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사람이 포켓몬을 잡는 건지 포켓몬이 사람 잡는 건지...

by 6기이지은기자A posted Feb 09, 2017 Views 166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사람이 포켓몬을 잡는 건지

포켓몬이 사람 잡는 건지...



 마 전 우리나라에도 포켓몬 GO가 상륙을 하여 열풍이 일어났다.

 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포켓몬 잡는 학생들.

추운 날씨인데도 불구하고 무엇이 그리 즐거운지 핸드폰만 바라보며 뛰어 다니는 학생들의 모습이 위험해 보이기도 한다.


왜 학생들이 포켓몬 GO게임에 열광하는 걸까? 왜 포켓몬 게임이 아이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얻게 된 것일까?

ggggggg.jpg?hyhyhyhyhy.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 4기 이지은 기자]


 그 이유는 아이들에게 한창 인기 있었던 포켓몬이라는 만화 캐릭터들과 상품들로 낯설지 않은 환경이 만들어진 상태에서 게임을 통해 직접 포켓몬을 잡을 수 있게 되어 학생들의 인기를 한 몸에 받을 수 있게 되었던 것이라고 게임관계자는 설명하고 있다. 또한 현실증강 서비스를 통해서 가상의 공간이 아닌 현실의공간이 내 핸드폰 안에서 펼쳐지며 순간 나타나는 포켓몬을 잡는 방식으로 현실성을 더했기 때문에 더욱 흥미를 느끼게 된 것이다.

하지만 포켓몬GO의 인기가 날이 갈수록 높아짐에 따라 그에 못지 않은 많은 문제점 역시 나타나고 있다.


공부를 하다가도 포켓몬GO를 하기 때문에 자신의 학습방해는 물론 주변 학우들에게도 학습에 방해를 입히는 일이 많아지고 있으며 길을 걸어가면서도, 신호등을 건너면서도 핸드폰에 시선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위험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사고들이 현실에서 벌어지고 있다고 뉴스에 여러차례 보도된 사례가 있다.


개발사 나이앤틱은 포켓몬GO를 하다가 사고가 난다면 사고 책임은 전적으로 이용자에게 있고 게임 이용 시 발생하는 피해에 대해서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는다는 원칙을 내세웠기 때문에 사고 시 보호받을 수 있는 어떠한 조치도 없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해야 할 공부와 운동 등의 다양한 활동들이 포켓몬GO에 밀려 등한시 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혹은 게임에 중독이 되지 않으려면 학생 자신만의 규칙을 (가령 시간의 제한, 걸어다니면서는 하지 않는다. 등)정해서 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일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사회부= 4기 이지은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한제은기자 2017.02.10 01:16
    초등학교 2학년인 제 동생도 하는 게임이라서 관심이 많았는데, 전체적으로 문제가 많은 게임인것 같아요..
  • ?
    4기정예빈기자 2017.02.11 11:38
    저도 포켓몬고를 하는 유저인데 사람들이 휴대폰만 보며 걸어다녀서 종종 부딪히고는 해요. 안전한 게임 플레이를 위해서 휴대폰만 붙잡고 있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
    4기정예빈기자 2017.02.11 11:38
    저도 포켓몬고를 하는 유저인데 사람들이 휴대폰만 보며 걸어다녀서 종종 부딪히고는 해요. 안전한 게임 플레이를 위해서 휴대폰만 붙잡고 있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
    5기정예진기자 2017.02.11 19:59
    포켓몬고를 사용했던 유저입니다 사용하다보니 굉장히 위험한 것 같아요 ㅠㅠ 모두들 휴대전화만 보고 걷는 좀비 같기도 하고 포켓몬고에 다스려지는 것 같아 얼른 삭제했습니다 좋은 게임인만큼 안전하게 사용해서 사고가 없기를 바랍니다 ㅠㅜㅠ 좋은 기사 감사해요~
  • ?
    6기이종은기자 2017.02.11 21:55
    저는 개인적으로 요즘 포켓몬고 사용 유저가 많이 늘어나는 만큼, 이용하기 전에 유의 사항이나 규칙들을 잘 익힌 다음에 그 게임을 하는 것이 안전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
    4기이윤영기자 2017.02.11 23:40
    재미는 있지만 안전에는 한없이 위험한 게임인것같아요! 좋은기사 잘 보고 갑니다!
  • ?
    4기정재은기자 2017.02.12 00:34
    아무리 좋은 프로그램이라도 이용자의 에티켓과 주의가 꼭 필요한 것이겠죠. 프로그램이 더 활성화 되려면 이용자들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임상희기자 2017.02.12 18:54
    포켓몬고가 과학기술발전으로 좋아할 수 만은 없겠군요ㅠ 우리나라에 포켓몬고가 들어오기전에 외국에서 범죄자가 제발로 경찰서에 들어갔다는 기사보고 무서웠는데 우리나라도 그렇게 될까봐 무서워요ㅠ
  • ?
    4기이건학기자 2017.02.12 22:52
    제 친구들도 '망나뇽잡았다!!', '포켓몬 잡으러 갈사람' 등 포켓몬고에 대한 SNS글들을 많이 보았습니다. 포켓몬고의 열풍과 인기는 좋지만 이것때문에 하던일마저 멈추고 게임에 몰두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는게 문제지요. 포켓몬을 잡으러 휴대폰을 들고 다니다가 다치는 경우도 다반사에요 ㅠㅠㅠ 재미있고 GPS기술을 이용한 게임이라는 점에서 인정받고 대단한 점이지만 어떻게 보면 절제가 필요한 때인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247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84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4157
사과, 어려운 일 입니까? 5 2017.09.12 5기김경원기자 11502
사교육 이대로 가도 문제없는가..! file 2017.03.20 이현 10350
사드 반대했더니 불순세력, 사드배치 반대했더니 지역이기주의 file 2016.07.24 조민성 15583
사드 배치, 남한을 지킬 수 있는가 17 file 2016.02.16 고건 17097
사드 배치, 황강댐 ‘수공’ 레임덕 완화 도구 1 file 2016.07.18 이민구 14744
사드 배치에 성난 성주, 김천 주민들… “사드가 안전하다면 청와대 앞마당에 놓으세요” 1 file 2016.08.25 유진 15616
사드 보복 조치에 정면돌파? 4 file 2017.03.27 김찬 10526
사드 보복, 경제적 손해량은 어느정도일까 file 2017.03.19 이수현 11220
사드 아직 끝나지 않은 3 file 2017.05.30 김도연 12302
사드, 그리고 각국의 시각 3 file 2017.03.22 김규리 12685
사라져가는 교복의 의미 4 file 2018.12.27 정지혜 18090
사라져가는 프랑스의 엘리트주의 file 2021.04.26 김소미 9928
사라져야 할 권력 남용 5 file 2017.03.31 전원정 15958
사라지는 통일의 필요성.. 대책은 무엇인가 3 file 2017.08.17 김정환 11444
사라진 여당 추천위원들… 이대로 세월호 특조위 무력화 되나 9 file 2016.02.25 유진 16405
사람 하나 잡는다, 가짜 뉴스가 뭐길래? 5 2017.02.24 김가은 14768
사람이 포켓몬을 잡는 건지 포켓몬이 사람 잡는 건지... 9 file 2017.02.09 이지은 16623
사랑하는 가족들을 위해, 오늘 하루 만큼은 금연하세요 2014.07.31 장정윤 22887
사법부, 잇따른 영장기각 file 2018.11.07 박상준 10318
사법시험 폐지의 합헌 결정에 대한 반발, 그 이유는? 1 file 2018.01.18 이승민 11333
사법시험의 폐지와 '로스쿨 제도' 5 file 2017.07.25 최서진 11417
사생팬의 위태로운 경계 1 2017.10.23 김다은 14622
사우디아라비아의 많은 변화, 여성들 새 삶 출발하나? 3 file 2018.10.12 이민아 11273
사은품 가방 얻고 난 후 버려진 커피 300잔 file 2020.05.28 김태희 8175
사이버 폐가는 불법 마약 판매상의 놀이터 file 2018.02.21 조승주 11460
사재기, 보이지 않는 검은 손 2 file 2016.09.25 강하윤 16242
사지 않습니다, 가지 않습니다, NO JAPAN file 2019.08.29 선혜인 13737
사형제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file 2017.08.17 신지 22448
사형집행은 사형집행관이 한다 1 file 2018.08.30 정해린 10798
사회를 갉아먹는 '인간바이러스' file 2020.09.03 김예한 8299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이대로 경기는 나아질까 file 2021.12.20 박서빈 8574
사회적 거리두기 무시한 채 이태원 간 연예인들 file 2020.05.21 배선우 11599
사회적 문제 학교폭력, 법적 관념에서 답을 찾다 file 2017.11.23 김현재 11681
사회적 사각지대 속 청소년 부모, 긴급복지지원 법 발의되다 file 2020.07.27 김예한 10391
사후 피임약, 의사의 처방 없이 구매할 수 있어도 될까? file 2018.10.01 박효민 15794
산사태와 폭우 피해를 줄여주는 사방댐 file 2019.10.28 윤혜림 15491
산업 현장은 아직도 사이버 공격에 취약하다,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랜섬웨어 사건” file 2021.07.09 우상영 7891
산업부 삭제된 ‘北 원전 건설’ 문건 공개...원전게이트인가? file 2021.02.05 이승열 10987
산업재해로 멍든 포스코, 포항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1 2021.02.18 서호영 7532
살색이 아닙니다. 살구색입니다. 3 2018.09.28 박시현 12100
살충제 계란 파동, 그 현황과 피해 1 file 2017.09.01 오수정 12552
살충제 계란, 그것이 알고싶다 file 2017.08.30 강명진 10178
살충제 계란, 지금에서야 밝혀진 이유 1 file 2017.09.07 김연아 13052
살충제 계란의 해결은 동물복지농장과 정부의 철저한 관리 1 file 2017.09.01 최나연 11202
살충제 달걀 사건으로 알아보는 살충제 이야기 2 2017.09.04 최수혜 11644
살충제 달걀 파동, 그 결과는? 1 file 2017.08.25 김민 11357
살충제 달걀, 과연 우리는 안심하고 먹어도 될까? file 2017.08.29 임수연 9627
살충제 달걀에 이은 물의 식료품 안전 문제 1 file 2017.10.12 장예진 103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