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그들은 왜 우리에게 선거권을 안줄까요?···만 18세 선거권 가능성 기대

by 4기박민선기자 posted Jan 11, 2017 Views 2259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청소년들에게도 유권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9일 선거연령을 만 19세에서 만 18세로 하향하는 공직선거법(선거가 민주적인 절차에 의해 공정하고, 부정을 방지하기 위한 법률) 일부 개정안이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안행위) 법안심사소위원회를 통과하였다. 이후 안행위 전체회의, 법제사법위원회를 거쳐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야 19대 대선에서 만 18세인 학생들이 선거권을 행사 할 수 있게 된다.

OECD 34개 국가들 중에서 선거연령이 만 18세 이하가 아닌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여 지난 19대 국회에서 같은 개정안 논의가 된적이 있었지만 새누리당 원유철 전 원내대표는 "수도권에서는 18세 선거연령 인하는 파장이 너무 커 수용이 어렵다. 오차 범위내 초접전 지역이 대부분이라 부담스러운 제안"이라고 밝히며 공직선거법 일부 개정안이 무산 되어버렸다.

20대 국회에서는 바른정당이 개정안이 당론 채택을 번복했지만 무소속의원, 기존 야3당과 함께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야3당과 바른정당의 국회의원석은 합은 195석이다. 이에 무소속의원들까지 합치면 국회의원석 99석을 가진 소수 여당이 된 새누리당이 개정안에 대해 반대하더라도 국회선진화법상 법안 단독처리 요건 200석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만 18세 선거권에 대한 가능성이 높아졌다.

IMG_4124.JPG

▲18세 투표를 위한 서명운동을 하고있다.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받음
 [이미지 제공=18세 선거권 국민연대]

이 개정안에 대해 찬성,반대가 팽팽하다. 청소년은 정치적판단이 미성숙하여 주변사람들에의해 쉽게 흔들리거나, 학교안에서의 정치화가 될 것이고 정치에 관심이 없어 인기투표가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개정안 찬성측은 '최순실국정농단사태'를 통해 청소년들은 직접 거리로 나와 시국대회를 갖고, 촛불집회에 참여하여 정치적 의사를 표현한다. 그렇기에 청소년들은 독자적인 정치적 판단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의견이 나타났다. 또한 과거와는 달리 교육수준이 높아졌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 각종 정보를 접하며 정치,사회적 판단 능력이 성숙하다는 의견이다.


청소년이 선거권을 가지게 된다면 교육을 받는 학생들이 직접 교육정책,제도에 참여할 수 있게 되어 학생들을 위한 알맞은 교육환경이 조성 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박민선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정진하기자 2017.01.11 21:50
    선거권이 만18세로 기준이 바뀐다면 학생들도 정치에 관여할수있게 되는데 작년 촛불 집회때에도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말하면서 나라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변화시키려는 것을 보면 학생들에게도 선거권을 주는것이 꼭 부정적인것만은 아니라고 생각이드네요^^
  • ?
    4기박미소기자 2017.01.12 16:30
    만 18세 선거권에대하여 들은 적이 있었지만, 자세히 알고 있지는 못 했었습니다. 박민선기자님의 기사를 읽으며 자세히 알게 되고, 또 그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던 것 같아요. 기사를 읽으며 청소년의 입장에서 선거 연령이 만 18세로 하향된다면 좋은 영향을 줄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촛불 집회때 성숙한 의견을 말한 청소년들이 있었고, 만 18세의 청소년에게 선거권이 주어진다면 청소년들에게 더욱 좋은 환경이 만들어질 것 같기 때문에요. :)
    제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한 좋은 기사 잘 보고 갑니다. : )
  • ?
    4기박찬웅기자 2017.01.13 22:51
    미래 사회를 살아가고 이끌어갈 주역인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미래를 결정할 권리를 가지지 못한다는 건 모순 같아요. 교육 수준의 향상 등으로 인해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향상된 청소년들의 의식 수준을 고려해봐도 마찬가지인 것 같고요. 이러한 이유로 저는 선거 연령 인하에 찬성합니다.
    그러나 위 기사에서도 언급하고 있는 원유철 원내대표의 인터뷰, 최근 바른정당의 번복과 같은 당리당략만을 고려한 행위들이 이를 막고 있는 것 같아 아쉽네요. 논리적인 이유를 제시해준다면 토론의 여지가 되겠지만... 단순히 당리당략만을 고려한, 국민들의 권리 보장과는 동떨어진 일부 정치권의 행보는 지양되어야 할 것입니다.
  • ?
    4기김단비기자 2017.01.14 13:01

    선거권 연령 제한을 만 18세로 낮추자는 이야기에 대해 정치적 판단이 미성숙하다는 근거를 대는 이들에게 묻고 싶어지네요. 과연 현재 사회의 수많은 유권자들, 성인들은 미래를 살아갈 청소년들에게 살기 좋고 정의로운 사회를 물려줄 수 있도록 권리를 올바르게 행사하고 있는지를요. 과연 그들 모두가 성숙한 정치적 판단을 내릴 수 있는지 궁금하군요.
    우리 사회의 청소년들은 과거에 비해 더 손쉽고 신속하게 사회의 많은 이슈들을 접할 수 있게 되었고, 교육의 질 역시 과거에 비해 매우 향상되었습니다. 충분히 정치 문제에 대한 자기 자신의 견해를 가질 능력과 권리가 있고, 그 권리를 선거권을 통해 행사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또한 만 18세 선거권이 확립된다면, 오히려 청소년들이 정치적, 사회적 이슈에 더 큰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정지용기자 2017.01.14 13:37
    만약 선거권이 만18세로 하향된다면 국가에서 현대정치(?)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학생들이 올바르게 투표를 했으면 좋겠네요.... 잘알지도 못하고 투표를 하면 큰일 나니까요....지금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구요
  • ?
    4기김혜진기자 2017.01.14 14:40
    학생들도 정치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절대 미숙하지 않다는 것을 한번 더 깨닫게 된 것 같습니다. 여러 집회에서 학생들의 참여도가 높은 편인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는것 같습니다. 미래를 이끌어 갈 우리 청소년들에게도 선거권이 주어진다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김도영기자 2017.01.14 17:48
    국정 농단 사태에 대해 청소년들이 직접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모습을 보면서 저도 선거권 연령을 낮추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으나, 기사에 나와있듯이 SNS를 통해 소통하는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자칫하면 소위 말하는 'SNS 물타기'로 장난식 투표가 이루어질 가능성도 높습니다. 섣불리 선거권 연령을 낮추자는 주장을 하기보다는 투표의 신중함과 책임감에 대한 교육부터 이루어진다면 머지않아 우리나라도 선거권 연령을 낮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
    4기김도영기자 2017.01.14 17:48
    국정 농단 사태에 대해 청소년들이 직접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모습을 보면서 저도 선거권 연령을 낮추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으나, 기사에 나와있듯이 SNS를 통해 소통하는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자칫하면 소위 말하는 'SNS 물타기'로 장난식 투표가 이루어질 가능성도 높습니다. 섣불리 선거권 연령을 낮추자는 주장을 하기보다는 투표의 신중함과 책임감에 대한 교육부터 이루어진다면 머지않아 우리나라도 선거권 연령을 낮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
    4기이민지기자 2017.01.14 21:16
    선거권이 만 18세로 내려간다고 해도 어른들이 걱정하는 그런일이 없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성숙함이란 나이라는 수치로 결정되는 것도 아니라고 생각하고요. 작년의 저와 지금의 제가 다르다고 느껴지지 않거든요. 청소년들이 선동을 쉽게 당한다는 우려의 말들도 있던데, 지금 청소년들의 모습을 보면 그렇지 않으리라고 확신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만 18세로 기준이 바뀌는 그 날이 기다려지네요 !
  • ?
    4기이윤지기자 2017.01.14 23:35
    저는 개인적으로 선거권이 만 18세를 기준으로 바뀐다는 것에 찬성하는 입장이에요! 정말 많은 분들의 말씀대로 학생들의 의견도 이제는 많이 중요한 것 같아요. 실제 촛불집회를 다녀와 학생들의 자유발언을 들어본 결과 정말 성숙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기도 하였고요 ㅎㅎ 저는 부정적인 영향보단 긍정적인 영향이 더 크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기사 잘 보고 갑니다ㅎㅎ
  • ?
    4기이나경기자 2017.01.15 16:20
    만 18세 선거권 저는 찬성하는 입장입니다! 아직 어려서 판단능력이 떨어질수도 있다고 보는 입장도 있지만 제가 시위에 참가하면서 청소년 자유발언 을 듣고 하니까 뭔가 믿음이 생기더라고요. 이 기사를 통해 저도 만 18세 선거권에대해 더 잘 알게된것 같고 많은 생각이 드네요! 이런기사 감사하고 잘보고갑니다~
  • ?
    4기한한나기자 2017.01.16 00:37
    18세는 미성숙한 나이가 아니라고 생각하며 충분히 정치에대해 의견을 내세우며 토론할수있다고 생각합니다 인기투표같이 가볍게 생각하지않도록 하는것은 교육으로 충분히 할수있을것같은데.. 18세가 투표를 할수있는날이 빨리 왓으면 좋겠어요
  • ?
    4기백혜원기자 2017.01.16 21:57
    만 18세 선거권에 더 관심을 갖는 좋은 계기가 되었습니다. 청소년에게 선거권을 준다면 분명 더욱 성숙한 시민의식을 가진 국민으로 성장할 수 있을 거라고 믿습니다.
  • ?
    4기유림기자 2017.01.17 14:56
    선거권 기준이 만 18세로 바뀐다면 무조건 적극적으로 참여할 생각입니다. 현 시국을 보며 한탄한 많은 청소년들이 앞으로 있을 우리나라에 좋은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합니다. 젊은 사람들의 생각으로 더욱 발전하는 나라가 되지 않을까요? 좋은 기사와 정보 감사합니다.
  • ?
    5기정예진기자 2017.01.17 15:39
    선거 연령에 대해 이런 저런 이야기가 많이 들려오네요 이번 시위만 보더라도 많은 청소년들이 올바른 시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선거권이 만약 주어진다면 그에 따른 책임권 역시 가져야 한다고 생각해요 ㅎㅎ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5기정예진기자 2017.01.17 15:39
    선거 연령에 대해 이런 저런 이야기가 많이 들려오네요 이번 시위만 보더라도 많은 청소년들이 올바른 시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선거권이 만약 주어진다면 그에 따른 책임권 역시 가져야 한다고 생각해요 ㅎㅎ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구성모기자 2017.01.18 23:25
    청소년이 어른들에 비해 판단력이 어린 것은 사실이지만, 그 어른들이 만든 나라는 지금의 대한민국이 되었습니다. 청소년이 직접 경험해보고 직접 참여해보는 것 만큼 정치에 대한 관심이 커지게 하는 방법은 없을 것입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박근덕기자 2017.01.21 13:23
    현재 정치를 미숙한 사회 초년생들이 참여함으로서 정치체계가 오나전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만18세까지 선거권이 확대되면 좋겠습니다^0^
  • ?
    4기박근덕기자 2017.01.21 13:23
    현재 정치를 미숙한 사회 초년생들이 참여함으로서 정치체계가 오나전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만18세까지 선거권이 확대되면 좋겠습니다^0^
  • ?
    4기김민준기자 2017.01.21 16:12
    아마 이번 사건으로 선거권에 대해 관심에 속도가 붙은 것 같습니다.
    18세 선거권이 된다면, 학생들이 직접 원하는 민주주의 국가를 만들어 갈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분명 장점이 있으면 단점이 있을 것입니다. 성급히 19대 뽑기전에 정하기보다는 눈에 보이지 않는 단점을 보완한 다음 선거권을 주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분들의 의견을 들을 수 있는 좋은 기사를 작성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4기김민주A기자 2017.01.22 21:13
    저도 단지 미성숙하고, 정치적 주관이 뚜렷하지 않을 거라는 추측만으로 참정권을 제한하는 것은 옳은 것 같지 않다라는 생각을 하고 있어요, 촛불 시위 때 자유발언대에서 당당히 자신의 목소리를 외치는 여러 청소년들을 보고 만18세 청소년들에게 선거권이 주어진다면 좋은 결과가 나타날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좋은 기사 잘 읽고 가요 :)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062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01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226
'붕괴 직전' 충주시 중앙어울림시장...대피하지 않는 상인들 file 2024.05.18 이성결 2622
[기자수첩] 다시 등장한 범죄자신상 사이트...'사적 심판' 확산 file 2024.05.18 김진원 3066
시민 눈총에도...전직 군인단체, 광화문서 전두환 추모식 file 2023.12.30 권우석 3861
[포토] 진보 시민단체, 윤 대통령 언론정책 비판 도심 집회 file 2023.12.24 김진권 3923
[포토] 민평통 전체회의서 발언하는 윤 대통령 file 2023.12.31 디지털이슈팀 3988
과자양이 갑자기 줄었다...슈링크, 스킴플레이션 현상 file 2023.12.30 박채원 4100
[기자수첩] 도심 집회에 교통 체증...집시법은 지켜지고 있을까 file 2024.02.08 권우석 4258
세월호 참사 10년...노란 물결에 동참한 해남고 학생들 file 2024.04.28 유지아 4383
[포토] 서울 광화문서 이스라엘 가자지구 전쟁 반대집회 열려 file 2023.12.07 권우석 4386
[기자수첩] 셀프 계산대는 약자들을 존중하고 있을까 file 2023.12.30 김하은 4390
총선 국면 돌입한 정치권...국민의힘, 민주 당내 갈등에 이목 쏠려 file 2023.11.22 김도민 4481
[기자수첩] 윤석열 정부 출범 1년...헌정 최초 출퇴근하는 대통령 file 2023.06.12 김온누리 4531
지역 환경전문가와 돌고래 보호 운동 나선 제주도 청소년들 2023.11.22 박유빈 4549
[기자수첩] SKT 인공지능 '에이닷' 출시에...통신비밀법 해석 이견 file 2023.11.24 김휘진 4656
[기자수첩] 청각장애인 삶 조명한 드라마 '사랑한다고 말해줘' file 2024.01.28 박한비 4706
[기자수첩] 셀프 사진관에 열광하는 2030...'혼찍'은 문화가 될까 file 2023.11.20 송윤아 4713
유기견 구조단체 '동물권자유 너와'의 자원봉사자를 만나다 file 2023.10.28 손서연 4716
[기자수첩] 창원 모 아파트 단지에서 벌어진 '길고양이 보호' 갈등 1 file 2023.05.24 이설현 4762
서울 종로구 구민들 "출퇴근, 등하교 시간 02번 버스 증차 촉구" file 2023.07.26 박서율 4773
[기자수첩] 또 바뀌는 입시 룰...5등급제, 통합형 수능에 부담감 증폭 file 2023.11.24 윤시현 4807
삼성물산 "우수품종 토종식물, 래미안 단지에 활용 계획" file 2023.02.02 디지털이슈팀 4810
KT&G복지재단, 에너지 취약계층 후원한다..."사회문제 해결 동참" file 2023.02.07 디지털이슈팀 4943
[포토] 대구 떡볶이 축제, 성황리에 개최됐지만...쓰레기로 몸살 file 2023.06.24 이다연 4948
울산 모 아파트서 스팸편지 소동...주민들 "편지 때문에 불안" file 2023.12.24 성진원 4967
[기자수첩] 문화센터 인식에 갇혀 버린 '주민자치회' file 2023.12.09 이주하 5008
제로 음료수의 시대, 설탕을 대신한 감미료들 file 2023.07.15 이주하 5164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9월 29일 ‘2022년 정신건강 정책 심포지엄’ 온라인 생중계 file 2022.09.16 이지원 5167
라면 가격 잡은 정부, 우유 가격도 잡을 수 있을까 file 2023.07.21 박상연 5182
[기자수첩] 공정위는 왜 통신3사에 과징금 336억원을 부과했을까 file 2023.06.29 김휘진 5186
신한은행, 금융권 최초의 ‘디지털 금고’ 시범 운영 file 2023.01.25 디지털이슈팀 5189
[기자수첩] 화장품 회사들이 환경 보호에 뒷전인 이유 file 2023.10.01 이주하 5196
[기자수첩] 8.14 위안부 수요시위는 평화를 외쳤다 2023.10.20 정세윤 5201
밀리언드림즈, 취약계층 위한 ‘제1회 로보틱스 캠프’ 진행 file 2022.10.11 이지원 5237
[기자수첩] 비대면 문화 정착에...한계에 내몰린 카페 업주들 2023.12.24 박상연 5248
한화, 루마니아 무기 현대화 사업 참여해 유럽 시장 확대 file 2023.02.07 디지털이슈팀 5294
식음료 업계, 시각장애인 위한 ‘점자 패키지’ 확대 file 2022.11.04 이지원 5308
[기자수첩] 9호선, 공항철도 직결 합의...인천시민 '기대' file 2023.12.31 박서율 5332
올바른 퍼스널 모빌리티 문화 위한 '한국퍼스널모빌리티협회' 정식 설립 file 2022.08.22 이지원 5333
[기자수첩] 죽음을 부른 검은 연기...애경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의 눈물 file 2023.06.13 김진원 5381
응원하는 구단이 이기면 이자 오른다...'신한은행 프로야구 적금' 눈길 file 2023.04.11 정해빈 539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무인기 엔진 핵심소재 국산화 시도 file 2023.01.31 디지털이슈팀 5400
[기자수첩] 데이트폭력이 부른 비극...김포 반려견 유기 사건 1 file 2024.03.13 김진원 5409
“청년층 취업난, 고용 정보 획득의 어려움도 큰 원인” file 2022.12.02 이지원 5424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시민교육 사회적 합의를 위한 토론회’ 개최 file 2022.12.23 이지원 5435
기아차, 미국서 비행청소년 범죄 놀이에 악용돼 file 2023.05.11 오다연 5470
서울시립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10주년 기념 ‘온라인 캠페인 및 청소년 욕구도 조사’ 실시 file 2022.12.23 이지원 5494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차 정기 심포지엄 개최 file 2022.08.19 이지원 5496
[기자수첩] 이세돌, 플레이브 열풍...버추얼 아이돌 시대 열릴까 2023.12.24 성유진 54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