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포켓몬 고', '속초는 스톱'

by 4기사회부이주형기자 posted Jan 25, 2017 Views 1917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170125_001710992.jpg

[이미지 캡처=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주형기자]


지난 24일 증강현실(AR) 게임 '포켓몬 고(Pokemon Go)'가 한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포켓몬 고는 위성위치항법 그리고 증강현실을 이용해 유저들이 길거리를 걸어 다니며 포켓몬을 잡아 육성하거나 대결을 펼치는 게임이다. 포켓몬 고는 출시 첫 달 만에 2억 650만 달러를 벌어들이고, 5개월 만에 7억 80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또 6억 건 전 세계 앱 다운로드 횟수, 87억 킬로미터 유저들의 총 이동거리를 성사시키며 팬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포켓몬 고는 구글지도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지도 데이터 반출 문제로 인해 국내 서비스가 불가했다. 속초 일부 지역에서만 게임이 가능하다는 소식에 '포켓몬의 성지'라고 불리기도 했다. 나이앤틱의 데니스 황은 24일 기자간담회에서 "드디어 오늘 한국에 1월 24일 오전부터 공식 서비스가 들어갔다. 국내에 위치 기반 게임들이 출시되기 전부터 많은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드리며, 어떤 나라보다도 열정적인 게이머들이 많아서 기대가 크다"라고 전했다. 또 구글지도에 관해서는 '공공이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이용해 지도 서비스를 구현했다'라고 전했다. 다만 어떤 데이터를 활용했는지는 알리지 않았다.


포켓몬고가 정식으로 시작된 후, 속초는 폭설로 흰 눈만 덮인 채 평화로운 모습을 보였다. 과거 포켓몬 고가 출시되고 게임이 가능했던 속초는 만화와 같이 '속초 마을'이라고 이름을 꾸미기도 하였고, 이병선 속초 시장도 포켓몬 박사를 흉내 내며 '포켓몬 성지'를 도맡았다. 하지만 열풍이 불었던 속초시는 정식 출시된 날, 이러한 분위기를 찾기 어려웠다. 또 일부 네티즌도 "너무 늦지 않았나라고 생각한다", "이 추운 겨울에 어딜 나가겠나"라며 부정적인 반응도 보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이주형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박미소기자 2017.01.25 11:37
    제목 정말 잘 쓰신 것 같아요! 포켓몬 고가 우리나라에 출시하고 나서 제 주변 많은 사람들이 포켓몬 고를 시작한 걸 볼 수 있었습니다. 포켓몬 고 국내 출시가 약간 늦은감도 있었던 것 같기는 해요. 밖이 워낙 춥기도하고, 눈까지 와서 미끄러워지니 더욱 위험해질 것 같기도하고요., 그래도 주변을 잘 살피며 게임을 즐기면 재미있게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포켓몬 고 같은 증강현실 게임들이 나오고있는데, 나중에는 어떤 새로운 게임들이 나올지 너무 궁금해져요.
    좋은 기사 정말 잘 보고 갑니다. :-)
  • ?
    4기사회부이주형기자 2017.01.25 15:48
    감사합니다ㅎㅎ!
  • ?
    4기사회부이주형기자 2017.01.25 15:48
    감사합니다ㅎㅎ!
  • ?
    4기최윤정기자 2017.01.25 14:36
    포켓몬고 라는 게임이 정식으로 우리나라에 발매 되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는것을 어제 실검 1위를 길게 차지 하는 것을 보고 깨달았어요 발매가 다른 나라보다 조금 늦었지만 그래도 우리나라하면 게임! 일 정도로 게임을 좋아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관심이 더욱 높아 질것 같네요 마케팅 효과도 생길 수 있고 하지만 그렇게 된 다면 사고율도 당연히 높아질 수 밖에 없을 것 같아요 이에 대한 안전 대책을 세우면 좋겠네요
    좋은 기사 잘 보고 갈게요! 다음에도 더 좋은 기사 써주세요! :D
  • ?
    4기사회부이주형기자 2017.01.25 15:48
    넵ㅎ
  • ?
    4기사회부이주형기자 2017.01.25 15:48
    넵ㅎ
  • ?
    4기이윤지기자 2017.01.25 19:47
    정말 어제 밖에만 나가도 포켓몬 고 게임을 하는 사람이 많이 보이더라고요. 저도 어제 처음으로 해보게 되었는데 평소에 즐겨 하던 다른 게임과 달리 증강현실을 이용해 하는 게임이라 더 매력을 느꼈던 것 같아요! 하지만 포켓몬 고를 하다 보면 휴대폰 화면만 보며 길을 걷다 보니 사고가 끊임없이 많이 난다고 하더라고요ㅠㅠ 다들 밖에서는 조심하면서 하셨으면 좋겠는 생각이 드네요! 기사 잘 보고 갑니다 ㅎㅎ!
  • ?
    4기배수빈기자 2017.01.27 11:09
    포켓몬고 가 우리나라에 출시했을 때 저와 제 친구들은 좋아서 어쩔 줄 몰랐었죠.. 우리나라에 새롭게 출시된 만큼 엄청난 인기를 얻고 있는 것 같아요! 길거리를 돌아다니다가 포켓몬을 발견하고, 잡는 재미가 있을 것 같아요. 또 심심해서 포켓몬 고를 켰는데 집안에 포켓몬이 있으면 정말 행복할 것 같네요!! 포켓몬 자체도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데 실제로 트레이너가 되어서 돌아다니며 포켓몬을 잡을 수 있는 포켓몬 고가 출시된다니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열광할 것 같네요.. 하지만 이에 너무 집중해서 크고 작은 사고들이 생기지 않도록 모두가 조심했으면 좋겠네요.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배수빈기자 2017.01.27 11:09
    포켓몬고 가 우리나라에 출시했을 때 저와 제 친구들은 좋아서 어쩔 줄 몰랐었죠.. 우리나라에 새롭게 출시된 만큼 엄청난 인기를 얻고 있는 것 같아요! 길거리를 돌아다니다가 포켓몬을 발견하고, 잡는 재미가 있을 것 같아요. 또 심심해서 포켓몬 고를 켰는데 집안에 포켓몬이 있으면 정말 행복할 것 같네요!! 포켓몬 자체도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데 실제로 트레이너가 되어서 돌아다니며 포켓몬을 잡을 수 있는 포켓몬 고가 출시된다니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열광할 것 같네요.. 하지만 이에 너무 집중해서 크고 작은 사고들이 생기지 않도록 모두가 조심했으면 좋겠네요.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한한나기자 2017.01.27 21:51
    조심히 게임을 해서 문제가 안되었으면 좋겟네요 겨울이라 더더욱 조심해야 하는데 저도 해보니까 꽤 재미있더라고요 이제 날씨가 풀리면 더 많은 유행을 타지 않을까 합니다
  • ?
    4기오경서기자 2017.01.28 17:59
    저도 기사제목이 재치있다고 느꼈어요~ 그동안 속초가 포켓몬고 성지로서 많은 관광수입을 벌어들여왔는데 이제 국내출시로 인해 속초시의 포켓몬 마케팅은 사그라들겠군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이태양기자 2017.02.01 12:56
    대한민국의 청소년들이 자신이 관심갖는 분야를 탐색해 현실로 만든 기사 하루하루 멋진 기사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590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389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7916
사재기, 보이지 않는 검은 손 2 file 2016.09.25 강하윤 16301
더 이상 남일이 아닌 지진피해, 우리의 안전은? 2 file 2016.09.25 김혜빈 15741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 가결로 본 대한민국의 정치 file 2016.09.25 구성모 17272
공정무역의 가면을 쓴 불공정 무역 4 file 2016.09.25 노태인 55658
청소년들의 순수한 팬심을 이용하는 엔터테인먼트의 장사술, 이대로? 2 file 2016.09.25 이세빈 16720
여전한 아동노동착취의 불편한 진실 2 file 2016.09.24 노태인 35202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다? file 2016.09.24 최시헌 17154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전쟁 file 2016.09.24 이민구 16819
폭염이 몰고 온 추석경제부담 2 file 2016.09.23 이은아 17117
이 ‘데자뷰’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 5 file 2016.09.16 조민성 15095
스크린 독과점의 논란, 재시작? 3 file 2016.09.14 손지환 17175
잊혀져가는 옥시, 그들의 제품을 다시 찾아보다 5 file 2016.09.11 김수빈 15697
기상이변, 넌 어디서왔니! 4 file 2016.09.01 김나림 15229
아이에겐 엄격하고 애완견에겐 관대하다 1 file 2016.08.31 김관영 16026
[이 달의 세계인] 알레포의 기적, 옴란 다크니시 file 2016.08.27 정가영 16000
자나깨나 누진세걱정 ... 집에 에어컨은 있는데,,, 2 file 2016.08.25 이예린 15746
숨겨주세요, 여성용 자판기 2 file 2016.08.25 김선아 20973
사드 배치에 성난 성주, 김천 주민들… “사드가 안전하다면 청와대 앞마당에 놓으세요” 1 file 2016.08.25 유진 15658
Greatest Fakes, China file 2016.08.25 정채현 52931
아이스크림 정찰제에 대한 견해 차이 2 file 2016.08.25 이은아 16475
믿을 수 없는 더위에 지쳐가는 국민들 1 file 2016.08.25 이나은 13879
아이스크림 정찰제, 확신할 수 없는 효과 1 file 2016.08.25 박하연 15097
정당방위 적용 범위 개선되어야 file 2016.08.25 조해원 18893
중앙선관위, 선거연령 18세로.. 2 file 2016.08.24 안성미 17025
프로스포츠에 뿌리박힌 승부조작 3 file 2016.08.24 박민서 18414
내전의 시련 속에서 한줄기 희망 시라아 민간구조대 ‘한얀 헬멧’ file 2016.08.24 노태인 14994
포항공항- 주민들과의 오랜 갈등 빚어…… 2 file 2016.08.21 권주홍 20650
청소년 봉사활동, 그 논란의 중점에 서다 3 file 2016.08.21 조혜온 18763
아직도 논란이 계속되는 난민문제, 난민들의 휴식처는 어디에...? 1 file 2016.08.17 박가영 15362
광복절 특사, 국민 대통합? 이젠 국민 취급도 안하나? 4 file 2016.08.15 오성용 15187
휴가를 반기지 않는 반려견들 5 file 2016.08.11 임지민 17001
아동학대의 현주소 2 file 2016.07.30 임지민 15948
TV, 혈전으로의 죽음 위험증가 file 2016.07.28 양유나 15346
리우올림픽 D-10, 불안한 치안부터 러시아 도핑 논란까지 4 file 2016.07.27 이소민 15079
만화를 현실로, 포켓몬 GO 3 file 2016.07.25 유한나 14702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6037
'부산행', 왜 변칙행? 1 file 2016.07.25 강하윤 17732
동물보호법, 유명무실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2 file 2016.07.25 김혜빈 14469
"중국은 조금이라도 작아질 수 없다" 빅토리아,페이까지...대체 왜? file 2016.07.24 박소윤 18419
아파트 금연구역 지정, 좀 더 쾌적한 아파트 단지를 만들어요 2 file 2016.07.24 박하은 15054
사드 반대했더니 불순세력, 사드배치 반대했더니 지역이기주의 file 2016.07.24 조민성 15643
카카오 O2O 서비스, 일상에 침투하다 3 file 2016.07.24 권용욱 22664
“학교 가기 무서워요” 위험천만한 세종시 보람초의 등굣길 2 file 2016.07.24 정현호 17567
학생들의 선택할 권리 file 2016.07.24 이민정 16272
일그러져 가는 성의식 file 2016.07.23 유지혜 19560
학생들의 건강, 안녕하십니까 2 file 2016.07.23 김다현 16994
속초에 불어온 ‘포켓몬고’ 열풍 3 file 2016.07.23 김민지 16728
열풍의 포켓몬GO, 문제는 없는 것인가? file 2016.07.23 박민서 158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