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이주 노동자 노동착취로 개최될 2022 카타르 월드컵

by 4기노태인기자 posted Oct 24, 2016 Views 1744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22년 월드컵을 앞두고 도하에 건설 중인 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현장에서 이주민 건설노동자들이 제도적인 인권침해에 시달리고 있으며, 일부는 강제노동에 내몰리는 경우도 있다고 국제앰네스티가 신규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보고서 <아름다운 경기의 추한 단면: 2022년 월드컵 개최지 카타르에서 벌어지는 노동 착취>는 끔찍한 처우를 받는 이주노동자들에게 충격적인 무관심으로 일관하는 국제축구연맹(FIFA)을 강력히 비판하고 있다. 월드컵 건설현장 노동자 수는 향후 2년 내에 거의 열 배가 급증할 것으로 추정된다.

2022년 FIFA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된 카타르가 지난 5년 동안 월드컵 경기장 건설노동자의 노동착취 문제에 대해 정부가 대대적인 개혁에 착수하지 못하면서 여전히 이주노동자의 노동착취가 만연해 있어 충격을 주고 있다. 이주건설노동자 대부분이 경악할 정도의 열악한 환경 속에서 노동하고 있다는 사실이 대대적으로 공개되었음에도, 카타르 정부는 만성적인 노동착취를 끝내기 위해 거의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고 있다.

국제엠네스티의 다른 보고서 <최소한의 약속, 거의 없는 성과: 2022 월드컵을 앞둔 카타르의 이주노동자 인권침해>에서는 국제앰네스티가 선정한 이주노동자 인권 문제 9가지에 대해 카타르 정부의 대응을 평가했지만 몇몇 문제에 대해서만 제한적인 수준의 진전이 이루어졌고, 나머지 문제들에 대해서는 아무런 성과도 내지 못했다.

카타르 정부의 노동개혁은 고질적으로 지연되어 왔고, 이것이 인권 침해로 계속 이어져 왔다. 카타르 정부가 제시한 개혁안은 수많은 노동자들이 고용주에게 휘둘리게 만드는 핵심적인 문제를 다루지 못하는 것이었으며, 이마저도 시행이 미뤄지고 있다.


카타르.gif

국제앰네스티 2015/2016연례보고서 2015년 1년 동안의 전 세계 160개국의 인권 상황을 담고있다. 하지만 카타르 정부는 이주노동자의 인권은 물론 노동착취에 대해 개혁의 의지가 없어보인다. 사진은 카타르의 이주노동자인권 현황이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노태인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22년 카타르를 방문하게 될 모든 축구팬들과 축구스타들은 이주노동자들의 피와 땀, 눈물로 얼룩진 축제를 즐기고 있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 물어 봐야 할 것 같다. 이처럼 유감스러운 현실에는 국제축구연맹(FIFA) 역시 책임이 있다. FIFA는 카타르에서 노동인권이 문제가 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카타르 정부 및 사업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해, 노동착취로 쌓아 올린 월드컵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국제앰네스티는 월드컵 개최지로 선정된 이후부터 카타르 이주노동자들의 노동환경을 조사했으며 여러 차례의 현장 방문 조사를 실시했다. 꾸준히 발표한 보고서에서는 이주노동인권의 핵심 사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카타르 정부는 그 중 몇 몇 항목에서 심각하게 미흡한 수준이었다.

국제앰네스티는 만연한 이주민 노동착취 실태를 공개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인권침해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려는 노력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022년 카타르 월드컵까지 1년 더 가까워져가고 있고 노동현자의 변화가 이루어지기까지 남은 시간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앞으로 이주노동자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예정인 만큼 시급히 인권 개혁을 해야 할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더욱 절실하다. 하지만 카타르 정부는 노동 착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는커녕, 인권침해를 뿌리뽑기 보다 덮어버리기를 바라는 것이 아닌지 의문을 일으키고 있다. 일례로 카타르에서 이주노동자들의 노동 환경에 대해 조사하던 기자와 인권활동가들은 정부로부터 구금과 심문을 당할 위기에 처했다. 각각 이주노동자 착취 실태를 조사하던 독일 방송사 WDR과 영국 BBC의 기자들이 구금되었다.

이들을 구금하고 위협함으로써 이주노동자들의 노동 실태를 기록하지 못하게 하려는 것은 정부가 카타르에서 인권을 침해받고 있는 수만 명의 끔찍한 현실을 다루기보다, 국가적 이미지에 더 신경쓰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FIFA는 월드컵 본선 기간을 전례 없이 여름에서 겨울로 변경하면서까지 카타르 월드컵이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간헐적으로 발표하는 공식 성명 외에는 카타르 정부가 이주노동자들의 인권을 보장하도록 어떻게 압박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분명하고 구체적인 안건을 설정하지 않고 있다. 카타르 월드컵의 성공적인 개최 여부가 인권 존중 여하에 따라 결정될 것임을 분명히 하지 않지만 현재 당면한 인권문제를 빠져나가지는 못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노태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3862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3583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57582
지구를 지키는 클린 테이블 캠페인 6 file 2017.01.20 4기기자전하은 20267
스포츠 산업과 미디어가 만나다! ‘그들의 긴밀한 관계…’ file 2016.08.16 한세빈 20255
[MBN Y 포럼] ‘불가능을 즐겨라’ 영웅들과 함께하는 ‘HERO SHOW’ 1 file 2017.02.11 김민지 20250
베스트셀러 제조기 이기주 작가 팬사인회 개최하다. file 2017.08.01 손예은 20226
나는 생각한다, 고로 물류한다 <한국청년물류포럼 20기 물류콘서트> 1 file 2021.02.08 김민희 20210
문화로 인한 갈등 그리고 공존 file 2019.09.30 이승환 20199
All is well! 동탄국제고 11기 준비 오픈 채팅방을 소개합니다 file 2020.12.29 문청현 20197
상주시청소년수련관 학생토론동아리 '브레인' 을 만나다. file 2016.07.22 김용훈 20191
삼성전자의 새로운 멤버들 태어나다! file 2018.08.13 김찬빈 20184
자율 감각 쾌락 반응, ASMR을 아십니까? 6 file 2017.01.23 이슬기 20182
격하게 반응하라 이것은 수학인가? 놀이인가? <제4회 강원수학나눔축제> 1 file 2019.10.25 강민지 20175
기내식이 맛없는 이유는? 6 file 2019.08.07 박성아 20174
진도 울돌목에서 '명량대첩' 재현하다 file 2018.09.28 조햇살 20171
[기획] 사회적 경제를 위해 청소년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file 2018.05.29 김민우 20161
제트기류에 대한 모든것! file 2017.07.31 권하민 20154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한국어린이기자단’ 2월부터 운영 file 2018.01.29 디지털이슈팀 20153
카페, 전시, 음악을 즐길 수 있는 곳, 노원 더숲 1 file 2017.07.22 신현민 20149
'창원NC파크 마산구장' 드디어 개장 file 2019.03.26 민서윤 20144
3D 펜을 체험해보다 2 file 2018.11.12 손준서 20141
다함께 즐기는, 보라매 청소년 수련관 '동아리 인준식' file 2016.03.21 이은경 20138
[클래식 음악 소개] 쇤베르크 file 2017.10.10 김기현 20134
2018 야마하 그랜드피아노페어 ‘피아니스트 강충모 마스터 클래스’를 다녀오다. 1 file 2018.03.05 정효진 20126
13년째 사랑받고 있는 벚꽃 축제 3 file 2018.04.12 강서빈 20119
넓어지는 문화의 장, 테일즈샵 파티 2017 file 2017.08.31 김종윤 20116
평내동청소년자치위원, 복지 사각지대에 계신분들에게 사랑을 나눠요. 6 file 2017.01.24 황보민 20112
미네랄 오일의 누명, 석유 추출물 화장품의 진실 file 2019.03.18 임현애 20103
아반떼의 시작점, 엘란트라 1 file 2018.09.10 이상오 20088
크라우드 펀딩으로 미래 산업을 이끌다 file 2017.02.28 정세호 20079
나영석 피디, 리얼을 재료로 판타지를 만들다 2 file 2017.07.04 김혜원 20062
아이돌 그룹 비투비 팬들, 어려운이웃과 저소득층 아동지원을 위해 쌀·연탄·달걀 기부 1 file 2017.03.27 김은정 20059
아날로그와 함께하는 롯데월드, 응답하라 1988 전시회 5 file 2016.03.05 김민지 20059
3·1절 및 임시정부 100주년 기념사업이 있다? file 2019.05.31 엄태강 20053
없는 게 없다. “자동판매기의 진화” 1 file 2018.11.22 김다경 20041
KT 김사연, 김지열로 개명. 또 개명한 야구 선수는 누가 있나 2018.05.16 이정찬 20041
'2019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가다 2 file 2019.08.02 조햇살 20032
높아지는 축구 열기, 한국 축구의 봄날이 오다 1 file 2019.03.28 이준영 20019
국제기구를 더 알아보자 file 2019.03.14 장혜원 20016
소품으로 우리 집 예쁘게 꾸미기 꿀팁! 1 file 2020.05.08 차예원 20013
C++과 게임개발의 밀접한 관계 C++ Korea와 함께하는 제3회 마이크로소프트 멜팅팟 세미나 4 file 2017.02.26 하민준 20004
'행복한 소리 Dream' 목소리를 기부하다 1 2017.09.20 이태녕 19992
책을 꾸준히 읽을 수 있는 좋은 습관, '독서 마라톤' 4 file 2017.03.11 최영인 19992
무한한 가능성, 빅데이터 1 file 2016.10.23 정현호 19992
드론의 끝없는 변화 '수중 드론' 6 file 2017.01.27 임경은 19989
우리가 음악영화를 좋아하는 이유 1 file 2018.04.24 옥예진 19981
내 마음속에 저장~! 아이돌계의 신예 워너원, 그들의 정상은 어디까지인가? 1 file 2017.09.08 송예림 19971
'내 가수를 위해서라면...' 더 다양해지는 팬 문화! 4 file 2017.04.25 김예진 19970
익선동 한옥마을로 지키는 우리 유산 file 2018.09.14 구유정 19965
그들의 세상에 한 걸음 다가가기 – 조현병 file 2018.02.01 박재찬 199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