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잠은 보약이다

by 3기목예랑기자 posted Aug 25, 2016 Views 1636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 들어 많은 학생들이 새벽까지 잠을 자지 않고 밤을 새는 경우가 많다. 학교에서도 다수의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졸고 있어 몇 시에 잤냐고 물어보면 대게 일찍은 12시, 보통은 4시 정도에 잔다고 대답한다. 그러나 이번에 과학 저널<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잠은 새로운 기억을 받아들일 수 있게 하는, 일종의 ‘정리 과정’으로 꼭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KakaoTalk_20160825_193649017.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목예랑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 병원 소속 연구진은 실험참가자 20명한테 충분한 잠을 자게 한 뒤와 잠을 못 자게 한 뒤에 이들의 뇌파와 신경세포 활성 정도를 측정, 분석하고 기억력 테스트 등을 하여 앞에서의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24시간 동안 잠을 못 잔 실험참가자들의 뇌에선 뉴런(신경세포) 간 연결의 세기가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일종의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잠을 충분히 잔 경우와는 대조적으로 새로운 정보와 기억을 받아들이거나 생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깨어 있는 동안에 신경세포 간 연결의 세기가 더 커지다보면 새로운 기억 생성에 장애가 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이 연구는 수면이 뇌가 깨어 있을 때의 뇌 흥분성을 줄이고 신경세포 연결의 규모를 줄여, 이후에 새로운 기억을 받아들일 수 있게 준비하는 과정임을 보여준다.

 <뉴사이언티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이 연구는 사람한테 잠이 필요한 이유가 뇌 기능을 재조정하기 위한 것임을 말해준다. 기억 능력을 증대하고 우리 시냅스(신경세포 간 연결)를 재조정 하기 위해 뇌가  시냅스 세기의 활성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자주 멍한 상태에 빠지고 기억력이 떨어지고 있다면 뇌의 휴식인 수면을 잘 취하고 있나 돌아보고 자신에게 맞는 적절한 시간의 수면을 취할 것을 적극적으로 권장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3기 목예랑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989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702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0042
코스프레, 이색적인 모두의 문화로 자리매김하다. file 2018.03.03 김진영 16087
코로나지만 워터파크에 갈 수 있다? 5 file 2020.07.28 민아영 17513
코로나와 한국사회, 대학생의 시선으로 본다면? file 2020.11.27 양서현 13721
코로나에 빼앗긴 벚꽃 구경, 온라인으로 즐기자 file 2021.04.06 권민주 11385
코로나시대의 예술을 만나다 file 2020.08.18 조수민 11742
코로나바이러스의 이면 file 2020.05.04 주미지 14196
코로나바이러스가 만들어 낸 재앙, 층간 소음 2020.11.12 이수미 12763
코로나바이러스가 가져온 새로운 변화, OTT 서비스 file 2020.05.04 유해나 16157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가 바꾼 영화관의 풍경, 앞으로는? 4 file 2020.08.14 이준표 13531
코로나로 인해 뒤바뀐 우리의 문화 file 2020.09.01 김정안 12756
코로나로 멈춰버린 지금, 집에서 문화생활을 다시 찾다 2020.09.16 이준표 13359
코로나가 세계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 2 file 2020.06.01 서지완 17274
코로나가 불러온 스포츠계 사상 초유의 사태 file 2020.03.18 김민결 13880
코로나가 만든 신조어 1 file 2021.02.01 임은선 15950
코로나19의 위협엔 비대면 봉사활동 (신생아 모자뜨기) file 2020.10.23 신아인 13170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OTT서비스 1 file 2020.03.23 이서연 15191
코로나19에 맞서는 다양한 방법 '집콕' file 2021.02.25 김수연 11742
코로나19를 예측했다? 재조명받는 영화 <컨테이젼> 1 file 2020.10.06 이소은 15430
코로나19를 극복하는 템플스테이, 색다른 문화즐기기 file 2021.04.28 윤희주 11203
코로나19로 인해 해수욕장 풍경도 바뀐다 1 file 2020.06.29 이승연 12922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우리 사회의 영화관의 모습 file 2021.02.26 유정수 12596
코로나19로 인한 전세계 스포츠의 마비 1 file 2020.03.31 이정원 13862
코로나19로 인한 재난 문자의 증가..."재난 문자가 재난이에요" 4 file 2020.08.25 송한비 16422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생중계 아이돌 팬미팅 1 file 2020.09.14 최다인 13214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file 2021.07.12 김윤서 16827
코로나19로 변한 덕질 문화, 온라인 콘서트에 대해 알아보자 2020.10.29 김경현 13742
코로나19로 바뀐 문화생활 file 2021.02.24 이소현 12967
코로나19도 막지 못한 봄꽃 축제 3 file 2020.03.30 천수정 12212
코로나19가 우리에게 준 숙제… 분리수거, 재활용 file 2020.11.09 허다솔 15967
코로나19가 불러온 음악적 힐링, 크로스오버 그룹 포레스텔라 file 2021.03.03 김민영 15864
코로나19가 불러온 연예계의 비상 file 2020.09.07 홍지원 14317
코로나19가 불러온 '원격 수업' 계속 될까? file 2021.03.02 김민희 10988
코로나19가 몰고 온 비대면(Untact) 문화 file 2020.04.17 김지윤 12668
코로나19가 만들어낸 팬 콘텐츠, 방방콘 1 file 2020.04.27 정서윤 13946
코로나19가 가져다준 ‘안방 관극,’ 뮤지컬 생중계 1 file 2020.05.02 송다연 14235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8.27 길현희 12400
코로나19, 장애인들에겐 가시 1 2021.01.04 이수미 12525
코로나19 확산, 극장->안방, 뒤바뀐 문화생활 2 file 2020.04.13 정현석 12968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코로나 블루, 우울함에 대처하는 과학적 방법 2 file 2020.09.18 김다연 15638
코로나19 여파 속, 안전하게 도서관 즐기기 7 file 2020.04.10 하늘 15361
코로나19 시대의 슬기로운 독서 생활, 전자 도서관 1 file 2020.03.30 박민아 13542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등장, 로봇 카페 2 2020.09.28 김해승 12564
코로나19 시대의 K-POP의 새 문화 '온라인 콘서트' file 2020.10.30 노연우 15937
코로나19 속 재개봉 열풍 중인 극장가 file 2021.03.19 홍재원 15891
코로나19 사태에도 동아리 목표를 보여준 씨밀레의 ‘온라인 캠페인’ file 2020.03.25 조윤혜 24420
코로나19 사라져도 과연 우리는 이전과 같은 일상을 살 수 있는가 file 2021.03.15 권태웅 15420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학교에선 어떤 노력을 할까? file 2020.12.09 양윤아 14603
코로나19 걱정이 없는 세계, '모여봐요 동물의 숲' 9 file 2020.03.27 하건희 174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