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전례없는 사상 최대 규모의 언론 폭로, 파나마 페이퍼스(Panama Papers) 사건

by 4기이소영기자 posted Jan 30, 2017 Views 1529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11일 집권한 아이슬란드 제1당 독립당의 뱌르드니 베네딕트손 신임 총리가 '파나마 페이퍼스'에 연루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지난해 4월에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린 사상 최대 규모의 탈세 폭로 문서 '파나마 페이퍼스'가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다.


mossack fonseca.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소영기자]


 파나마 페이퍼스란,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The International Consortium of Investigative Journalists-이하 ICIJ)가 2016년 4월에 폭로한 파나마의 로펌 모색 폰세카(Mossack Fonseca)의 기밀 자료로, 조세 회피처에 페이퍼 컴퍼니를 설립한 인사들이 실린 명단이다. ICIJ 간부 제럴드 라일에 따르면, 이 사건엔 약 21만 5,000개에 이르는 *페이퍼 컴퍼니가 연루되어 있으며, 약 1,150만 건 상당 규모의 문서가 포함된, 그야말로 사상 최대 규모의 언론 폭로 사건이라고 한다.


*페이퍼 컴퍼니: 물리적 실체 없이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기업. 주로 파나마, 라이베리아 등 대표적인 조세 회피지역에 집중적으로 설립된다는 특징이 있다.



-단 한 명의 익명 취재원으로부터 시작된 전례 없는 규모의 언론 협동


[John Doe]

"Hello, this is John Doe. Interested in data?"

"자료에 관심 있으신가요?"


[S ddeutche Zeitung]

"We're very interested."

"그렇습니다."


[John Doe]

"There are a couple of conditions. My life is in danger. We will only chat over encrypted files. No meeting, ever."

"몇 가지의 조건이 있습니다. 제 목숨이 위험합니다. 우린 오직 암호화된 문건을 통해 연락을 취해야 하고, 직접 만나는 경우는 없어야 합니다."


[S ddeutche Zeitung]

"Why are you doing this?"

"왜 이런 일을 벌이는 겁니까?"


[John Doe]

"I want to make these crimes public."

"저는 이 사건들을 대중에 공개하고 싶습니다."


[S ddeutche Zeitung]

"How much data are we talking about?"

"자료의 양은 얼마나 되죠?"


[John Doe]

"More than anything you have ever seen."

"당신이 지금껏 봐 왔던 것보다 많을 겁니다."


 위 대화 내용은 독일 최대의 일간지?'S ddeutche Zeitung(이하 '슈드도이체 자이퉁')'이 지난 4월 파나마 페이퍼스를 대서특필하며 함께 공개한 내용이다. 이 신문사에 따르면 한 익명 취재원이 John Doe라는 가명으로 그들에게 접촉을 해왔으며, 이 취재원은 모색 폰세카의 1977년부터 2016년 당시까지의 내부 극비 문건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문건에는 전·현직 정치계 인사들과 유명인들이 설립한 페이퍼 컴퍼니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약 2.6 테라바이트에 달하는 1,150만 건의 문서'라는 전례 없는 규모와 사건의 복잡성을 고려해 슈드도이체는 국제 언론인 협회 ICIJ에 이 문건을 알렸으며, 이후 ICIJ와 슈드도이체는 76개국에 걸친 언론인 협력 프로젝트를 기획하였다.



-언론계 역사상 최대 규모의 언론사 협동 프로젝트


 ICIJ의 고위 간부 제럴드 라일에 따르면 1년 이상이 걸린 이 장기 프로젝트엔 76개의 국가의 100개 이상의 신문사, 그리고 25개의 각기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350명 이상의 리포터가 동원되었다고 한다. 영국의 BBC부터 프랑스의 Le Monde 까지 걸친 대규모 프로젝트의 목표는 파나마 페이퍼스를 공동으로 분석하여 같은 시간에 각국에서 보도하는 것이었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라는 말이 있듯이 350명의 취재진이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며 1년이 넘는 시간 동안 협력하는 과정에서 크고 작은 사건들이 있었다고 한다. 약속을 어기고 사건을 먼저 보도하려는 리포터들이 있었는가 하면, 사건 보도 1주일 전, 조사의 일환으로 ICIJ 측에서 문서에 연루된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의 측근에 몇 가지 질문을 보낸 뒤에 관계자 측에서 곧바로 해명을 위한 기자 회견을 여는 등, 사건의 조기 보도에 대한 위험이 비일비재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 모든 위험을 거쳐, 역사상 최대 규모의 탈세 사건, '파나마 페이퍼스 사건'은 2016년 4월 3일, 정확히 독일 시각 오후 8시, 76개국에 걸친 100개 이상의 신문사에서 대서특필된다.



-보도 그 이후: 작년부터 현재까지


 파나마 페이퍼 보도 직후 전 세계는 충격에 빠졌다. 영국 BREXIT 운동의 시발점이 되었던 데이비드 캐머런 전 총리에서부터 유명 스포츠 스타 리오넬 메시까지, 수백 조 규모의 탈세 범죄에 대중은 격분했다. 2016년 4월 3일 보도 3일 후 아이슬란드의 시그뮌 뒤르 다비드 귄로이그손 (전) 총리가 사임하였으며, 멕시코에선 돈세탁을 위해 자신들의 주소를 모색 폰세카에게 공개했던 마약 카르텔 일당이 붙잡히는 등 이 사건이 전 세계 각 분야에 미친 영향은 엄청났다.


 대표적인 조세 회피 지역으로 꼽혔던 파나마는 사건 이후 조세 회피 방지 협정에 가입하였고, 일본 당국은 지난 11월 470명의 일본인을 추가로 확인하여 조사에 착수하였고, 프랑스 당국은 560명에 대한 추가 세무조사를 진행하였으며(5조 규모의 돈세탁, 1조 5천억 원 규모의 탈세), 덴마크와 아일랜드는 각각 600명, 180명에 대한 세무조사를 진행하는 중이다. 



-언론인에 대한 인식을 바꾼 사건: 역사에 한 획을 긋다


'신속함이 생명이다'를 외치는 언론인들이 모여 1년이 넘도록 장기적인 협동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는 점, '각자의 이익을 철저히 챙기려 한다'는 인식이 있는 언론인 350명이 모여 정보를 공유하며 협력했다는 점, 그리고 이들이 단 한 치의 어긋남도 없이 각국에서 동시간대에 사건을 보도했다는 점에서 이 파나마 페이퍼스 사건은 언론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사건이라고 할만 하다.


 ICIJ는 프로젝트의 취지에 걸맞게 파나마 페이퍼스 사건에 연루된 인사들의 실명과 그들이 설립한 페이퍼 컴퍼니의 이름 등의 기본적인 정보를 오픈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일반인에게 공개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4기 이소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최영인기자 2017.02.01 18:56
    기사를 읽는 내내 마치 한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기분이었습니다. 페이퍼 컴퍼니의 이면에 대해 확실히 깨닫는 계기가 되었고 조금 더 알아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유익한 기사 감사합니다 ^^
  • ?
    4기이소영기자 2017.02.02 23:06
    사실 이 주제를 처음 접했을 때 '기자'라는 직업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었어요. 위에서 썼다시피 처음엔 기자라곤 '자극적인 기사를 작성해서 주목을 끈다'라는 인식이 강했는데 공익적인 목표를 위해 전세계의 기자들이 협력했다는 점이 정말 신기했어요 (그래서 기자가 되고 싶다라는 생각을 처음으로 해보게 되었습니다. ㅎㅎ) 댓글 감사드려요
  • ?
    4기유주원기자 2017.02.01 21:42
    접해보지 못한 기사를 여기서 접하게 되어 너무 신선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기사의 내용에 대해 자세하게 찾아볼 수 있었고 기사내용과 상관없이 기자가 작성하는 기사의 주제를 폭넓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해준 기사네요. 감사합니다~
  • ?
    4기이소영기자 2017.02.02 23:10
    댓글 감사합니다! 조사하면서도 주제가 신선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대한민국 국정 농단 스캔들 이후로 세상의 이면엔 많은 것들이 숨겨져 있는 것 같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다시 읽어보니 설명이 부족했던 것 같기도 하네요. 처음 써보는 기사라 미숙한 부분이 많았지만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415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080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4478
논란의 정답은 외인사로 끝나지 않는다.; file 2017.06.25 김유진 8941
전 세계 학교 상황은 어떨까? 1 file 2020.04.01 여승리 8941
코로나19 나흘째 확진자 200명 대, 좀처럼 끝나지 않는 줄다리기 file 2020.11.18 이준형 8943
교과서 속 부정확한 성(性) 지수 교체 시급 file 2020.06.02 박지훈 8945
혼란스러운 부동산 문제, 부동산 특위의 해결방안은? file 2021.05.25 백정훈 8970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8982
부정선거와 선거 불복...혼돈의 볼리비아 2019.12.26 신주한 8983
청주 서원구 미래통합당 최현호 후보 연이은 아쉬운패배 file 2020.04.28 한재원 8984
평등하고 자유로운 나라 미국의 인종차별 file 2020.06.02 임상현 8993
코로나 확진자 느는데, 의료진 파업? file 2020.08.25 이지우 9001
‘2020 삼성행복대상’ 수상자 발표..김하늘 학생 등 청소년 5명 수상 file 2020.11.11 디지털이슈팀 9010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작지만 큰 배려 1 file 2020.07.27 이도현 9018
텔레그램 n번방 사건, 과연 '박사방'이 끝인가? file 2020.04.06 류현승 9020
문재인 대통령 '백신 유통' 합동훈련을 참관 file 2021.02.16 김은지 9021
트럼프 입시부정? 연이은 조카의 폭로 2020.07.13 조은우 9027
다시 일어난 미국 흑인 총격 사건, 제2의 조지 플로이드 되나 2020.08.31 추한영 9027
미 전역서 4번째 '여성행진'..."여성들이여, 일어나 소리쳐라" file 2020.02.11 박채원 9029
학생들이 지금 ‘공허한 메아리’를 듣고 있다고? file 2020.05.27 최유진 9037
버스 파업,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19.05.31 방민경 9056
공기업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청원, 하루 사이 20만 돌파 file 2020.06.29 박채니 9065
트럼프의 대선 연기 주장, 반응은 싸늘? file 2020.09.22 임재한 9067
미 하원에서 통과된 트럼프 탄핵안, 상원에서는? 1 file 2020.01.20 전순영 9070
연예 기사 댓글 폐지, 지속되어야 할까? 1 file 2020.05.18 서하연 9078
초·중·고교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문제점은? 2 file 2020.04.02 유시온 9080
떨어지면 죽는 거라던 중국 로켓은 어디로 갔나 file 2021.07.27 유예원 9089
제약 산업에 대한 가격 규제, 누구를 위한 것인가? 2020.12.10 전민영 9090
1년째 계속되는 산불, 결국 뿌린 대로 거두는 일? 1 2020.10.29 김하영 9092
벤앤제리스, 이스라엘 서안지구에 아이스크림 판매 중단해 file 2021.08.23 고은성 9094
문재인 대통령의 유럽 순방, 무슨 성과가 있는가 2018.10.23 고아름 9110
전세계의 마트와 가게 텅텅...우리나라는? 1 file 2020.05.04 허예지 9115
21대 총선에서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첫 시도, 결과는? file 2020.05.07 장민서 9119
한국은 지금 마스크 전쟁중 1 file 2020.02.27 차현서 9125
GDP 추정치로 알아본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 어느 정도인가? 1 file 2020.11.23 김광현 9127
문재인 정부의 지지율 하락요인은? file 2018.08.27 김도경 9128
온두라스, 한 달 기간에 두 번 잇따른 허리케인으로 인해 "초비상 상태" file 2020.12.31 장예원 9137
美 상원의원 존 매케인, "지금의 위기 앞에서 절망하지 말라" 유서 남기고 서거 file 2018.08.30 장혜성 9149
잘못된 애국심: 분노하는 중국의 젊은이들 file 2021.04.30 민찬욱 9153
'통제된 화재'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file 2020.01.22 권민서 9159
2차 북미정상회담, 평화를 위한 발걸음 file 2019.03.04 김주혁 9178
다가오는 추석,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file 2020.09.25 김민지 9210
환경영향조사 마친 나주SRF 결정은? file 2020.05.14 김현수 9225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우리는 가장 심각한 상황을 극복했다" 2 file 2020.12.01 김민수 9225
중국의 일대일로, 그들의 야망이 드러나다 file 2019.06.03 김도윤 9227
코로나의 피해.. 어느 정도? file 2020.02.28 민아영 9234
퇴직연금 수익률 디폴트 옵션으로 극복 가능할까, 디폴트 옵션 도입 법안 발의 file 2021.03.29 하수민 9234
인천 동구의 경제,, 이대로 무너지는가 file 2019.05.30 이가영 9241
청와대 해명에도 불구하고 점점 가중되는 '차이나 게이트' 의혹 file 2020.03.24 임재완 9248
전두환, 노태우 동상 철거, 그 이유는? file 2020.06.24 이가빈 92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