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유럽여행 이젠 더 이상 꿈이 아닌 현실

by 3기김규리기자 posted Aug 25, 2016 Views 162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몇년 전까지만 해도, 유럽여행을 많이 가는 시대가 아니었다. 하지만, 요근래에는 많은 사람들이 유럽으로 여행을 떠나고 있다. 기본적으로, 유럽에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문화유적들이 많기 때문에,? 여행에 대한 기대가 크다. 예를? 들면, 이탈리아만 해도, 콜로세움, 폼페이 유적지, 포로노마노, 카타콤베, 바티칸, 피사의 사탑 등 볼거리가 많다. 그리고 요즘은 서유럽을 갔다온 사람들이 동유럽, 북유럽으로 관광의 눈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동유럽 여행에서 가장 많이 찾아지는 나라는 체코이다. 체코에서도 프라하가 한 몫 했다. 프라하의 낭만적인 도시 풍경이 여행객들의 마음을 뺏은 것이다. 하지만, 동유럽에서 체코만 있는 것이 아니다. 요즘 사람들은 헝가리, 오스트리아, 체코 의 경로로 여행을 많이 하고 있는 듯 했다.


  나의 가족도 동유럽 여행을 다녀왔다. 체험한 바에 의하면, 헝가리의 수도 부다페스트를 다녀왔는데, 부다 지역과 페스트 지역으로 나뉘어져있다. 그리고 부다 지역은 옛 문화재들이 많이 있고, 페스트 지역은 부다 지역 보다는 더 도시적인 모습이였다. 또 하나 인상적인 것은 대중교통의 발달이다. 수도라서 그런지 몰라도 대중교통이 정말 발달 되어있는 도시가 부다페스트이다. 먼저, 트램이 있다. 트램은 지상의 지하철이라고 보면 된다. 그리고 지하철이 따로 있다. 그리고, 버스가 있다. 그런데 버스도 두 종류가 있었다. 트램처럼 생긴 버스와 일반적인 버스였다. 그리고, 지하철의 배차간격이 길어봐야 4~5분인 것이 신선한 충격이었다. 또한, 밤에 다뉴브 강을 따라 보이는 야경은 일품이다.


  다음으로 소개할 나라는 오스트리아이다.

DSC00624~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김규리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벨베데레 궁전)


오스트리아에서 지낼 때는 시가지 한 가운데에서 지내다보니 정신이 없었다. 오스트리아에서는 왕궁들을 많이 관광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본 것은 벨베데레 궁 이다. 지금은 미술관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유명한 작품으로는 엘리샤의 키스가 있었고, 나폴레옹하면 떠오르는 말을 타고 있는 사진의 원작이 걸려있었다. 두번째는 쉠브론 궁전이었다. 쉠브론 궁전은 실제 왕족이 사용하던 시설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었다. 프랑스 혁명때 단두대에서 숙청되었던 마리 앙뚜아네뜨도 이 궁전의 공주였다.? 세 번째는 빈 왕궁이었는데, 날씨 때문에 구경한 것은 없다. 또 하나 인상적이었던 점은, 모자르트의 집이었다. 그 곳은 모자르트가 가장 형편이 좋았을 때 살던 곳이고, 그 곳에는 자필 악보들도 많이 전시 되어있었다.


   마지막으로는 체코이다. 체코는 정말 낭만있는 나라였지만, 관광객인지 체코국민인지 모를 사람들이 정말 많아서 관광하는데는 조금 불편했다. 하지만, 까를 교, 프라하 성은 멋있었다. 그리고 프라하 외에도 교외에 있는 도시인 체스키 크룸로크도 가 보았다. 사람마다 다 다르듯이 여행 스타일도 다른데, 나는 체스키 크룸로트가 정말 마음에 들었다. 여유롭고, 광장에 앉아 쉬고, 지나가는 사람들 구경하는 분위기가 정말 좋았다. 여행가서 문화재를 보러가는 것 보다 뭐 하나 덜 보더라도 여유로운 여행을 선호하는 사람에게는 정말 좋은 곳이다. 다르게 말하면, 볼거리는 별로 없지만, 동네 자체가 동화같기 때문에 나쁘지 않은 것 같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3기 김규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37208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3445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56007
4월 16일, 세월호 추모 연극 공연 '사월애(愛,?哀)' 1 file 2017.04.20 윤나민 14503
4박 5일 간의 GLL 프로젝트 마무리 file 2021.02.26 이준용 11172
4•19혁명과 시인 김수영 file 2021.04.26 박혜진 12276
4D 영화, 과연 좋은 영화 관람인가? file 2016.07.30 황지혜 17541
48인의 독립운동가 file 2021.07.26 노윤서 13126
400만을 사로잡은 디즈니 매직 3 file 2017.04.16 김다빈 15178
400년이 지나도 변함없는 '그'의 도발 file 2016.04.02 명은율 15967
3회 연속 아시안게임 동메달을 차지한 대한민국 여자축구국가대표팀 귀국 file 2018.09.03 허기범 13823
3차흡연, 과연 안전할까? 2017.08.31 최세린 14557
3월의 끝, 유관순과 함께 3 file 2020.03.30 박병성 14417
3월을 준비하는 학생들 8 file 2016.02.21 김민지 16074
3월, 새로운 시작의 달, 학생들을 위한 선물 4 file 2016.03.13 최서영 15807
3월 서울코믹스와 다가오는 5월 부산,서울 코믹스 file 2017.04.16 조민재 15758
3월 넷째 금요일은 '서해 수호의 날' 8 file 2017.03.24 최서진 12795
3월 25일, 전등을 끄고 생명의 빛을 켜다. file 2017.03.25 김량원 15892
3월 21일, 국제 인종 차별 철폐의 날 file 2017.04.30 이슬기 17090
3년 만에 찾아온 개기 월식 4 file 2018.01.26 최윤정 21082
3년 만에 열린 평창송어축제...오는 29일 폐막한다 file 2023.01.25 디지털이슈팀 6585
3년 만에 개최된 대저토마토축제 file 2023.06.12 김보민 6505
3·1절을 맞은 온양온천전통시장의 풍경 2 file 2016.03.02 이지영 21233
3·1절 및 임시정부 100주년 기념사업이 있다? file 2019.05.31 엄태강 20039
3·1절 맞아 대형태극기 게양... 대한독립만세 외치자! 12 file 2017.03.01 조묘희 16515
3D 펜을 체험해보다 2 file 2018.11.12 손준서 20131
30초 만에 만드는 나만의 체크카드, 카카오뱅크 'mini' 2 file 2020.11.02 이채림 20496
300달러 미만 5G 폰 美 출시, 삼성의 전환점이 될 것인가? file 2021.04.26 양연우 11695
3.1절은 어떤 날인가? 1 file 2022.02.28 이유진 10616
3.1일 민족의 고귀한 숨결 5 file 2017.02.21 김윤서 12423
3.1운동 100주년, 해외의 항일 독립운동의 흔적을 쫓아서 '이준 열사 기념관' file 2019.03.12 장선우 14864
3.1운동 100주년, 나라사랑 걷기대회 file 2019.03.22 김기혁 17778
3.1운동 100주년, 경상남도 시민과 함께하는 기념식과 만세운동 개최 1 file 2019.03.19 이지현 17347
3.1운동 100주년! 새로운 100년을 여는 천인평화원탁회의 file 2019.03.07 김아랑 13401
2월의 소형 SUV 판매량 순위를 알아보자! file 2018.03.08 정진화 20412
2월14일 발렌타인데이보다는 안중근의사를 기억하자!! 15 file 2017.02.14 주건 17333
2월 20일, 무명의 기념일에서 유명의 기념일로 4 file 2017.02.20 조수민 14598
2월 14일 안중근 의사를 기억하자 9 file 2017.02.14 김민주 14504
2월 14일 날은? 4 file 2017.02.21 김소은 13228
2년 만에 개최된 서울모빌리티쇼...관람객 '북적북적' file 2023.04.18 박서율 8246
27일, 서울시 어린이 청소년 참여위원회 오리엔테이션 열려 5 file 2016.02.27 황지연 18411
23여 년 만에 재출시한 '포켓몬빵', 선풍적인 인기를 끌다 1 file 2022.03.24 최은혁 27187
21세기 가장 성공한 밴드의 역사, 책 한 권에 담아내다 file 2019.05.23 오동택 20437
20세기 거장들의 작품을 한 자리에서 만나다 file 2023.06.22 박진하 6684
2030세대의 마음을 울리다, ‘MBN Y FORUM 2019’ 오는 27일 개최 2019.02.13 이승하 14970
2030년의 경제 주역들, Youth Change Makers file 2017.09.18 김예원 20949
2023 해운대 모래축제 개최...전국 유일 모래 소재 전시회 file 2023.05.30 진혜원 7591
202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8개 나라의 특색 모아 2023.05.24 박상연 6406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혼성계주' 정식종목 채택 file 2018.08.03 정재근 21743
2022 충청북도 청소년정책제안 토론회 실시간 온라인 개최 file 2022.11.09 이지원 7345
2022 출판도시 인문학당 '하반기 책방거리 프로그램' 진행 file 2022.09.16 이지원 75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