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하와이에서 실제 우주복 입고 체험한 '가상 화성 생활

by 4기노태인기자 posted Aug 24, 2016 Views 1652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472033355174.jpeg

미국인 우주비행사 마크 와트니가 화성에서 표류하여 생존하는 모습을 그린 소설 마션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노태인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영화 ‘마션’의 주인공처럼 진짜 화성이 아닌 가짜 화성에서의 척박하고 고립된 생활을 가정한 채 1년을 지낸 과학자들이 있다. 바로 우리가 사는 땅 '지구'에서 '화성'의 생활을 체험한 것인데 프랑스 우주생물학자, 독일 물리학자와 비행사, 미국 건축가, 의사, 토양학자 등 국적과 전공이 모두 다른 6명은 지난해 8월 28일부터 화성 생활을 가정한 1년 일정의 고립 훈련에 들어갔다. 이들은 미국 하와이주 마우나로아 화산에 설치한 실험돔 ‘화성’에서 1년간의 훈련을 마치고 이제 귀환을 앞두고 있다.

이들은 하와이 마우나로아 화산 해발 2499m(8200피트)에 설치한 지름 11m, 높이 6m 돔 안에서 생활하면서 우주복을 입고서만 밖에 나갈 수 있었다. 돔 내부의 과학자들 방에는 간이침대와 책상이 있고 인터넷 사용은 제한됐다. 식량은 가루 치즈나 참치 통조림 등 건조식품 정도였으며 주변에 동물이나 식물도 없었다. 마우나로아는 고도가 높은 탓에 토양에서 식물이 거의 자랄 수 없어 물이 없는 화성 토양과 환경이 비슷하다. 이번 훈련에 앞서 이곳에서 4개월, 8개월짜리 화성 시뮬레이션이 이뤄진 바 있다.

과학자 6명은 지난해 8월 말부터 화성과 비슷한 환경을 갖춘 이곳에서 적응 훈련을 해왔고, 최소한의 식량으로 생활하면서 LED 조명으로 토마토를 키우는 데도 성공했다.

과학자들은 장기간 지구를 떠나 있을 때 신체와 감정의 변화를 점검하고 화성에서 인간이 어떻게 적응할지를 연구했다. 폐기물 처리도 지구에서와는 달리 특별하게 진행됐다. 우주어로 불리는 러시아어 학습시간도 있었다. 과학자들은 한 달에 2∼3차례 ‘화성일기’를 블로그에 연재하면서 “여기에는 휴대전화도, 의료보험 카드도, 자동차 소음도 없다”며 “금본위제 대신 태양본위제가 이뤄지는 곳”이라고 적었다. 이 글은 이메일만으로 전파됐다. 심지어 전달되는 데 20분이 걸렸다. 화성에서 지구까지 전파가 이동하는 시간을 적용한 것이다.

돔에서 화성 생활을 경험한 과학자들은 오는 26일 1년간의 훈련 일정을 모두 마치고 지구 현실 세계로 돌아와 신선한 공기와 음식을 맛볼 수 있게 된다. 프로젝트 책임연구원인 킴 빈스테드는 "이번 시뮬레이션은 러시아 지역에서 2011년 520일간 진행한 실험 이후 두 번째로 긴 화성 적응훈련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학자들 상태는 괜찮다"며 "이들은 돔 밖으로 나가면 바다에 뛰어들겠다고 떠들고 있다고 전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노태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4297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4016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2094
코스프레, 이색적인 모두의 문화로 자리매김하다. file 2018.03.03 김진영 15916
코로나지만 워터파크에 갈 수 있다? 5 file 2020.07.28 민아영 17376
코로나와 한국사회, 대학생의 시선으로 본다면? file 2020.11.27 양서현 13618
코로나에 빼앗긴 벚꽃 구경, 온라인으로 즐기자 file 2021.04.06 권민주 11244
코로나시대의 예술을 만나다 file 2020.08.18 조수민 11663
코로나바이러스의 이면 file 2020.05.04 주미지 14059
코로나바이러스가 만들어 낸 재앙, 층간 소음 2020.11.12 이수미 12661
코로나바이러스가 가져온 새로운 변화, OTT 서비스 file 2020.05.04 유해나 16042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가 바꾼 영화관의 풍경, 앞으로는? 4 file 2020.08.14 이준표 13453
코로나로 인해 뒤바뀐 우리의 문화 file 2020.09.01 김정안 12680
코로나로 멈춰버린 지금, 집에서 문화생활을 다시 찾다 2020.09.16 이준표 13257
코로나가 세계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 2 file 2020.06.01 서지완 17143
코로나가 불러온 스포츠계 사상 초유의 사태 file 2020.03.18 김민결 13779
코로나가 만든 신조어 1 file 2021.02.01 임은선 15837
코로나19의 위협엔 비대면 봉사활동 (신생아 모자뜨기) file 2020.10.23 신아인 13043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OTT서비스 1 file 2020.03.23 이서연 15070
코로나19에 맞서는 다양한 방법 '집콕' file 2021.02.25 김수연 11635
코로나19를 예측했다? 재조명받는 영화 <컨테이젼> 1 file 2020.10.06 이소은 15302
코로나19를 극복하는 템플스테이, 색다른 문화즐기기 file 2021.04.28 윤희주 10995
코로나19로 인해 해수욕장 풍경도 바뀐다 1 file 2020.06.29 이승연 12792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우리 사회의 영화관의 모습 file 2021.02.26 유정수 12483
코로나19로 인한 전세계 스포츠의 마비 1 file 2020.03.31 이정원 13742
코로나19로 인한 재난 문자의 증가..."재난 문자가 재난이에요" 4 file 2020.08.25 송한비 16320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생중계 아이돌 팬미팅 1 file 2020.09.14 최다인 13119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file 2021.07.12 김윤서 16706
코로나19로 변한 덕질 문화, 온라인 콘서트에 대해 알아보자 2020.10.29 김경현 13630
코로나19로 바뀐 문화생활 file 2021.02.24 이소현 12855
코로나19도 막지 못한 봄꽃 축제 3 file 2020.03.30 천수정 12101
코로나19가 우리에게 준 숙제… 분리수거, 재활용 file 2020.11.09 허다솔 15859
코로나19가 불러온 음악적 힐링, 크로스오버 그룹 포레스텔라 file 2021.03.03 김민영 15767
코로나19가 불러온 연예계의 비상 file 2020.09.07 홍지원 14108
코로나19가 불러온 '원격 수업' 계속 될까? file 2021.03.02 김민희 10907
코로나19가 몰고 온 비대면(Untact) 문화 file 2020.04.17 김지윤 12560
코로나19가 만들어낸 팬 콘텐츠, 방방콘 1 file 2020.04.27 정서윤 13850
코로나19가 가져다준 ‘안방 관극,’ 뮤지컬 생중계 1 file 2020.05.02 송다연 14146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8.27 길현희 12299
코로나19, 장애인들에겐 가시 1 2021.01.04 이수미 12415
코로나19 확산, 극장->안방, 뒤바뀐 문화생활 2 file 2020.04.13 정현석 12859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코로나 블루, 우울함에 대처하는 과학적 방법 2 file 2020.09.18 김다연 15529
코로나19 여파 속, 안전하게 도서관 즐기기 7 file 2020.04.10 하늘 15269
코로나19 시대의 슬기로운 독서 생활, 전자 도서관 1 file 2020.03.30 박민아 13413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등장, 로봇 카페 2 2020.09.28 김해승 12483
코로나19 시대의 K-POP의 새 문화 '온라인 콘서트' file 2020.10.30 노연우 15837
코로나19 속 재개봉 열풍 중인 극장가 file 2021.03.19 홍재원 15810
코로나19 사태에도 동아리 목표를 보여준 씨밀레의 ‘온라인 캠페인’ file 2020.03.25 조윤혜 24275
코로나19 사라져도 과연 우리는 이전과 같은 일상을 살 수 있는가 file 2021.03.15 권태웅 15330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학교에선 어떤 노력을 할까? file 2020.12.09 양윤아 14469
코로나19 걱정이 없는 세계, '모여봐요 동물의 숲' 9 file 2020.03.27 하건희 173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