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새로운 시장의 형태, 신자유주의

by 4기유승균기자 posted Aug 25, 2016 Views 1656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경제체제를 크게 나누면 자본주의와 공산주의로 나눌 수 있다. 이 둘의 경계는 사유자산을 인정하느냐 하지 않느냐로 결정된다. 사유자산을 인정하는 형태인 자본주의는 다시 세 형태로 나뉘었는데, 초기자본주의, 후기자본주의, 신자유주의로 나뉜다. 이 세 가지는 정부의 시장 개입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정부의 개입이 전혀 없는 것이 초기자본주의, 정부의 개입이 강한 후기자본주의, 그리고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한 신자유주의. 이 세 형태를 제시한 순서는 무의미한 나열이 아니라 시대가 발전하고, 경제가 성장하며 선택하게 된 주된 경제 체제의 순서이다. 현재의 신자유주의 체제는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현재에 가장 주요한 경제체제이다.

앞으로 돌아가 정부가 끼치는 영향에 대해 생각해보자. 정부는 보통 세금과 규제를 통해 시장에 개입한다. 세금이 높고, 규제가 강할수록 공산주의에 가까운 형태인 것이고, 세금과 규제가 완화될수록 초기자본주의의 형태에 가까워지는 것이다. 후기자본주의와 공산주의 같은 형태의 경제체제의 경우 정부의 개입이 강한 만큼 복지가 잘 갖추어 지게 되고, 빈부격차가 줄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경제체제는 자유로운 거래를 통한 시장의 형성을 방해할 수 있고, 여러 규제가 존재하여 자유롭게 자산을 불려나가는 데에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경제 발전을 저해시키게 되고, 시장에 득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현재 미국, 영국 등 경제적으로 성장한 국가들이 채택하고 있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경제체제는 신자유주의 체제이다. 최고의 경제체제는 아니지만, 현재에 최적화 되어있는 상태인 것은 분명하다.

신자유주의의 합리성을 볼 수 있는 또 다른 측면은 바로 생산욕구에 있다. 공산주의의 모토는 동등하게 생산해서 동등하게 분배한다는 점이다. 모두가 평등하게 일을 하고 분배를 받는다는 이론적인 부분에서는 훌륭한 경제체제이다. 하지만 이것을 현실로 가져왔을 때는 생산욕구저하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열심히 일을 해도 대충 일을 해도 같은 수당을 받는 상황에서 굳이 나의 노동력을 투자할 당위성은 사라지게 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방식의 생산은 생산방식의 다양화와 기술의 개발을 저해시켜 경제적인 발전을 이룰 수 없다.

반면 신자유주의 체제를 보면, 같은 분야라 하더라도, 개인의 자산을 활용해 경쟁을 하게 되어 자신의 노력과 행동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게 되어 생산욕구를 증진시키게 되고, 이는 곧 경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단편적인 예로 공산주의를 채택중인 북한과 대한민국의 국민소득의 변화를 살펴보면, 북한은 1970년대 경에 1인당 국민 소득이 약 384달러이고 한국은 284달러 수준이었다. 하지만 이후 1975년경에 들어서면서는 북한이 558달러 한국이 624달러라는 수치로 추월하고 이후 1980년대에 이르러서는 북한이 639달러 한국이 1719달러로 한국이 급격히 성장했다. 물론 이 시기의 성장은 오롯이 신자유주의와 공산주의의 차이 탓에 일어난 것이 아닌 박정희 정부 때의 경제성장 정책의 영향이 크다. 하지만 이후의 경제성장을 보면 대한민국은 1인당 국민소득이 25천 달러로 성장하였고, 북한은 583달러 수준에 머물고 있다. 정치적 요인 등이 이것에 영향을 끼쳤겠지만, 경제체제의 차이가 이러한 차이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은 분명하다. 우리나라가 완전히 신자유주의의 경제체제를 띄지는 않지만 정부의 개입이 과도한 사회보다는 시장의 자율성이 확보된 사회가 더 빠르게 경제 성장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신자유주의.png

출처- 장하준 교수의 저서 '나쁜 사마리아인들' 표지(스캔본), 설명-자체제작


신자유주의가 위같은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단점또한 분명히 있다. 가장 큰문제로 지적되는 것은 아마 자본가 위주의 시장구성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빈부격차일 것이다. 자본력을 지닌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신자유주의라는 체제 아래에서 경쟁한다면 분명히 자본력을 가진 이들이 더 유리한 위치에 있다. 또한 정부의 개입이 적은 만큼 빈부격차를 해소시킬 요소가 부족하다. 예를 들어보자. 과자를 판매하는데 신자유주의체제에 따라 정부의 개입이 적어 세금이 낮다. 따라서 낮은 가격으로 과자를 판매해도 이윤을 창출해낼 수 있고, 가격경쟁이 벌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자본가들은 낮은 가격으로 과자를 판매해도 당장 자신들의 자본에 큰 무리가 없다. 하지만 자본이 별로 없는 이들은 가격경쟁에서 피를 말릴 수밖에 없다. 결국 그들은 과자판매를 포기하게 되고 시장에는 자본가들만이 살아남게 된다. 여기에서 피해를 보는 것은 자본이 별로 없어 과자판매를 포기하게 된 사람들뿐만이 아니다. 자본가들만이 경쟁에서 살아남으면 이들은 시장을 독점하고, 가격을 올리고, 제품선택의 폭이 좁아질 우려가 있다. 결국 이로 인해 시장을 자본가들이 독식하고, 빈부격차가 커지게 되는 폐단이 발생한다.

장하준 교수의 저서 나쁜 사마리아인들에는 이런 말이 나온다.‘자본에 의해 착취되는 것보다 나쁜 한 가지는 자본에 의해 착취되지 않는 것이다자본을 투자받는 것. 자본에 지배당하는 것보다는 느낌이 좀 더 좋은 표현이다. 외국인의 자본을 투자받는 것은 경제 발전에 일환을 한다. 하지만 이 방식에는 큰 위험이 따른다. 외국의 투자가 우리나라에서 벌어지면, 단기적으로는 국내의 경제발전이 이루어지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위험 또한 존재한다. 이 투자들은 국내 기업의 독립성을 낮추고 투자를 받지 않은 국내 기업을 위협할 수 있다. 이 때문에악마와의 거래라고도 불리는데 신자유주의 체제에서는 이러한 위험을 막아줄 수단이 부족하다. 정부의 개입이 적고, 따라서 이러한 위험에 대한 대비책이 보장되어있지 않아 단기적인 성장만을 보고 달려든 이들이 다시 한 번 자본 앞에서 무릎을 꿇게 된다. 아프리카의 경우, 외국인 자본투자의 70%가량이 아프리카 자원 개발에 투자가 되고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외국의 투자가 아프리카의 기술적인 발전보다는 그곳을 개척해 투자자들의 배만 불리고 마는 상황이 벌어진다는 것이다. 규제가 없어 낮은 임금에 착취되는 탓에 아프리카의 자원들은 가격이 떨어지게 되었고 오히려 아프리카 국가들의 성장가능성을 저해하게 되었다. 이는 물론 나름 개발이 되어있는 신자유주의 국가라면 어느 정도 이런 상황에 대한 규제가 있다. 하지만 신자유주의를 지향하는 대다수의 개발도상국들은 나쁜 사마리아인들의 침입에 의해 정부의 규제가 허물어지게 되고 결국 이는 선진국들의 배만 채우고 정작 개발도상국들은 경제발전에 오히려 악영향을 받게 되는 일이 벌어진다.

신자유주의 체제가 최고의 경제체제일 수는 없다. 지금까지 존재했던 어떤 경제체제든 그 안에는 분명 폐단이 존재했고 모순이 존재했다. 하지만, 신자유주의 체제가 현재까지 존재해왔던 경제 체제 중 가장 합리적인 형태라는 것은 사실이다. 시장의 독점과 빈부격차는 발생 할 수 있지만 결론적으로 경제성장과 발전에 일환해주는 역할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의 개입이 적다는 점에서 자본이 힘을 발휘해 빈부격차 등의 문제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국가의 경제상황에 맞추어 신자유주의 체제에서 다른 경제체제의 장점들을 수용해나가면서 신자유주의가 빈부격차를 벌리는 자본가 위주의 체제가 아닌 많은 사람들이 경제적으로 풍요를 누릴 수 있는 더 나은 체제를 만드는 방법을 모색해야 신자유주의가 비로소 합리적인 경제체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3기= 유승균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오성용기자 2016.08.25 20:33
    신자유주의는 효율성은 뛰어나나 양극화를 극대화 시켰고 환경 파괴등 부작용이 많이 생겨났죠.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한 제 3의 길 이라는 이론도 나오긴 했으나 우리 사회는 아직 단점을 크게 신경 쓰지 않는 것 같아 슬프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3578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6184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6866
코스프레, 이색적인 모두의 문화로 자리매김하다. file 2018.03.03 김진영 16157
코로나지만 워터파크에 갈 수 있다? 5 file 2020.07.28 민아영 17601
코로나와 한국사회, 대학생의 시선으로 본다면? file 2020.11.27 양서현 13790
코로나에 빼앗긴 벚꽃 구경, 온라인으로 즐기자 file 2021.04.06 권민주 11469
코로나시대의 예술을 만나다 file 2020.08.18 조수민 11811
코로나바이러스의 이면 file 2020.05.04 주미지 14266
코로나바이러스가 만들어 낸 재앙, 층간 소음 2020.11.12 이수미 12836
코로나바이러스가 가져온 새로운 변화, OTT 서비스 file 2020.05.04 유해나 16226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가 바꾼 영화관의 풍경, 앞으로는? 4 file 2020.08.14 이준표 13592
코로나로 인해 뒤바뀐 우리의 문화 file 2020.09.01 김정안 12846
코로나로 멈춰버린 지금, 집에서 문화생활을 다시 찾다 2020.09.16 이준표 13427
코로나가 세계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 2 file 2020.06.01 서지완 17356
코로나가 불러온 스포츠계 사상 초유의 사태 file 2020.03.18 김민결 13919
코로나가 만든 신조어 1 file 2021.02.01 임은선 16048
코로나19의 위협엔 비대면 봉사활동 (신생아 모자뜨기) file 2020.10.23 신아인 13244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OTT서비스 1 file 2020.03.23 이서연 15242
코로나19에 맞서는 다양한 방법 '집콕' file 2021.02.25 김수연 11764
코로나19를 예측했다? 재조명받는 영화 <컨테이젼> 1 file 2020.10.06 이소은 15530
코로나19를 극복하는 템플스테이, 색다른 문화즐기기 file 2021.04.28 윤희주 11288
코로나19로 인해 해수욕장 풍경도 바뀐다 1 file 2020.06.29 이승연 12997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우리 사회의 영화관의 모습 file 2021.02.26 유정수 12664
코로나19로 인한 전세계 스포츠의 마비 1 file 2020.03.31 이정원 13918
코로나19로 인한 재난 문자의 증가..."재난 문자가 재난이에요" 4 file 2020.08.25 송한비 16473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생중계 아이돌 팬미팅 1 file 2020.09.14 최다인 13284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file 2021.07.12 김윤서 16866
코로나19로 변한 덕질 문화, 온라인 콘서트에 대해 알아보자 2020.10.29 김경현 13827
코로나19로 바뀐 문화생활 file 2021.02.24 이소현 13021
코로나19도 막지 못한 봄꽃 축제 3 file 2020.03.30 천수정 12285
코로나19가 우리에게 준 숙제… 분리수거, 재활용 file 2020.11.09 허다솔 16012
코로나19가 불러온 음악적 힐링, 크로스오버 그룹 포레스텔라 file 2021.03.03 김민영 15940
코로나19가 불러온 연예계의 비상 file 2020.09.07 홍지원 14492
코로나19가 불러온 '원격 수업' 계속 될까? file 2021.03.02 김민희 11020
코로나19가 몰고 온 비대면(Untact) 문화 file 2020.04.17 김지윤 12706
코로나19가 만들어낸 팬 콘텐츠, 방방콘 1 file 2020.04.27 정서윤 14010
코로나19가 가져다준 ‘안방 관극,’ 뮤지컬 생중계 1 file 2020.05.02 송다연 14290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8.27 길현희 12560
코로나19, 장애인들에겐 가시 1 2021.01.04 이수미 12605
코로나19 확산, 극장->안방, 뒤바뀐 문화생활 2 file 2020.04.13 정현석 13038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코로나 블루, 우울함에 대처하는 과학적 방법 2 file 2020.09.18 김다연 15708
코로나19 여파 속, 안전하게 도서관 즐기기 7 file 2020.04.10 하늘 15420
코로나19 시대의 슬기로운 독서 생활, 전자 도서관 1 file 2020.03.30 박민아 13639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등장, 로봇 카페 2 2020.09.28 김해승 12640
코로나19 시대의 K-POP의 새 문화 '온라인 콘서트' file 2020.10.30 노연우 15981
코로나19 속 재개봉 열풍 중인 극장가 file 2021.03.19 홍재원 16046
코로나19 사태에도 동아리 목표를 보여준 씨밀레의 ‘온라인 캠페인’ file 2020.03.25 조윤혜 24499
코로나19 사라져도 과연 우리는 이전과 같은 일상을 살 수 있는가 file 2021.03.15 권태웅 15477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학교에선 어떤 노력을 할까? file 2020.12.09 양윤아 14648
코로나19 걱정이 없는 세계, '모여봐요 동물의 숲' 9 file 2020.03.27 하건희 175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