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7년이란 세월을 버텨온 당신께, 이제는 웃는 7년을 선물하고 싶습니다.

by 4기임하은기자 posted Feb 03, 2017 Views 159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답답한 현실에 괴로워하는 사람들에게 불난 집에 부채질하듯 기름을 끼얹는 언론을 보며 우리는 한탄한다. 언론이 자신의 본분인, 정권을 감시하는 역할의 의무를 잊은 지금 딱 맞는 영화가 상영 중이다.


최종 사진.png

[이미지 촬영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임하은기자]


7년 간 싸워온 자랑스러운 언론인의 이름으로.

 

지난달 30, 본 기자는 부산 영화의 전당 인디플러스 필름 시사실에서 ‘7그들이 없는 언론’(감독 김진혁)을 관람하였다. 평소 독립영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영화의 내용 또한 궁금하였기에 가벼운 발걸음으로 영화관을 찾았다. 영화의 내용을 하나도 알아보지 않고 영화를 관람하였는데 예상했듯 영화가 담고 있는 이야기는 다소 우울하였다. 정당한 것을 요구하고 진실을 파헤치는 언론인들이 갑작스레 직장을 잃거나 중징계를 받는 안타까운 장면들이 영화를 채워나갔고 그때마다 관람객들은 언짢은 한숨과 어이없는 조소를 흘려보냈다. 영화가 가지는 핵심 화제는 정경유착(政經癒着)’을 방불케 하는 현재 정치와 언론의 연관성에 관한 것이었고 그로 인한 영화의 목적은 지금의 언론이 얼마나 반성할 것들이 많은지, 그것들을 되돌아보게 하는 것과 훗날 이런 사단이 반복되지 않도록 이것들을 기억하는 것이라 생각되었다.



지난날과 반복되는 현실.

 

2008년 이명박 정부 시절, YTN 신임 사장으로 이명박 대통령 대선 당시 언론특보였던 구본홍이 내정된다. 이것에 반발한, YTN에서 몇 년간 부지런히 YTN을 위해 일해오던 기자들은 노종면 기자를 중심으로, 낙하산 사장의 선임을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게 된다. 그들은 구본홍 사장의 출근길에서도, 사장실 앞에서도 반대 시위를 했고 나중엔 단체 파업을 선언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은 이상하게 흘러가며 구본홍은 거세게 반발한 기자들을 상대로 중징계와 해고라는 터무니없는 징벌을 하사하게 된다. 이때 해고를 선고받은 기자는 총 13명이었다. 그 와중에 그들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던, 그들의 선배였던 배석규 전무는 20098월 구본홍 사장의 돌연 사퇴 후 자연스럽게 그 자리를 물려받는다. 나중에 그 이유를 살펴보니 ‘YTN 인사 보고 현황은 배석규 전무를 현 정부에 대한 충성심이 돋보이며라고 말하고 있었다는, 정말 어처구니없는 이유다. 이때까지는 위에서 꽂아준 YTN의 사장이었지만 배석규는 현재 한국케이블 TV 방송 협회장이 되어있다. 얼마나 그 생존력이 대단하고 유명하면 미디어오늘에 한 기자는 그를 베어 그릴스(=영국 디스커버리 채널 ’Man vs. Wild’에서 진행자로 세계 오지 야생에서 언제나 살아남아 생존왕이라는 호칭이 있음)도 울고 갈 생존왕이라는 제목으로 기사를 썼겠나.

 

 

 영화에 등장하는 어리바리한 사장이 또 한 분 계시다. 바로 MBC 사장으로 위촉되었던 김재철 사장이다. 이 분도 위와 마찬가지로 이명박 정부 시절 낙하산으로 사장 자리에 앉았으며 사장 역할을 지내는 동안 MBC의 인기 많고 착실했던 여러 직원들을 향해 칼날을 들이밀었다. [PD 수첩]을 이끌며 서울시 공무원 간첩 조작 사건을 배경으로 자백’(감독 최승호)이라는 다큐멘터리를 만든 최승호 PD와 실질적으로 파업을 실행했던 박성제 기자회장, 세월호 보도 참사에 대한 사과의 글을 올렸던 권성민 PD가 모두 피해자이다영화에서 이 분은 관람객들에게 아마 가장 많은 웃음을 주었을 것이다. 기자회견 도중 한 기자의 질문에 얼토당토않은 대답을 하거나 도망 다니는 자신에게 김재철 사장이냐 물었을 때 그런 사람(자신)이 아니라고 말하는 그런 장면들에서는 웃음을 참기 힘들었다. 과연 정치인이 최고의 코미디언이라 말하고 싶다.

 


지금도 모두에게 진행형인 좋은 언론찾기

 

생뚱맞은 징벌이었기에 몇 달 후에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을 거라 믿었던 기자들은 무참히 무시당했다. 영화를 보면 알 수 있지만 몇 명의 기자들은 3심까지의 재판에서도 해고 무효 선고를 받지 못했다. 아직 제대로 된 사과 한 번 받아보지 못하고 자신의 청춘을 바쳤던 회사로 돌아갈 날을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한 해직기자는 그 7년 동안 많은 것을 시도했다고 한다. 처음 회사에서 해고되었을 때는 그 스트레스와 불안감이 날로 심해져 스트레스를 풀 어떤 것을 찾기 시작하면서 하나둘씩 시작해 본 것이 작은 텃밭 가꾸기와 마라톤이라고 했다. 영화는 마라톤을 달리는 기자를 배경으로 엔딩 크레디트가 올라간다. 난 아직도 그 장면에서 봤던 어두컴컴한 시간과 힘겹게 달리는 기자의 모습이 잊히지 않는다. 영화는 관람객에게 좋은 언론을 찾는 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다. 그 방법이 그들 안에서 어떻게 표현될지는 모른다. 이 글을 보는 모든 이에게 이 영화를 추천하며 좋은 언론을 함께 해주기를 바라는, 그런 소소한 소망을 말해본다.


 영화는 전국의 인디 영화 극장(서울 아리랑시네센터, 필름포럼, 인디스페이스, 더 숲 아트시네마, 에무시네마, / 부산 아트 씨어터 C+C, 영화의 전당, 국도예술관 / 대구 오오 극장 / 경상 안동 중앙시네마, 씨네아트 리좀 / 경기  헤이리 시네마)에서 상영 중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임하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서경서기자 2017.02.03 23:15
    언론의 힘이 약해지고 있는 지금, 이 영화가 대한민국에 꼭 필요한 것 같습니다. 더 많은 상영관에서 상영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좋은 정보,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임하은기자 2017.02.03 23:19
    상영관이 점점 적어지는 추세인데 더 많은 관객분들이 얼른 영화관을 찾으셨으면 좋겠네요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4기김소희기자 2017.02.05 08:29
    이 기사를 보고 저도 영화 '7년'을 꼭 감상하고 싶어졌어요. 하지만 저희 지역에는 상영관이 없나봐요. 너무 안타깝습니다. 언론의 바른 발전을 위해 정말 많은 힘을 주는 영화 같아요. 나중에 꼭 굿다운로드로 감상하겠습니다!
  • ?
    4기김서영기자 2017.02.05 17:20
    이 영화가 많이 흥행해 다른 대중들도 많이 보았으면 좋겠어요 ㅎㅎ 저도 이 영화 봤는데 많은 생각이 드는것 같아요 좋은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6기김나림기자 2017.02.05 19:33
    저희 동네에서는 상영하지 않아 정말 아쉽네요..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꼭 찾아보고 싶어요!
  • ?
    4기이하영기자 2017.02.05 22:08
    기사를 읽으면서 영화를 관람하고 싶어졌는데, 상영중인 영화관을 소개해주셔서 좋았습니다. 좋은기사 잘 읽고갑니다:)
  • ?
    4기이건학기자 2017.02.05 23:07
    기사 잘읽었습니다. 이와 비슷한 영화를 보고 꿈을 결정하는 계기가 되었는데 기회가 된다면 한번 보고 싶네요
  • ?
    4기박수지기자 2017.02.07 17:41
    언젠가 꼭 보고싶은 영화네요. 많은 생각이 드는 좋은 기사였습니다. 잘읽고갑니다!
  • ?
    4기유림기자 2017.02.08 10:49
    이런 주제를 나타내는 영화가 많이 사람들에게 알려져 유명해졌으면 좋겠습니다.
    언론이 가져야할 올바른 태도를 보여주는 영화인 것 같습니다.
    주위에 극장이 없다는게 아깝네요. 시간이 되면 꼭 한번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좋은 기사와 정보 감사합니다.
  • ?
    4기백민하기자 2017.02.09 03:21
    저와 같은 영화를 관람하고 오셨네요. 개인적으로 이 영화는 공영방송 파업에 대해서 하나도 모르는 분들이 보시면 정말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하는데 일단 상영관이 너무 없죠... 엠병신이다 욕하기 전에 일선 기자분들과 PD분들이 지금 어떤 언론 환경에서 일하고 계신지 좀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최승호 PD는 아직도 자신이 왜 해고됐는지 모르겠다고 하시죠ㅋ.. 많은 분들이 언론의 정상화가 되기까지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응원해주셨으면 좋겠는데... 이미 사람들은 jtbc있는데 왜 필요하냐는 분위기죠ㅋ안타깝습니다
  • ?
    4기서다민기자 2017.02.11 12:12
    꼭 보고 싶은 영화인데 제가 사는 곳의 영화관에서는 아쉽게도 상영을 하지 않더군요. 정말 아쉬웠습니다. 다음에 기회가 생기면 꼭 볼 예정입니다!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2400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2144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43472
코로나 악조건 속 흥행 중인 영화 소울, 어떤 영화길래? 2021.01.27 유채연 15364
코로나 신조어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file 2020.09.23 조수민 14866
코로나 시대로 열린 새로운 시장 경제 file 2021.10.28 한지윤 9003
코로나 시대로 급증하는 일회용품 사용률…해결책은 제로 웨이스트 운동? 2 file 2021.08.23 정지운 25903
코로나 시대, 새로운 야구 관람 문화 file 2021.05.24 송유빈 12122
코로나 시대 소외당하는 청각장애인 1 file 2021.06.09 김지윤 20815
코로나 따라 상승기류 타는 'OTT 서비스' file 2020.10.05 차준우 14146
코로나 걱정없는 '사이버 박물관'으로 초대합니다 2 file 2020.07.01 진효원 14013
코로나 19로 인한 해수욕장 긴급 폐장 file 2020.08.26 김민영 11710
코레일이 운행하는 부산 동해선(동해 남부선) 토큰용 승차권의 슬픈 사연. 2 file 2017.02.24 김선태 17290
코딱지보다도 작은 복권 당첨 확율 2 file 2017.04.19 이종은 14632
코딩에 관심 많은 친구들이라면 'NYPC 토크 콘서트 : 코딩하는 대로' 주목! 2017.08.10 임채민 16864
컬러풀 대구 페스티벌, 그 뜨거운 현장! 1 file 2016.05.08 서지민 22064
커피향이 솔솔 '2017 강릉커피축제' 1 file 2017.10.26 김동근 14615
커피 한잔으로 좋은일 하기, 공정무역카페 file 2018.12.21 정유현 16479
캣조르바 탐정추리학교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3 file 2019.02.08 심화영 23052
캐나다 작가들과 함께하는 영어 글쓰기 워크숍, "이제 나도 영어로 글을 쓸 수 있어요." file 2016.07.25 김은비 18374
캄프 누에서 열린 골 잔치 4 file 2017.01.15 최민규 15581
캄보디아의 아픈 기억, 킬링필드(Killing Fields) file 2020.02.14 윤하은 14468
카페, 전시, 음악을 즐길 수 있는 곳, 노원 더숲 1 file 2017.07.22 신현민 20058
카페 프랜차이즈 가격 인상, 약 10년 만에 오른 커피 가격 1 2022.02.17 조민채 10410
카카오프렌즈 뮤지엄에 가다 9 file 2017.01.15 임수연 20964
카카오게임즈에 이어 빅히트 엔터테인먼트까지, 공모주 청약 돌풍 file 2020.10.26 이채은 12254
카이스트가 해냈다! 이제 집에서 신경치료 하자! file 2018.11.16 백광렬 16544
카메라로 세상을 보는 우리는 꿈의학교 '카메라른 든 아이들' 입니다. 6 file 2017.02.15 이승연 13606
카레의 숨겨진 효능 1 file 2021.12.21 김다혜 9719
카네이션도 법에 걸린다고요? 3 file 2017.05.15 강예원 13802
침묵의 암살자 2 file 2017.04.16 정가원 13852
친환경적인 브랜드, 프라이탁 1 file 2020.06.15 설수안 23026
친환경 실천하면 포인트 쌓인다...탄소중립포인트 제도 file 2023.05.06 이주하 7132
친환경 사기꾼 '그린워싱'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file 2017.05.25 이경림 16980
친환경 기업임에도 정상에 선 '앱솔루트 보드카' 이야기 file 2021.01.25 권태웅 15002
친숙하지만 낯선 존재, '물' 1 file 2018.03.26 강지희 15978
친구, 연인, 가족끼리 <리멤버> 촬영지로 놀러가자! 1 file 2017.03.24 김민서 13224
치킨뿐만아니라 돼지고기랑 소고기도 못 먹는다고?? 1 file 2017.02.23 정예림 13414
치킨값=목숨값? 스웨덴은 법만 지키면 운전하다가도 떡이 생긴다 4 2020.09.29 문청현 16254
치킨값 인상… 소비자 얼굴에도 인상! 1 2017.03.18 장예나 14016
치우는 만큼 즐거워지는 계곡 피서 file 2017.08.23 손지웅 15187
치열했던 무안고와 천안신당고의 접전… '2019 대한핸드볼협회장배 전국 중·고등 선수권 대회' file 2019.03.25 배시현 23948
치약 시장에 부는 프리미엄 바람...그릿메이드 치약 직접 써보니 "부드럽네" file 2023.08.22 홍혜린 5441
치명적인 바이러스의 진화, 인류의 선택은? 2017.03.04 신온유 18748
치매, 치료의 길 열린다! file 2017.03.18 장현경 16182
치과 공포증, 존재하는 질환일까? 3 file 2020.09.17 김수경 15775
취임사에서 '통합' 강조한 바이든…샌델은 '능력주의 극복'을 말한다 1 file 2021.01.25 김도원 13280
취미, 이제는 즐거움과 집중력의 두마리 토끼를 잡다 4 file 2016.03.13 이지수 17563
충치 치료, 때울 필요 없다? 8 file 2017.02.20 김나현 18797
충청북도청소년종합진흥원, 2022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file 2022.08.03 이지원 8450
충청북도선거관리위원회와 함께하는 <신한은행 2017-2018 여자프로농구> 1 file 2018.02.09 허기범 149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