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전쟁의 제물로 희생된 수많은 진실, 연극 <벙커 트릴로지>

by 4기김단비기자 posted Feb 01, 2017 Views 185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벙커 트릴로지-포스터-이석준외.jpg

[이미지 제공=아이엠컬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전쟁에서는 진실이 첫 번째 제물이다.’


 고대 그리스의 극작가 아이스킬로스가 했던 말이다. 영국의 연출가 제스로 컴튼의 연극 <벙커 트릴로지>는 전설과 고전을 각색하여 전쟁 당시 희생되어 잊힌 수많은 이들의 삶과 진실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지난 12월에 공연을 시작하여 많은 관객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제 1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하는 이 작품은 ‘모르가나’, ‘아가멤논’, ‘맥베스’, 세 가지의 각기 다른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 공연은 연극 <카포네 트릴로지>, <모범생들> 등으로 호흡을 맞춰온 김태형 연출과 지이선 작가가 함께했다.


 트릴로지 시리즈는 각각의 공연이 세 개의 서로 다른 비극으로 이루어진 시리즈로, <벙커 트릴로지>는 지난 2015년 초연, 2016년 재연되어 많은 이들의 관심과 애정을 받으며 성공적으로 끝난 <카포네 트릴로지>에 이어 국내에서 공연된 두 번째 트릴로지 시리즈이다. 세 번째이자 마지막 시리즈인 <프론티어 트릴로지> 역시 국내 공연 계획 중에 있다.



무대입구.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단비기자]

무대, 객석으로 들어가는 입구




 <벙커 트릴로지>의 세 에피소드는 모두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다. 전쟁의 시기 순서대로 본다면 모르가나, 아가멤논, 맥베스 순서이지만, 굳이 순서대로 보지 않거나 셋 중 하나의 에피소드만 보아도 내용을 완벽히 이해할 수 있도록 나뉘어 있다. 세 개의 작품을 모두 관람하면, 에피소드들을 관통하는 공통된 상징과 메시지를 확실하게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각 에피소드별로 어떤 전설과 고전을 모티브로 했으며, 어떤 내용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점에 주목하며 관람하면 좋을지 알아보자.




1. 모르가나


 ‘마법, 믿어요? 당신을 행복하게 해주는 것은 모두 마법이에요.’


 제 1차 세계대전 초반을 배경으로 하는 모르가나에는 서로에게 ‘원탁의 기사’ 전설에 등장하는 아더 왕과 기사들의 이름을 붙여 부르는 영국 소년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전쟁을 가벼운 등산이나 게임쯤으로 생각한 소년들은 다함께 군대에 자원입대하지만, 열 명의 소년들은 이미 희생되었고, 남은 세 명은 아더, 랜슬롯, 그리고 가웨인 뿐이다. 참혹한 전쟁터, 두려움 속에 지내고 있는 소년들은 자신을 행복하게 하는 환상을 그려가며 하루하루를 버텨나간다. 세 소년 중 가장 어리고 순수한 가웨인은 무인지대에 나타나는 한 여인의 환상을 본다. 더 이상 그 누구도 어린 소년의 말을 귀담아듣고, 함께 노래하고 기도하지 않았던 전쟁 속에서 가웨인은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자신이 부르는 노래를 듣고 기뻐해주며, 의지할 수 있게 한 환상 속의 여인 모르가나에 점점 사로잡혀간다.


 모르가나는 헛된 상상에 의지해야만 버텨낼 수 있었던 안타까운 현실을 세 소년을 통해 보여준다. 공연 후반부에 아더가 랜슬롯에게 더 이상 서로를 기사들의 이름으로 부르는 놀이 따위는 그만해야 한다고 말하는 대사를 들으며 커 버린 소년들이 현실을 깨닫는 모습에 많은 관객들이 안타까운 표정을 짓기도 한다.

 모르가나를 관람하는 관객들은 조명과 음악 등의 변화를 통해 현재로부터 자연스럽게 전환되는 과거와 환상의 모습들을 기대해도 좋다. 장면에 따라 매 순간 달라지는 배우들의 연기 역시 매우 훌륭하다.



2. 아가멤논


 ‘내가 편지를 보냈잖아. 수십 통을 보냈잖아! 아기가 죽었다고, 오빠들이 죽었다고, 내가 죽어가고 있다고! 그런데 당신은 답장을 하지 않았어. 집에 오지도 않았지!’


 제 1차 세계대전 중반을 배경으로 하는 아가멤논은 아이스킬로스의 고대 희랍극 <아가멤논>을 모티브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아가멤논에는 최고의 저격수라 칭송받는 독일군 알베르트와 그의 영국인 아내 크리스틴이 등장한다. 전쟁에 대한 사명감과 명성 때문에 가정에 신경을 쓸 수 없었던 알베르트로 인해 독일에 홀로 남아야만 했던 크리스틴은 영국인에게 앙심을 품은 한 독일인의 손에 알베르트와 낳은 아기까지 죽자 더 이상 의지할 곳이 없어지게 된다. 알베르트가 아기가 죽었다는 사실은커녕, 아기의 이름조차 알지 못했다는 것을 안 크리스틴은 자신을 사랑하는 남자 요한과 세운 돌이킬 수 없는 계획을 실행하기로 마음먹는다.


 아가멤논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장면은 알베르트와 크리스틴이 마주 앉아 각각 치킨과 사과를 먹는 장면이다. 독일에 있는 집과 전쟁이 벌어지는 벙커 속이 교차되는 공간에서, 집의 문을 열고 들어선 이를 향한 크리스틴의 칼과 벙커에 들어선 이를 향한 알베르트의 총이 결국 서로를 겨누는 연출에는 감탄이 나오기까지 한다. 음식을 섭취하면서도 연기를 하는 배우들의 모습 역시 돋보이는 장면이다.


 아가멤논은 처절한 주인공들의 모습에 가장 많은 관객들이 눈물을 흘리는 에피소드이기도 하다. 작품은 수많은 가정을 대변하는 두 사람을 통해 전쟁 속에서 위협받았던 평범한 가족과 피폐한 현실 속에서 그들의 인간다움이 파괴되어가는 모습을 생생히 그려낸다. 전쟁 이전의 행복했던 시절과 냉혹한 전쟁의 시대, 마지막에 드러나는 반전까지 완벽한 스토리를 느끼고 싶다면 아가멤논을 관람하는 것이 좋다.


3. 맥베스


 ‘꺼져라, 꺼져라 찰나의 촛불이여. 인생이란 그저 걸어 다니는 그림자.’


 맥베스는 제 1차 세계대전의 막바지에 이르러 종전을 자축하는 전야제를 배경으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군대에 자원입대한 노동자 계층의 청년 마크는 노력 끝에 대대장으로 진급한다. 그는 야전병원의 간호사인 릴리에게 횡포를 부리는 장군을 찔러 죽이게 되고, 빈 장군 자리를 임시로 맡게 된다. 그는 그가 그토록 싫어했던 자비 없고 배려 없는, 권력만을 믿고 기세등등했던 지금까지의 장군들처럼 변해가고, 그렇게 변해가는 마크 장군은 자신을 둘러싼 커다란 계획을 알지 못한 채 전야제에서 공연되는 셰익스피어의 비극 <맥베스>의 주인공을 맡는다.


 이 에피소드는 현실과 연극이 매끄럽게 연결되는 연출이 정말 훌륭하다. 촛불이 켜진 상태에서는 전야제 연극 맥베스의 공연이 진행되고, 촛불이 꺼진 상태에서는 전야제 이전에 있었던 일들을 보여준다. 현실의 마크와 극 속의 맥베스가 변해가는 모습이 서로를 상징하기 때문에, 한쪽의 장면이 생략되어도 관객들은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다.


 특히 현실에서 일어난 독가스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인물들이 방독면을 쓰면 맥베스에 등장하는 마녀들을 연기하는 모습으로 전환되는 연출을 보고 많은 이들이 놀라움을 표한다. 현실과 연극의 구분이 자연스러우면서도 명확하도록 표현해낸 데에는 배우들의 역할도 크다. 객석에 앉아 있는 관객들은 배우들이 인물들의 심리 변화를 표현하는 것부터 숨소리 같은 사소한 것 하나까지 섬세하게 신경 쓰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맥베스는 마지막 시기의 에피소드인 만큼, 세 개의 에피소드를 모두 아우르는 메시지를 전하는 결말의 대사도 인상적이며, 관객들이 전야제 연극을 관람하는 군인으로서 작품의 일부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 연출도 돋보이는 작품이다.


 세 에피소드를 모두 관람한 관객들에게 가장 마음에 들었던 작품이 무엇인지 물어보면, 관객들의 대답이 전부 제각각이다. 모르가나의 몽환적인 분위기를 선호하는 관객들이 있는 한편, 아가멤논의 안타까우면서도 가슴 아픈 드라마가 취향인 관객들이 있고, 맥베스의 고전적인 매력과 강렬한 에너지에 큰 감명을 받은 관객들도 있다.


 <벙커 트릴로지>에서는 밀폐된 극장을 1차 대전의 참호로 실감 나게 구현해냈다. 약 100석밖에 안 되는 적은 객석이 무대를 둘러싸도록 ㄷ자 구조로 배치되어 무대와 객석의 경계가 모호하며, 공간이 매우 좁아 실제 공연 중 배우가 1열 관객의 발을 밟는 경우도 있다. 건너편에 앉은 관객과 마주 보고 앉아 관람해야 한다는 부담감, 객석 간의 좁은 간격과 답답한 공연장이 주는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코앞에서 연기하는 배우와 함께 호흡할 수 있고, 70분이라는 길고도 짧은 시간동안 완벽하게 몰입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많은 관객들이 특이한 벙커 내부에 매력을 느낀다.


 병사 1에는 이석준, 박훈, 병사 2에는 오종혁, 신성민, 병사 3에는 임철수, 문태유, 병사 4에는 정연, 김지현이 캐스팅되어 공연을 훌륭하게 이어가고 있다. 여덟 명의 배우 모두 탄탄한 연기를 바탕으로 전쟁이라는 무거운 소재의 작품을 완벽하게 이끌어나가면서 많은 공연 마니아들과 관객들의 만족스러운 평가를 받고 있다.

 참혹한 전쟁 속에서 희생된 진실들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연극 <벙커 트릴로지>는 다가오는 2월 19일까지 홍익대학교 대학로 아트센터 소극장에서 만날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4기 김단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이건학기자 2017.02.02 16:16
    전쟁이라는 주제로 관객의 소통하기 위해 객석 위치를 독특하게 편성한 제작진들의 노력이 돋보이는 것같습니다. 한번쯤 보러 가고 싶지만 가지 못해 아쉽네요 ㅠㅠ
  • ?
    4기김단비기자 2017.02.02 16:26
    보실 수 없다니 아쉽네요! 재공연이 꼭 올라오길 빌어봅니다 :)
  • ?
    6기최다인기자 2017.02.03 13:38
    글만 읽어도 벌써부터 연극이 기대되네요. 보러갈수만 있으면 정말 보러가고싶어요ㅠㅠ!
  • ?
    4기김단비기자 2017.02.03 16:39
    감사합니다! 봤던 연극들 중에 가장 인상적이었던 작품이라 저도 몇 번 더 보려고 예매했어요. 최다인 기자님도 볼 기회가 생기셨으면 좋겠습니다!
  • ?
    4기박미소기자 2017.02.03 21:43
    자세하게 작성해주신 기자님의 기사덕분에 뮤지컬 벙커 트릴로지에대하여 잘 알게된 것 같아요. 기사로만 보아도 정말 재밌을 것 같은, 기대되는 작품입니다. 특이한 벙커의 구조도, 3가지의 에피소드들로 진행된다는 것도, 정말 좋을 것 같아요. 저도 꼭 보러가고싶습니다. :)
    좋은 기사 정말 감사해요. : )
  • ?
    4기김단비기자 2017.02.03 23:47
    지금까지 본 적 없는 매력적인 작품인 것 같아 많이 감명을 받아서 기사가 점점 길어졌던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 ?
    4기김서영기자 2017.02.05 17:05
    꼭 한번 보러가야겠어요 좋은 정보 잘알고 가고 좋은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김단비기자 2017.02.06 01:21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4234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3955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1512
경기 부천에 '부천아트센터' 개관...문화도시 부천의 발돋움 file 2023.05.24 박도현 6740
경기 부천시 도당 1-1구역 투명한 재개발 위해 조합원 뭉쳤다 1 file 2022.04.04 지주희 30258
결혼, 이혼, 졸혼? 졸혼으로 보는 우리 사회. 4 file 2017.05.21 임하은 14945
결코 즐길 수만은 없는 '김해 부경동물원' 1 file 2017.08.21 최희수 20939
결과는 나왔고, 돌이킬 순 없다. 4 file 2018.02.22 이건 14232
격하게 반응하라 이것은 수학인가? 놀이인가? <제4회 강원수학나눔축제> 1 file 2019.10.25 강민지 20196
겨울을 녹이는 따뜻한 마음, 여러분은 가지고 계신가요? 1 file 2021.12.23 민유정 11111
겨울방학, 의미있게 보내셨나요? 2 file 2017.03.23 손예은 13631
겨울방학 모의유엔에 도전하고 싶다면? 1 file 2016.11.25 변지원 16011
겨울밤이 아름다운 ‘광양 느랭이골 빛축제‘ 1 file 2019.12.23 조햇살 17827
겨울궁전으로 본 러시아의 역사 file 2018.04.02 장세은 15814
겨울 필수품, 핫팩 완전정복 1 2018.01.29 박채리 16370
겨우 끝나가는 메가볼시티 사태, 피해는 누가 보상해주나 file 2017.05.24 양우석 15555
게임으로 배우는 유전자의 원리! file 2020.11.13 박선주 16690
게임문화 가족캠프, 가족 화합의 도구로! file 2022.12.16 이지원 8219
게임과 만화마니아들은 다모여라~!. "코믹월드" 7 file 2017.02.21 전현동 15775
게임 속 캐릭터, 자유를 외치다 '프리 가이' file 2021.08.25 김민주 13483
게임 속 등장하는 로봇, 현실 개발은? file 2017.05.24 이현승 17674
게으른 공부습관, 스터디 플래너로 바꿔보자! 10 file 2017.09.01 김다정 24349
검단 청소년 문화의집 청소년운영위원회 전문연수를 다녀와서... 5 file 2016.02.24 이해영 16360
걸어서 동화속으로, 파주 프로방스 2 file 2017.03.22 인예진 16325
걷기의 시작, 트렌드의 시작, 건강의 시작 2 file 2016.10.23 김가흔 17361
걷기 좋은 골목길, 방배 사이길! file 2017.10.02 최승은 19507
걷고 미니게임만 하면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2020 롱기스트런 언택트 펀 레이스’ file 2020.11.04 김도연 13695
건축학교 아키, 꿈을 짓는 건축캠프 개최 8 file 2017.02.01 오승민 16847
건국대 인문학연구원, 교양총서 ‘투 유 당신의 방향’ 출간 file 2023.01.16 디지털이슈팀 7680
건강 챙기는 대안생리대 알아보기 24 file 2017.01.09 이민지 15436
거짓 정보가 점령해가고 있는 인터넷, 이대로 가도 되는가? 2 file 2017.03.17 정혜원 19172
거제도, 우리나라 최초의 해저 터널이 만들어진 곳! 1 2017.09.19 김명빈 18483
거작들을 낳은 픽사의 '픽사 애니메이션 30주년 특별전' 2 file 2017.08.30 김수연 16879
거울아, 세상에서 가장 한복이 잘 어울리는 사람은 누구? 1 file 2019.04.05 오서진 20813
거리를 달리며 되새기는 5.18 민주화 운동 file 2017.05.23 박아영 14137
거리 위 작은 상담소, 아라메 카페를 아시나요? 1 file 2017.11.08 김은민 15760
거대한 보온병 하우스, 패시브 하우스가 무엇일까? 6 file 2020.04.13 김서연 15404
거대한 방주와 망망대해에서 펼쳐지는 신비하고 짜릿한 모험 [노아의 방주 2: 새로운 세계로] 2022.01.27 여인우 10257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 '거신: 바람의 아이' 18일 개봉 file 2023.05.25 유영진 9783
거대 IT기업 '애플' 1 file 2022.03.08 현예린 12374
거기 당신! 이번 주말에 여긴 어때요? file 2018.04.05 김리나 14895
갤럭시 노트9이 아닌 노트8.5였다 4 file 2018.08.20 윤주환 33426
갤럭시 노트 7, 삼성의 부활인가 2 file 2016.08.20 황지원 17151
개인화 마케팅 시대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까? file 2021.06.30 정윤선 13229
개소리를 알아듣는 방법, 카밍 시그널 file 2017.08.27 김수현 21365
개도 안 걸린다는 여름 감기, 건강관리는? 1 file 2017.08.27 이서윤 14602
개고기 식용 아직 풀지못한 과제 4 file 2017.08.06 김도연 16016
같은 듯 다른 일본의 교통 문화 3 2017.07.19 허재영 25826
강해져서 돌아왔다! 부활한 기아타이거즈 file 2017.04.28 서재성 14365
강원도 속초에서 전쟁의 상처인 실향민을 통해 ‘삶’을 배우다 file 2017.07.23 박예은 14424
강서학생자치연합 한마당, 우리끼리끼리끼리 Let’s get it get it get it file 2017.09.07 정민규 183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