887
자원을 생각하는 컵 1 file 2019.08.12 박지예 16887
대한민국 그 자체, 아름다웠던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 5 file 2018.02.12 서태란 16888
시인 정지용의 '제32회 옥천 지용제' file 2019.05.27 양유빈 16889
울산 태화강, 예쁨예쁨한 '한복입은 봄 페스티벌' 4 file 2017.05.15 4기임소연기자 16891
프로야구 두산, 다시 새로운 시작 1 file 2016.04.02 양지호 168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