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여성 혐오'와 남성 사이

by 4기최영인기자 posted Feb 01, 2017 Views 1788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여성은 불완전한 남성'. 고대 그리스 철학자로 알려진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성을 이렇게 정의했다. 과거 남성우월주의 사회에서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지위를 가지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이러한?이유로 '여성혐오'라는 개념 자체가 고대의 남성우월주의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을까? 사실상 그들의 사회에서 여성과 남성의 지위는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었고 그들 역시 스스로 당연시 여겼기 때문에 '여성혐오'의 정의는커녕 그 개념조차도 존재했다고 보기는 힘들다. 그래서 최근 사회에서 큰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여성혐오'는 그 당시 남성우월주의에 근거한 성 역할의 구별과는 조금 다른 문제이다.



IMG_20170201_09491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최영인기자]


 많은 사람이 '여성혐오'라는 단어를 그저 '여성을 혐오하다'라는 뜻으로만 받아들이는 데에는 여성혐오문제를 여성차별의 개념에 국한하여 생각하는 부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사전적으로 '여성혐오'를 여성과 남성을 동등한 주체로 받아들이지 않으며, 여성을 직설적으로 멸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여성 차별을 넘어 여성을 더욱 비하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말이다.


 우리는 주변에서 여성혐오와 관련된 사례를 너무나도 쉽게 접하고 있다. 남성들의 자유로운 성적 유희를 자랑거리로 삼는 걸 넘어 당연한 것으로 간주해버림과 동시에 여성들의 성적 유희 추구를 무작정 창녀로 내모는 '성녀-창녀 프레임'부터 집단 강간, 소라넷 사건, 여아 낙태 심지어 회사 내 승진 차별까지도 그 사례가 될 수 있다. 꼭 특정한 사건·사고 뿐만 아니라 평소에 무심코 내뱉는 말, 예를 들면 여성의 외모, 몸매와 가슴, 성스러움에 대한 발언과 여성과 남성을 구분 짓는 직업명, 그리고 이해심과 모성애를 찬양하는 여성숭배도 마찬가지로 '여성혐오이다.


 이렇게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아버렸을 정도로 심각해진 '여성 혐오'는 과연 사람이 저지를 수 있는 가장 흉악한 범죄행위인 살인까지 내몰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지난해 발생한 강남역 살인 사건에서 나왔다. 단지 여성 혐오 사상을 가진 것만으로도 살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사건이 '여성 혐오'의 범주에 속한 이유는 이 사건의 피의자가 밝힌 살해 동기가 '여성에게 무시당하는 것 같아서'이기 때문이다. 물론 여성 혐오 사상을 가진 남성 모두가 범죄를 저지를 것이라는 섣부른 일반화는 할 수 없지만, 이 사상을 앞으로도 지속한다면 이와 유사한 범죄가 발생할 가능성을 유추해낼 수 있다는 건 사실이다. 이러한 비극까지 초래해내고만 '여성혐오'의 원인이 남성우월주의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 원인은 도대체 어디에 있는 걸까?


 신체적 조건이 여성보다 유리한 남성들만이 가정 내에서 유일하게 경제활동을 할 수 있었던 과거, 남성은 생계유지를 도맡게 되면서 여성보다 더 우위에 서게 되었고 이를 통해 생겨난 사람들의 보편적인 '가부장적인 사상'에서 우리는 '여성혐오'의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모두가 알다시피 우리나라의 가부장적인 제도와 사상은 예부터 사람들의 인식 속에 자리 잡아 왔다. 그러나 IMF 이후, 여성의 사회진출이 비교적 활발해지면서 남녀 구분 없이 모두가 경제활동의 주체가 되었고, 취업을 하려는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는 상황과 마주하는데 이른다. 그 과정에서 국방의 의무가 있는 남성은 같은 연령대의 여성에 비해 늦은 시기에 취업할 기회를 얻게 된다는 사실로 인해 여성을 자신보다 더 열등한 존재라는 인식 때문에 이를 불합리하게 여기게 되었고, 심지어 여성에 대해 극도로 열등감을 느끼는 남성까지 생기고 말았다. 이러한 감정들은 남성이 주가 되는 사이트에서 생겨난 '김치녀', '김여사' 등 여성을 철저히 비하하는 단어들에서 그대로 나타난다. 실제로 이런 단어들은 여성 혐오를 반대하는 입장을 격하게 만들었으며 되레 남성 혐오 사상 증가를 불러온 계기가 되기도 했다.


 현재 여성들은 과거의 보수적인 사회에서 벗어나 각종 분야에서 다분한 능력을 뽐내고 있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이 여성의 능력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제 변화한 여성의 지위를 받아들이고 동등한 위치에서 이에 걸맞은 대우를 해주어야 한다. 남성과 여성 사이에 차이는 분명히 있지만, 그 차이가 '여성 혐오'와 같은 불합리한 사상을 불러와서는 안 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최영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신예진기자 2017.02.01 13:27
    정말 우리나라는 여성들이 남성들에 비해 살기 어려운 나라같아요.
    나라에서는 저출산 문제로 출산을 장려하는데 막상 직장생활을 하는데 출산을 한다면
    눈초리와 손가락질 받고 다시 직장으로 복귀도 힘든 상황이죠.
    최근들어 많이 개선되고 있긴 하지만 아직까지는 여성들이 맘놓고 출산이나 육아를 할 수 있는 환경은 아닌 것 같아요. 여성혐오사례도 끊이질 않고있고요.. 이러한 상황에 안타까울뿐이네요.
    하지만 조금씩 변화하고있는 상태니깐 지금보다 더 나은 날들이 올 것이라고 믿어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유주원기자 2017.02.01 21:50
    여성혐오나 남성혐오 등의 문제점은 자신들의 가치관으로 위계를 정해 행동한다는 것 같아요..
    흔히 틀림이 아니라 다름이라는 얘기를 많이하는데 정말 맞는말이며, 혐오자들에게 꼭 필요한 가치이자 윤리의식이라 생각되네요.. 앞으로 대한민국이 더욱 나아갈 수 있도록 사람들 마음속에 존재하는 걸림돌을 치워주는 좋은 기사라 생각되네요~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ㅎ
  • ?
    4기김단비기자 2017.02.02 17:00
    여성에 대한 인식이 차츰 변해가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너무나도 당연하다고 생각해왔던 것들까지도 잘못된 것이 많았다는 걸 느꼈습니다. 이제는 잘못된 것들을 올바르게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많은 이들이 알았으면 좋겠어요.
  • ?
    4기오승민기자 2017.02.02 20:59
    요즘에는 남성과 여성의 가정 내에서나 사회적으로나 역할,입지 등의 차이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는데 기사를 읽고 나니 여전히 남아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 ?
    4기오승민기자 2017.02.02 20:59
    요즘에는 남성과 여성의 가정 내에서나 사회적으로나 역할,입지 등의 차이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는데 기사를 읽고 나니 여전히 남아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 ?
    4기한한나기자 2017.02.02 23:00

    아직도 여성에 대한 차별이 많이 남아있다는 현실이 와닿네요 점점 인식이 변해가곤있는데 남녀평등이 완벽히 오는 날이 언제가 될까요

  • ?
    6기김나림기자 2017.02.03 10:17
    그런 인식이 많이 줄었다고 생각됐는데 여전히 사회 곳곳에 그런 문제가 있다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사람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할 것 같아요
  • ?
    4기최문봉기자 2017.02.03 14:12
    여성 혐오는 현 사회 갈등의 요인들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사회적 문제가 발발했을 때, 여자라서 혹은 남자라서 그들을 비난하거나 동정하거나 비판하는 행위를 차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저 그 문제 자체로써, 그리고 그 문제 속 인물 자체로써 평가가 이루어져야하는 게 옳다고 생각합니다.
    운전을 잘못해서 앞차를 들이박은게 여자라서라기보다 사람으로서 운전이 미숙했던 것으로 봐야하는 거죠.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정원희기자 2017.02.03 18:09
    기사를 보니 여자로 살아가면서 느꼈던 불합리한 일들이 문득 떠오릅니다. 또 어떤 여성혐오를 겪을지 걱정도 많이 되는데요.. 앞으로는 사람들이 더욱 좋은 인식을 가지고 계속 발전해 나아가는 나라가 되었으면 합니다. 기사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
    4기박소이기자 2017.02.03 23:43
    여성 이라는 사실 자체로 차별받아왔던 시대도 있었고, 지금도 그 관습이나 현실이 완벽히 개선되지는 않은 것 같아 안타까워요. 그러나 여성이니 남성혐오, 남성이니 여성혐오 라는 식의 무차별적 비판은 더 안타까운 것 같네요. 정말 틀린게 아니라 다를 뿐인 대한민국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기사 읽고 가요!
  • ?
    4기백민하기자 2017.02.06 02:24
    남성들이 여성혐오를 하는 것도 문제지만, 당사자인 여성이 이른바 "호혜적" 차별을 즐기는 경우가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취집해서 인생역전 등) 더불어 남성성과 여성성을 규정하는 성 역할 강요도 우리 사회가 넘어야 할 관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852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558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9108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468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715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164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884
9시 등교, 거품 뿐인 정책 2014.09.21 선지수 22978
전교생 기숙사제 학교에 9시 등교 시행, 여파는? 2014.09.21 이예진 21285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20518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114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032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364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459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19877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177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651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448
9시 등교 시행 그 후..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지 못한 조삼모사식 정책 2014.09.22 차진호 21871
9교시 등교 2014.09.22 김건재 22937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19835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19953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9281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029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3 한지홍 24448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271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3037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288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9159
2%부족한 9시등교 2014.09.24 이효경 21198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211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187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8974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139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3612
9시 등교, 당신의 생각은? 2014.09.25 김미선 22283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619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631
양날의 검, 9시 등교 2014.09.25 김익수 21080
교육현실 그대로....등교시간만 바뀌었다! 2014.09.25 명은율 22539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242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5 이지원 26208
‘9시 등교’로 달라진 일상에 대한 작은 생각 2014.09.25 이주원 22600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016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394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268
일찍 일어나는 새만이 모이를 먹을 수 있을까 2014.09.25 조윤주 22295
9시 등교, 갈등의 기로에 있지만 보안한다면 최고의 효과 2014.09.25 김신형 26733
과연 9시등교 좋은 것일까 안 좋은것일까? 2 2014.09.27 김민성 26745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5974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52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