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전례없는 사상 최대 규모의 언론 폭로, 파나마 페이퍼스(Panama Papers) 사건

by 4기이소영기자 posted Jan 30, 2017 Views 1545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11일 집권한 아이슬란드 제1당 독립당의 뱌르드니 베네딕트손 신임 총리가 '파나마 페이퍼스'에 연루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지난해 4월에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린 사상 최대 규모의 탈세 폭로 문서 '파나마 페이퍼스'가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다.


mossack fonseca.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소영기자]


 파나마 페이퍼스란,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The International Consortium of Investigative Journalists-이하 ICIJ)가 2016년 4월에 폭로한 파나마의 로펌 모색 폰세카(Mossack Fonseca)의 기밀 자료로, 조세 회피처에 페이퍼 컴퍼니를 설립한 인사들이 실린 명단이다. ICIJ 간부 제럴드 라일에 따르면, 이 사건엔 약 21만 5,000개에 이르는 *페이퍼 컴퍼니가 연루되어 있으며, 약 1,150만 건 상당 규모의 문서가 포함된, 그야말로 사상 최대 규모의 언론 폭로 사건이라고 한다.


*페이퍼 컴퍼니: 물리적 실체 없이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기업. 주로 파나마, 라이베리아 등 대표적인 조세 회피지역에 집중적으로 설립된다는 특징이 있다.



-단 한 명의 익명 취재원으로부터 시작된 전례 없는 규모의 언론 협동


[John Doe]

"Hello, this is John Doe. Interested in data?"

"자료에 관심 있으신가요?"


[S ddeutche Zeitung]

"We're very interested."

"그렇습니다."


[John Doe]

"There are a couple of conditions. My life is in danger. We will only chat over encrypted files. No meeting, ever."

"몇 가지의 조건이 있습니다. 제 목숨이 위험합니다. 우린 오직 암호화된 문건을 통해 연락을 취해야 하고, 직접 만나는 경우는 없어야 합니다."


[S ddeutche Zeitung]

"Why are you doing this?"

"왜 이런 일을 벌이는 겁니까?"


[John Doe]

"I want to make these crimes public."

"저는 이 사건들을 대중에 공개하고 싶습니다."


[S ddeutche Zeitung]

"How much data are we talking about?"

"자료의 양은 얼마나 되죠?"


[John Doe]

"More than anything you have ever seen."

"당신이 지금껏 봐 왔던 것보다 많을 겁니다."


 위 대화 내용은 독일 최대의 일간지?'S ddeutche Zeitung(이하 '슈드도이체 자이퉁')'이 지난 4월 파나마 페이퍼스를 대서특필하며 함께 공개한 내용이다. 이 신문사에 따르면 한 익명 취재원이 John Doe라는 가명으로 그들에게 접촉을 해왔으며, 이 취재원은 모색 폰세카의 1977년부터 2016년 당시까지의 내부 극비 문건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문건에는 전·현직 정치계 인사들과 유명인들이 설립한 페이퍼 컴퍼니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약 2.6 테라바이트에 달하는 1,150만 건의 문서'라는 전례 없는 규모와 사건의 복잡성을 고려해 슈드도이체는 국제 언론인 협회 ICIJ에 이 문건을 알렸으며, 이후 ICIJ와 슈드도이체는 76개국에 걸친 언론인 협력 프로젝트를 기획하였다.



-언론계 역사상 최대 규모의 언론사 협동 프로젝트


 ICIJ의 고위 간부 제럴드 라일에 따르면 1년 이상이 걸린 이 장기 프로젝트엔 76개의 국가의 100개 이상의 신문사, 그리고 25개의 각기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350명 이상의 리포터가 동원되었다고 한다. 영국의 BBC부터 프랑스의 Le Monde 까지 걸친 대규모 프로젝트의 목표는 파나마 페이퍼스를 공동으로 분석하여 같은 시간에 각국에서 보도하는 것이었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라는 말이 있듯이 350명의 취재진이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며 1년이 넘는 시간 동안 협력하는 과정에서 크고 작은 사건들이 있었다고 한다. 약속을 어기고 사건을 먼저 보도하려는 리포터들이 있었는가 하면, 사건 보도 1주일 전, 조사의 일환으로 ICIJ 측에서 문서에 연루된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의 측근에 몇 가지 질문을 보낸 뒤에 관계자 측에서 곧바로 해명을 위한 기자 회견을 여는 등, 사건의 조기 보도에 대한 위험이 비일비재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 모든 위험을 거쳐, 역사상 최대 규모의 탈세 사건, '파나마 페이퍼스 사건'은 2016년 4월 3일, 정확히 독일 시각 오후 8시, 76개국에 걸친 100개 이상의 신문사에서 대서특필된다.



-보도 그 이후: 작년부터 현재까지


 파나마 페이퍼 보도 직후 전 세계는 충격에 빠졌다. 영국 BREXIT 운동의 시발점이 되었던 데이비드 캐머런 전 총리에서부터 유명 스포츠 스타 리오넬 메시까지, 수백 조 규모의 탈세 범죄에 대중은 격분했다. 2016년 4월 3일 보도 3일 후 아이슬란드의 시그뮌 뒤르 다비드 귄로이그손 (전) 총리가 사임하였으며, 멕시코에선 돈세탁을 위해 자신들의 주소를 모색 폰세카에게 공개했던 마약 카르텔 일당이 붙잡히는 등 이 사건이 전 세계 각 분야에 미친 영향은 엄청났다.


 대표적인 조세 회피 지역으로 꼽혔던 파나마는 사건 이후 조세 회피 방지 협정에 가입하였고, 일본 당국은 지난 11월 470명의 일본인을 추가로 확인하여 조사에 착수하였고, 프랑스 당국은 560명에 대한 추가 세무조사를 진행하였으며(5조 규모의 돈세탁, 1조 5천억 원 규모의 탈세), 덴마크와 아일랜드는 각각 600명, 180명에 대한 세무조사를 진행하는 중이다. 



-언론인에 대한 인식을 바꾼 사건: 역사에 한 획을 긋다


'신속함이 생명이다'를 외치는 언론인들이 모여 1년이 넘도록 장기적인 협동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는 점, '각자의 이익을 철저히 챙기려 한다'는 인식이 있는 언론인 350명이 모여 정보를 공유하며 협력했다는 점, 그리고 이들이 단 한 치의 어긋남도 없이 각국에서 동시간대에 사건을 보도했다는 점에서 이 파나마 페이퍼스 사건은 언론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사건이라고 할만 하다.


 ICIJ는 프로젝트의 취지에 걸맞게 파나마 페이퍼스 사건에 연루된 인사들의 실명과 그들이 설립한 페이퍼 컴퍼니의 이름 등의 기본적인 정보를 오픈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일반인에게 공개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4기 이소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최영인기자 2017.02.01 18:56
    기사를 읽는 내내 마치 한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기분이었습니다. 페이퍼 컴퍼니의 이면에 대해 확실히 깨닫는 계기가 되었고 조금 더 알아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유익한 기사 감사합니다 ^^
  • ?
    4기이소영기자 2017.02.02 23:06
    사실 이 주제를 처음 접했을 때 '기자'라는 직업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었어요. 위에서 썼다시피 처음엔 기자라곤 '자극적인 기사를 작성해서 주목을 끈다'라는 인식이 강했는데 공익적인 목표를 위해 전세계의 기자들이 협력했다는 점이 정말 신기했어요 (그래서 기자가 되고 싶다라는 생각을 처음으로 해보게 되었습니다. ㅎㅎ) 댓글 감사드려요
  • ?
    4기유주원기자 2017.02.01 21:42
    접해보지 못한 기사를 여기서 접하게 되어 너무 신선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기사의 내용에 대해 자세하게 찾아볼 수 있었고 기사내용과 상관없이 기자가 작성하는 기사의 주제를 폭넓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해준 기사네요. 감사합니다~
  • ?
    4기이소영기자 2017.02.02 23:10
    댓글 감사합니다! 조사하면서도 주제가 신선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대한민국 국정 농단 스캔들 이후로 세상의 이면엔 많은 것들이 숨겨져 있는 것 같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다시 읽어보니 설명이 부족했던 것 같기도 하네요. 처음 써보는 기사라 미숙한 부분이 많았지만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481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289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6842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 가결로 본 대한민국의 정치 file 2016.09.25 구성모 17266
김정남 사건, 해외반응은 어떠한가 file 2017.03.25 여수빈 11390
김정남 암살, 그 이유는? 북한 이대로 괜찮은가 1 2017.03.02 조영지 17061
김정남 피살사건 한.중.북에 어떤 영향을 가져올까 file 2017.02.25 봉채연 18819
김종천 청와대 의전비서관 음주운전 적발 file 2018.11.29 김도영 9943
김천은 아직도 [ 김제동과 함께하는 김천 사드반대 촛불집회 200회 ] 2 file 2017.03.11 김재정 15543
김치가 중국에서 만든 거라고? 1 file 2020.12.30 김자영 10194
김치와 한복에 이어 BTS까지 지적한 중국 file 2021.03.05 박수영 9929
김포시 독립운동기념관에서 청소년이 기획한 제72주년 광복절 기념행사 열려 1 file 2017.11.06 한서원 12400
김해 중앙 병원 화재, 50대 남성 1명 숨져 file 2015.08.23 정영우 25772
깊어지는 이준석 갈등, 국민의힘 분열되나 file 2021.08.20 윤성현 8668
깜짝 임시공휴일 제정, 이대로 괜찮은가? 6 file 2016.05.22 최민지 16073
꺼지지 않는 촛불들이 가져온 승리 file 2017.03.22 김예찬 10975
꽃 피는 3월을 뒤덮은 미세먼지... 그 원인은? file 2019.04.01 노영우 11667
꽃은 지지 않습니다, 수요 집회 1 file 2017.03.05 송다원 15467
꿀보직에서 부끄러운직책으로 '대한민국 외교관' 1 2017.02.06 유석현 17983
꿈꾸는 광고, 드림 애즈 Dream Ads 2019.06.07 봉하연 12223
꿈의 직장, 인천공항 ‘정규직 전환 논란’ file 2020.06.25 유시온 10372
끈임 없이 존재하는 지역별, 세대별 투표 경향성에 대하여 file 2017.05.20 안준혁 11193
끊이지 않는 몰래카메라의 공포 2 file 2018.06.11 마하경 13504
끊이지 않는 아동 성범죄, 사회는 강력한 처벌을 원한다 2020.05.04 한채연 7976
끔찍했던 학교폭력...2018년은 어떨까? 1 file 2018.03.05 진현용 13942
끝까지 지켜보아야 할 세월호 인양 2 file 2017.03.07 김하늘 12546
끝나버린 탄핵심판...포기하지 않은 그들 file 2017.03.25 이승욱 11380
끝나지 않는 '금수저 선생님' 채용 논란, 그와 맞선 한 교사의 용기 있는 발언 2 file 2017.03.27 최서영 16544
끝나지 않는 가슴 아픈 종파 싸움, 시리아 내전 file 2021.09.30 류채연 7709
끝나지 않는 싸움... 쌍용양회를 향한 사투 file 2019.04.01 임승혁 10411
끝나지 않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언제쯤? 2020.08.31 김정원 8465
끝나지 않은 그들의 수라, 미제 사건 file 2017.03.18 최사라 12721
끝나지 않은 위안부 문제, 시민들이 바라는 해결책은? 11 file 2016.02.21 김미래 18232
끝나지 않은 전쟁, 미국은 왜 아프가니스탄을 떠났나 file 2021.09.27 강도현 10478
끝나지 않은 피해자들의 고통, 위안부 기림일 행사 2017.08.22 5기정채빈기자 10621
끝없는 갑질 논란. 이번엔 백화점 난동? 1 file 2018.07.25 하예원 10326
나 지금 인공지능이랑도 경쟁해야하니? 5 file 2016.03.28 박지윤 16515
나날이 늘고 있는 아동학대, 가정폭력...줄일수는 없을까? 2 file 2020.06.17 이채원 13401
나라 싸움에 등터지는 학생들 file 2017.03.25 김윤혁 13349
나라를 위해 바다로 나선 군인들에게 돌아온 것은 '과자 한 박스' file 2021.07.26 백정훈 14672
나라를 지킨자들, 무심한 우리사회 2 file 2016.06.24 김은아 16494
나비 달기 캠페인과 함께 하는 위안부 서명운동 4 file 2016.04.09 오시연 17177
나비가 되신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 8 file 2017.07.23 송다원 11333
나에게 맞는 요금제를 사용하려면? 4 file 2016.04.19 이은아 16442
낙태를 둘러싼 찬반대립, 무엇이 적절한가 file 2019.03.04 조아현 12321
낙태죄 폐지를 둘러싼 찬반 대립, 내면은? 4 file 2019.02.19 하지혜 17531
낙태죄, 이대로 괜찮은가? 4 file 2017.11.24 장서연 11916
난민 문제, 과연 언제부터 시작된 것일까? file 2020.08.24 이수연 10441
난민 수용, 어디까지 가야 할까? 1 file 2019.10.22 전순영 15201
난민 수용, 과연 우리에게 도움이 될까? 1 2018.12.21 이호찬 22613
난민법과 무사증 폐지를 촉구하는 시민들..'난민 수용 반대' 청원 70만 돌파 1 file 2018.07.19 김나경 106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