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책소개 - 미움 받을 용기

by 3기이지은기자 posted Sep 26, 2016 Views 1784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미움받을 용기]


3a0Ud0151sqfdki13l5k3_6c7uzu.jpg

  

[이미지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이지은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지은이인 알프레드 아들러는 세계3대 심리학의 거장이라 한다.

책제목을 처음 보고 '미움 받을 용기'라니 굳이 용기를 가지고 미움을 받아야 하나?

 

그냥 이 말장난 같은 제목이 왠지 마음 한켠 을 참 불편하게 만들었지만 많은 이들이 추천을 하고 특히 학교 짝이 지금까지 읽었던 책 중에 가장 감명 깊고 나에게 꼭 추천을 한다기에 읽기 시작하였다.

 

미움을 받으라는게 아니라, 미움 받을 용기를 가져라.

남의 기준, 남의 평가, 시선에 연연하지 말고 내 인생을 살아라.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

 

오스트리아 출신의 알프레드 아들러는 정신과 의사이자, 심리학자로 프로이트의 공동 연구자였지만 프로이트와 뜻을 달리해 '개인 심리학'을 펼쳤고, '아들러 심리학'으로 불린다. 아들러는 프로이트의 원인론을 정면으로 부정하고 돌직구를 던진다. 사람은 현재의 '목적'을 위해 행동한다는 '목적론'을 주장한다.

 

'트라우마란 존재하지 않는다'

 

아들러는 사람은 과거의 트라우마로 인해 현재의 불행을 일으킨다는 원인론을 부정한다. 우리는 모두 어떤 목적에 따라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목적론이다.

예를 들어, 우리는 경험을 통해서 받은 충격 - 즉 트라우마 -으로 고통받는 것이 아니라 경험 안에서 목적에 맞는 수단을 찾아낸다. 경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험에 부여한 의미에 따라 자신을 결정하는 것이다 라고 한다.

 

우리 사회에서 콤플렉스라는 말은 열등감과 같은 말처럼 쓰이고 있다고 한다. 원래 콤플렉스란 복잡하게 얽힌 도착적인 심리 상태를 표현하는 용어로 열등감과는 관계가 없다고 한다. ‘열등감열등 콤플렉스도 혼동하지 말고 정확하게 구분해서 써야 한다고 하는데, 아들러는 열등감은 노력과 성장을 자극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므로 열등감 자체는 그리 나쁜 것이 아니라고 한다. ‘열등 콤플렉스는 자신의 열등감을 변명거리로 삼기 시작한 상태를 가리킨다. 원래는 어떤 인과관계도 없는 것을 마치 중대한 인과 관계가 있는 것처럼 스스로에게 설명하고 납득한다.

 

예를 들어, ‘내가 결혼하지 못하는 이유는 어린 시절에 부모님이 이혼한 탓이에요라고 말하는 경우, 프로이트의 원인론 관점에서 보자면 부모의 이혼은 큰 트라우마 이자 그 사람의 결혼관과 밀접한 인과관계에 놓여 있다 볼 수 있지만 아들러는 목적론 입장에서 그것을 무늬만 인과법칙이라고 한다.

 

무늬만 인과법칙  미처 깨닫지 못하는 사이 우리는 얼마나 많은 무늬만 인과법칙을 이유로 나 자신을 합리화시켰던가!

 

자랑하는 사람은 열등감을 느끼는 사람이다. 이런 이야기는 굳이 심리학을 공부하지 않아도 일상에서 많이 느끼고 들어왔던 이야기다.

나를 싫어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은 내가 자유롭게 사는 증거가 된다.

잘못 이해하면 자기중심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남에게 어떻게 보이느냐에만 집착하는 삶이야말로 와는 관심이 없는 자기중심적인 생활양식인 것이다.

 

신뢰하는 것을 두려워하면 누구와도 깊은 관계를 맺을 수 없다.

있는 그대로의 이런 나를 받아들이는 것, 그리고 바꿀 수 있는 것은 바꾸는 용기를 내는 것, 자기수용에서 시작하여 타인을 신뢰하는 길로 들어서는 것.

배신을 할지 말지는 타인의 과제이다. 내가 할 수 없는 것이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타인을 신뢰하는 것

 

지금, 여기에 강렬한 스포트라이트를 비추라.

인생 전체에 흐릿한 빛을 비추면 과거와 미래가 보일 것이다. 아니, 보이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 하지만 지금, 여기에 강렬한 스포트라이트를 비추면 과거도 미래도 보이지 않게 된다. 우리는 지금, 여기를 진지하게 살아야 한다. 과거가 보이는 것 같고, 미래가 예측되는 듯한 기분이 드는 것은 지금, 여기를 진지하게 살지 않고 희미한 빛 속에서 살고 있다는 증거이다.

 

책을 덮고 난 지금, 머릿속에 몇 가지 구절들이 떠오른다.

 

자유롭게 살자. 나를 싫어하는 사람이 생기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자.

지금,여기를 진지하게 살 것. 진지하게 살되, 심각해지지 말 것.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3기 이지은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2624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2364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45393
넌 네가 얼마나 행복한 아이인지 아니? file 2017.03.25 김학경 13102
배고플때 짜증이 난다? file 2017.03.25 진다희 16492
봄꽃의 신호탄! " 2017 양산 원동매화축제" file 2017.03.25 전현동 12041
구일고등학교의 아이돌 'KD'를 소개합니다 file 2017.03.25 임수윤 20230
3월 25일, 전등을 끄고 생명의 빛을 켜다. file 2017.03.25 김량원 15830
‘국제출판인들과의 북한인권 대화’를 소개합니다. file 2017.03.25 강지원 13948
Earth Hour : 지구촌 전등 끄기로 환경 보호를 실천하다 file 2017.03.25 장예진 12971
2017 쇼트트랙 세계 선수권 대회, 한국 선수들에게만 깐깐한 심판들로 인해 억울한 패배를 맛본 한국 선수들? file 2017.03.25 이예성 16673
영화 '미녀와 야수'와 함께 동심의 세계로! 1 file 2017.03.25 연지원 15102
'구멍뚫린' 지역주택조합 file 2017.03.25 박다혜 12510
보령시 청소년 문화의집, 보령시 청소년 운위영위원회 위촉식 진행 file 2017.03.25 이지민 13580
인간 게놈 지도 발표 16년 file 2017.03.25 이정민 17724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 오긴 오잖아? 2017.03.25 장민수 24224
일본군 '위안부' 청소년 단체, '마음을 찾는 아이들'의 새로운 도약 5 file 2017.03.25 김수연 14705
세상을 조금씩 변화시키고 있는 냄비근성 2 file 2017.03.25 신유나 17941
별 하나에 윤동주의 삶을, 윤동주 문학관을 탐방하다 1 file 2017.03.25 황새연 14569
왼손잡이는 천재라는데 진실일까? file 2017.03.25 김선웅 17416
SWITCH OFF for Earth, right now. file 2017.03.25 최규리 12204
“어른이 되는 게 무서워요” …… 현실이란 틀 안에 갇혀버린 학생들 2 file 2017.03.25 김다희 18156
프리온, 단백질성 감염인자 file 2017.03.25 백준채 16974
눈의 의지로 별을 기리다. file 2017.03.25 임소진 14480
전세계가 함께하는 지구촌 전등끄기 행사가 열리다. 1 file 2017.03.25 김혜린 12994
Earth Hour: 지구를 위한 시간. 2 file 2017.03.25 유광호 14057
빅맥지수로 세계경제를 보다? file 2017.03.25 김나영 15235
당신의 양심은 아직 세모 모양입니까? file 2017.03.25 박유은 16180
어스아워 2017: 60분동안 불을 끄고, 생명을 켜다. file 2017.03.25 조윤수 13013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6622
'한정판'의 유혹 file 2017.03.25 주은채 13264
유행어, 신조어라는 거울 속에 나타나는 2017 사회 모습 3 file 2017.03.25 성채리 26163
맨발로 나아가는 청소년들, 청소년 장기 프로젝트 file 2017.03.25 박벼리 13108
페미니스트 대통령 file 2017.03.25 안예현 13207
'이상문학상'을 아시나요? file 2017.03.25 정준서 14616
상해를 바라보다(관광 취재) 1 2017.03.25 홍주리 13645
영화 속에서 과학을 보다, 국립부산과학관 ‘영화 더하기 과학’ 특별기획전 2 file 2017.03.25 김혜진 16887
작은 관심의 즐거움, 이제는 주어야 할 때 file 2017.03.25 홍선민 12359
마천청소년수련관에서 청소년 동아리 발대식 열려 1 file 2017.03.25 박지현 13077
밤길에 수놓은 빛무리, 원주 고니골 빛 축제 file 2017.03.26 염가은 15327
여행에 대한 변화된 생각, ‘현지화’를 꿈꾸는 여행객들 file 2017.03.26 백지웅 14915
제 4회 Y-kiki 선한음악회 1 file 2017.03.26 정수민 14696
인형 뽑기 범죄, 해결책은? file 2017.03.26 이호균 13133
‘3.1절 98주년’ 양주 광적면에 “태극기”가 휘날리다. file 2017.03.26 김소희 14613
우리 서해 바다, 지켜주셔서 감사합니다. file 2017.03.26 송인준 12928
미래의 성실납세자, 전국 청소년 세금문예작품공모전 참여하자! file 2017.03.26 한혜빈 18125
학원.... 나도 다녀야 하나...? 3 2017.03.26 박소민 17317
매월 넷째 주 수요일은 대중교통 이용의 날 file 2017.03.26 손유정 13362
당신의 청춘을 불러드립니다. file 2017.03.26 김다은 12508
봄처럼 따스한 우리 동네 나눔 곳간 1 file 2017.03.26 남예현 15285
달콤함에 묻힌 영웅, 안중근 의사 2 file 2017.03.26 노혜원 140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