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차세대 정치 VS 구세대 정치 '65세 정년 도입' 발언

by 4기김가은 posted Jan 23, 2017 Views 1752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6일, 표창원 더불어민주당(이하 더민주) 의원은 자신의 SNS를 통해 '대통령, 장관, 국회의원을 포함한 모든 공직에 65세 정년 도입이 꼭 필요하다' 는 뜻을 밝혔다.
 이어 표 의원은 '정년 도입이 실시되어야 나라에 활력이 생기며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표 의원의 위와 같은 정년 도입 발언은 대선 출마를 준비 중인 74세의 반기문 전 장관을 간접적으로 저격한 것으로도 보인다.

 역대 우리나라 대통령들의 취임 당시 나이를 살펴보면 이승만, 김대중 대통령 또한 65세가 훨씬 넘었다. 그 당시만 해도 연륜이 있고 경험이 많은 정치인들이 믿음을 주었으나 현재는 세상의 흐름을 잘 따라가고 폭넓게 소통할 수 있는 젊은 층이 주목받는 추세다. 또 노화가 오면 신체가 쇠약해지고 판단력이 흐려져 임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생긴다.
 결론적으로 표 의원의 주장은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AKR20170119077200033_01_i.jpg
[이미지 제공=리얼미터, 김성곤기자] 위는 기자님과의 메일을 통해 개인적으로 허가를 받은 자료입니다.


 현재 국민들의 여론 또한 찬성편이 압도적이다. 뒤숭숭한 시국인 만큼 대한민국 정치에 변화를 원하는 국민들의 뜻으로 보인다.

 65세 이상이 공직에 종사하느냐 그렇지 않느냐가 다는 아니다. 우리는 지금 생각해보아야 한다. 우리나라가 국민들과 폭넓은 소통을 하지 못하고 국정에 끝없이 문제가 생기는 것이 과연 정치인의 나이와밀접한 관련이 있을까? 아무도 정치를 제대로 못하고 있으니 나이로 모면하려는 것은 아닐까?

 새로운 정치와 익숙한 정치, 국민들의 마음은 어디로 향할지 표창원 의원의 '65세 정년 도입 발언' 은 앞으로 국민들 사이에서 끝없이 문제화되고 여론을 형성하며 화두에 오를 전망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김가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김지수기자 2017.01.23 15:50
    저는 개인적으로정년이라는 것이 국회의원 에게도 적용되야한다고 생각해요!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사회와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젊은 사람들과의 소통이 중요해지고 읶으니까요 ㅎㅎ
  • ?
    4기김가은 2017.01.24 10:06
    좋은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ㅎ 만약 정년이 도입되면 모든 공직에 적용할 것 같아요!
  • ?
    4기김서영기자 2017.01.23 16:33
    청년 실업자는 늘어만 가고 고령화 시대라 정말 갈피를 잡기 힘든 논제 인것 같아요! 하루빨리 실업자와 정년일이 해결 되어서 좋은 결과를 만들어 냈으면 좋겠어요 ㅎㅎ
    좋은 기사 잘 보고 갑니다!ㅎㅎ
  • ?
    4기김가은 2017.01.24 10:10
    저도 고령화까지는 미처 생각 못했는데! 정말 정년 도입은 충분히 생각해봐야 할 문제 같아요..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ㅎ
  • ?
    4기박미소기자 2017.02.14 12:51
    저도 65세 정년이 국회의원에게도 도입이 되어야한다고 생각해요. 청년 실업률도 높고, 연륜이 있고 경험이 많아도 정치를 잘 하는 사람은 잘 하고. 못 하는 사람은 못 하는 것 같습니다. 기자님 말씀처럼 젊은 사람들이 소통에 있어 세상의 흐름을 잘 따라갈 것 같기도 하고요. 아무도 정치를 제대로 못 하고 있으니 나이로 모면하려는 것은 아닐까?라는 기자님의 말도 정말 기억에 남습니다. :)
    좋은 기사 정말 잘 읽고 가요. :D
  • ?
    4기김가은 2017.02.14 14:38
    감사합니다~ 기자님 생각 큰 도움이 됬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113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770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1265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478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665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051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203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034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871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204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767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914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745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682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022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048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365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272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359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142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257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639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19983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655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0918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199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179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306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056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215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379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821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187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239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799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404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490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019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123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299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555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269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473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8055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709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477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444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221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327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542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58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