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전례없는 사상 최대 규모의 언론 폭로, 파나마 페이퍼스(Panama Papers) 사건

by 4기이소영기자 posted Jan 30, 2017 Views 1529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11일 집권한 아이슬란드 제1당 독립당의 뱌르드니 베네딕트손 신임 총리가 '파나마 페이퍼스'에 연루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지난해 4월에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린 사상 최대 규모의 탈세 폭로 문서 '파나마 페이퍼스'가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다.


mossack fonseca.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소영기자]


 파나마 페이퍼스란,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The International Consortium of Investigative Journalists-이하 ICIJ)가 2016년 4월에 폭로한 파나마의 로펌 모색 폰세카(Mossack Fonseca)의 기밀 자료로, 조세 회피처에 페이퍼 컴퍼니를 설립한 인사들이 실린 명단이다. ICIJ 간부 제럴드 라일에 따르면, 이 사건엔 약 21만 5,000개에 이르는 *페이퍼 컴퍼니가 연루되어 있으며, 약 1,150만 건 상당 규모의 문서가 포함된, 그야말로 사상 최대 규모의 언론 폭로 사건이라고 한다.


*페이퍼 컴퍼니: 물리적 실체 없이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기업. 주로 파나마, 라이베리아 등 대표적인 조세 회피지역에 집중적으로 설립된다는 특징이 있다.



-단 한 명의 익명 취재원으로부터 시작된 전례 없는 규모의 언론 협동


[John Doe]

"Hello, this is John Doe. Interested in data?"

"자료에 관심 있으신가요?"


[S ddeutche Zeitung]

"We're very interested."

"그렇습니다."


[John Doe]

"There are a couple of conditions. My life is in danger. We will only chat over encrypted files. No meeting, ever."

"몇 가지의 조건이 있습니다. 제 목숨이 위험합니다. 우린 오직 암호화된 문건을 통해 연락을 취해야 하고, 직접 만나는 경우는 없어야 합니다."


[S ddeutche Zeitung]

"Why are you doing this?"

"왜 이런 일을 벌이는 겁니까?"


[John Doe]

"I want to make these crimes public."

"저는 이 사건들을 대중에 공개하고 싶습니다."


[S ddeutche Zeitung]

"How much data are we talking about?"

"자료의 양은 얼마나 되죠?"


[John Doe]

"More than anything you have ever seen."

"당신이 지금껏 봐 왔던 것보다 많을 겁니다."


 위 대화 내용은 독일 최대의 일간지?'S ddeutche Zeitung(이하 '슈드도이체 자이퉁')'이 지난 4월 파나마 페이퍼스를 대서특필하며 함께 공개한 내용이다. 이 신문사에 따르면 한 익명 취재원이 John Doe라는 가명으로 그들에게 접촉을 해왔으며, 이 취재원은 모색 폰세카의 1977년부터 2016년 당시까지의 내부 극비 문건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문건에는 전·현직 정치계 인사들과 유명인들이 설립한 페이퍼 컴퍼니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약 2.6 테라바이트에 달하는 1,150만 건의 문서'라는 전례 없는 규모와 사건의 복잡성을 고려해 슈드도이체는 국제 언론인 협회 ICIJ에 이 문건을 알렸으며, 이후 ICIJ와 슈드도이체는 76개국에 걸친 언론인 협력 프로젝트를 기획하였다.



-언론계 역사상 최대 규모의 언론사 협동 프로젝트


 ICIJ의 고위 간부 제럴드 라일에 따르면 1년 이상이 걸린 이 장기 프로젝트엔 76개의 국가의 100개 이상의 신문사, 그리고 25개의 각기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350명 이상의 리포터가 동원되었다고 한다. 영국의 BBC부터 프랑스의 Le Monde 까지 걸친 대규모 프로젝트의 목표는 파나마 페이퍼스를 공동으로 분석하여 같은 시간에 각국에서 보도하는 것이었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라는 말이 있듯이 350명의 취재진이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며 1년이 넘는 시간 동안 협력하는 과정에서 크고 작은 사건들이 있었다고 한다. 약속을 어기고 사건을 먼저 보도하려는 리포터들이 있었는가 하면, 사건 보도 1주일 전, 조사의 일환으로 ICIJ 측에서 문서에 연루된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의 측근에 몇 가지 질문을 보낸 뒤에 관계자 측에서 곧바로 해명을 위한 기자 회견을 여는 등, 사건의 조기 보도에 대한 위험이 비일비재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 모든 위험을 거쳐, 역사상 최대 규모의 탈세 사건, '파나마 페이퍼스 사건'은 2016년 4월 3일, 정확히 독일 시각 오후 8시, 76개국에 걸친 100개 이상의 신문사에서 대서특필된다.



-보도 그 이후: 작년부터 현재까지


 파나마 페이퍼 보도 직후 전 세계는 충격에 빠졌다. 영국 BREXIT 운동의 시발점이 되었던 데이비드 캐머런 전 총리에서부터 유명 스포츠 스타 리오넬 메시까지, 수백 조 규모의 탈세 범죄에 대중은 격분했다. 2016년 4월 3일 보도 3일 후 아이슬란드의 시그뮌 뒤르 다비드 귄로이그손 (전) 총리가 사임하였으며, 멕시코에선 돈세탁을 위해 자신들의 주소를 모색 폰세카에게 공개했던 마약 카르텔 일당이 붙잡히는 등 이 사건이 전 세계 각 분야에 미친 영향은 엄청났다.


 대표적인 조세 회피 지역으로 꼽혔던 파나마는 사건 이후 조세 회피 방지 협정에 가입하였고, 일본 당국은 지난 11월 470명의 일본인을 추가로 확인하여 조사에 착수하였고, 프랑스 당국은 560명에 대한 추가 세무조사를 진행하였으며(5조 규모의 돈세탁, 1조 5천억 원 규모의 탈세), 덴마크와 아일랜드는 각각 600명, 180명에 대한 세무조사를 진행하는 중이다. 



-언론인에 대한 인식을 바꾼 사건: 역사에 한 획을 긋다


'신속함이 생명이다'를 외치는 언론인들이 모여 1년이 넘도록 장기적인 협동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는 점, '각자의 이익을 철저히 챙기려 한다'는 인식이 있는 언론인 350명이 모여 정보를 공유하며 협력했다는 점, 그리고 이들이 단 한 치의 어긋남도 없이 각국에서 동시간대에 사건을 보도했다는 점에서 이 파나마 페이퍼스 사건은 언론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사건이라고 할만 하다.


 ICIJ는 프로젝트의 취지에 걸맞게 파나마 페이퍼스 사건에 연루된 인사들의 실명과 그들이 설립한 페이퍼 컴퍼니의 이름 등의 기본적인 정보를 오픈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일반인에게 공개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4기 이소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최영인기자 2017.02.01 18:56
    기사를 읽는 내내 마치 한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기분이었습니다. 페이퍼 컴퍼니의 이면에 대해 확실히 깨닫는 계기가 되었고 조금 더 알아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유익한 기사 감사합니다 ^^
  • ?
    4기이소영기자 2017.02.02 23:06
    사실 이 주제를 처음 접했을 때 '기자'라는 직업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었어요. 위에서 썼다시피 처음엔 기자라곤 '자극적인 기사를 작성해서 주목을 끈다'라는 인식이 강했는데 공익적인 목표를 위해 전세계의 기자들이 협력했다는 점이 정말 신기했어요 (그래서 기자가 되고 싶다라는 생각을 처음으로 해보게 되었습니다. ㅎㅎ) 댓글 감사드려요
  • ?
    4기유주원기자 2017.02.01 21:42
    접해보지 못한 기사를 여기서 접하게 되어 너무 신선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기사의 내용에 대해 자세하게 찾아볼 수 있었고 기사내용과 상관없이 기자가 작성하는 기사의 주제를 폭넓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해준 기사네요. 감사합니다~
  • ?
    4기이소영기자 2017.02.02 23:10
    댓글 감사합니다! 조사하면서도 주제가 신선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대한민국 국정 농단 스캔들 이후로 세상의 이면엔 많은 것들이 숨겨져 있는 것 같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다시 읽어보니 설명이 부족했던 것 같기도 하네요. 처음 써보는 기사라 미숙한 부분이 많았지만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412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076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4425
경제학이多 - 마르크스 경제학 file 2018.11.05 김민우 15615
더 이상 남일이 아닌 지진피해, 우리의 안전은? 2 file 2016.09.25 김혜빈 15606
트럼프, 한국에 압박을 가하기 시작하다. 1 2017.02.20 유현지 15597
'금모으기 운동'은 어떤 운동이었을까? 1 file 2019.01.21 강민성 15588
열풍의 포켓몬GO, 문제는 없는 것인가? file 2016.07.23 박민서 15583
골머리 앓는 대학생 주택문제, 관련 복지 늘려야 file 2017.02.24 최성경 15582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577
완전히 베일 벗은 국정교과서, 과연? 2 file 2017.02.13 권지현 15576
포항 지진 결국 원인은 '지열발전소' 2 file 2018.05.31 한유성 15567
버려져야 하는, 난민에 대한 고정관념 1 2019.01.02 권오현 15566
전통시장의 몰락,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7.02.24 황은성 15558
자나깨나 누진세걱정 ... 집에 에어컨은 있는데,,, 2 file 2016.08.25 이예린 15554
잊혀져가는 옥시, 그들의 제품을 다시 찾아보다 5 file 2016.09.11 김수빈 15553
과열되는 거주민들의 분노, 이러다 주민 없는 유령도시 된다… 관광산업의 그늘 file 2017.08.25 신유진 15547
'대선주자 국민면접'문재인, "저는 취업재수생입니다" 1 file 2017.02.18 유미래 15546
쓰레기섬에 대해 (About Great Pacific Garbage Patch) 2 file 2020.06.30 이채영 15539
[시사경제용어 알아보기] ④ ‘폰지 사기’를 아시나요? 2 file 2017.10.16 오경서 15533
교육강국 한국의 후진국적 교육방식, 지금은 개혁이 필요할때! 1 file 2016.05.31 김지현 15528
갈피를 잡지 못하는 80조 원의 저출산 대책 4 file 2017.03.07 김규리 15527
진정되어가는 마스크 대란, 전 세계의 상황은? 5 file 2020.04.06 유지은 15522
5·18민주화운동 38주년, 현재는? file 2016.05.27 유진 15519
범도민 총 결의대회 "군산조선소 존치시키라" file 2017.02.15 양원진 15516
2살 아들 살해한 20대 父...늘어가는 아동학대 1 file 2017.02.24 조유림 15493
국제 금값 2천 달러 돌파…연일 고공행진 이어가는 금값 file 2020.08.06 이민기 15488
사드 배치에 성난 성주, 김천 주민들… “사드가 안전하다면 청와대 앞마당에 놓으세요” 1 file 2016.08.25 유진 15479
"NO JAPAN" file 2019.07.29 김의성 15478
세금은 왜 내야 하는 걸까? file 2019.07.11 송수진 15476
압구정 현대 아파트 경비원 해고 사건, 진행 상황은? 1 file 2018.01.12 노영석 15475
위안부.. 지원금액 전액 삭감 과연 옳은 결정인가.. 2 file 2016.06.26 안성미 15475
도로를 내 집 창고처럼 file 2016.06.19 한종현 15468
대한민국, 일본 계속 되는 무역전쟁 우리가 받는 피해만 있을까? file 2019.08.20 정예람 15467
시민 건강 위협하는 '미끌미끌' 위험한 빙판길 2 file 2017.02.20 이나경 15446
참정권 없는 청소년, 또 한 번의 권리개혁 이루어질까 1 file 2017.05.25 최유진 15429
헌재, 낙태죄 위헌 판단…향후 대한민국의 미래에 미칠 영향은? 3 2019.04.18 송안별 15426
사드 반대했더니 불순세력, 사드배치 반대했더니 지역이기주의 file 2016.07.24 조민성 15420
카카오톡 대화 삭제 기능, 득일가 실일까 3 2019.01.31 이현림 15417
화려했던 팬택, 역사 속으로 사라지다 3 file 2017.08.28 정용환 15411
임산부 배려석, 이대로 괜찮을까? 1 file 2018.08.14 남승연 15404
다시 돌아보는 일본불매운동, 과연 성과는 어느 정도일까? 4 file 2020.10.16 정예람 15396
경제학이多 - 국제경제학 file 2018.11.12 김민우 15382
차이나머니가 삼키는 제주도, 이대로 괜찮은가 1 2016.05.24 이소민 15370
김천은 아직도 [ 김제동과 함께하는 김천 사드반대 촛불집회 200회 ] 2 file 2017.03.11 김재정 15369
산사태와 폭우 피해를 줄여주는 사방댐 file 2019.10.28 윤혜림 15362
비가 와도 함께한 1271번째 수요일... 일본정부의 진정한 사죄를 촉구하는 수요시위 현장 9 file 2017.02.22 정지윤 15325
환경 오염의 주범 일회용 컵, 정부가 규제한다 2 file 2018.09.11 이승은 15310
꽃은 지지 않습니다, 수요 집회 1 file 2017.03.05 송다원 15308
코시엘니 사태로 바라본 정당하지 않은 선수들의 태업 file 2019.07.15 이준영 15294
들썩이는 불의 고리, 지진 대처법은? 1 file 2016.04.26 김정현 152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