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5G 상용화 어느덧 2년 반...한국의 5G 통신 현재 상황

by 18기최병용기자 posted Jun 25, 2021 Views 1237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8년 12월 1일 전 세계 최초로 5G NR 전파가 대한민국에서 송출되었다. 또한, 2018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5G 이동통신 시범 서비스를 진행하였고 2019년 상반기에 갤럭시 S10 5G 모델을 개통을 시작으로 전 세계에서 최초로 5G 상용화에 성공한 국가는 대한민국이다. 


하지만, 2021년이 되는 지금까지도 제대로 된 5G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이용자가 대다수며 LTE와 5G 서비스가 번갈아 가며 통신 되는 등의 5G에 관한 다양한 문제점이 보도되고 있다. 이용자들이 겪는 가장 큰 불편함은 비싼 요금제이다. 5G 요금제는 기존 WCDMA나 LTE의 요금제보다 비싼 요금으로 책정되고 있다. 통신 3사 모두 기본적으로 같은 제공량의 LTE 요금제가 3만 원대 혹은 4만 원대라면 5G 요금제에서는 5만 원을 지불해야 서비스받을 수 있다. 또한, 5G 요금제 중에는 이용률이 적은 유저를 반영하지 않는 요금제도 문제가 되고 있다.


이보다 심한 문제점은 2019년 첫 개통 이후 2년이 넘은 아직도 5G 통신이 불가능한 음영지역이 많다는 점이다. 수도권 지역의 경우 2020년에 비해서 많은 커버리지가 생성되었지만, 아직도 음영지역이 존재한다. LTE나 WCDMA, CDMA(LG U+ 한정)의 경우 수도권 지역의 음영지역을 찾기 힘들 정도로 완벽한 커버리지를 보유하지만 이들보다 비싼 요금을 지불하는 이용자가 일부 지역에서는 5G 서비스를 받지 못하니 이용자 입장에서는 억울한 입장이다. 수도권 지역은 그나마 5G 커버리지가 이제는 많이 좋아졌지만 여전히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부산광역시나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와 같은 대도시를 제외한다면 5G 음영지역이 매우 많은 편이다. 특히, 강원도 산간지역이나 소백산맥을 중심으로 5G 커버리지는 서비스 지역을 찾기 힘들 정도로 음영지역이 많은 편이다. 


5G 통신속도도 이용자의 원성을 사고 있다. 각종 커뮤니티에서 5G 유저들의 지역별 통신속도를 측정하여 공개 한 결과 수도권 및 서울 지역에서도 다운로드 속도가 30Mbps가 나오거나 일부 지역에서는 100Mbps로 LTE의 평균 속도인 150Mbps에도 못 미치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무엇보다 5G 스마트폰을 구입할 경우 공시지원금을 받으려면 무조건 5G 요금제를 써야 하며 통신사에서 개통 시에 5G 스마트폰을 LTE 요금제나 WCDMA 요금제로 개통하는 방법은 없다. 5G 요금제를 사용하지 않고 5G 단말기를 구입하려면 자급제 단말기를 구입하여 LTE 서비스에 가입된 유심을 별도로 단말기에 장착하는 방법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은 5G 요금제 가입자들은 지금 집단 소송 절차에 들어갔다. 이들은 현재 6월 중반경 소장 접수를 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후 결과가 나올 때까지 약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193166d3e11a51d92173f8e17ee4108.png

[이미지 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8기 최병용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005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4722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9424
눈 위의 마라톤, 평창동계올림픽 크로스컨트리 경기를 보러 가다. 6 file 2018.02.22 마준서 16176
인기폭발! 평창스타 '수호랑' 1 file 2018.02.26 정윤하 21998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그 속사정은? 2 file 2018.02.27 윤성무 15720
평창 동계올림픽, 그 화제의 현장 속으로 2 2018.02.28 안효진 15599
평창 동계 올림픽, 남북 외교의 발판 될까? file 2018.03.01 안성연 14943
2018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특별전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한국·일본·중국' 열려... file 2018.03.01 류태원 16705
평창 패럴림픽 마스코트, '반다비' 2 file 2018.03.01 이가영 15741
서대문구 주민이라 행복해요~ 서대문구와 함께 즐기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1 file 2018.03.01 박세진 16068
여성혐오적 의미가 담긴 유행어는 성희롱입니다. 3 file 2018.03.01 홍예림 19451
평창 패럴림픽, 이렇게 즐기는 건 어때? file 2018.03.02 이소현 15455
수호랑이 가고 반다비가 온다 1 file 2018.03.02 신소연 16081
2018 평창 동계올림픽 - 스키점프에 관한 거의 모든 것 2018.03.02 김종원 15840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축하공연의 열기 고조 file 2018.03.02 박소현 15395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적인 마무리 file 2018.03.03 김세빈 16239
2018 평창올림픽, 그 속에 숨겨진 과학적 원리가 궁금하다면? 1 file 2018.03.03 김응민 18082
뉴 챔피언이 되어라! 영웅들의 순탄치 않았던 이야기 file 2018.03.03 김지수 15487
2018 평창올림픽, 경기에 대한 해외 반응은? file 2018.03.05 김세현 15746
평창 동계올림픽 상품들, 수호랑은 이제... 2018.03.06 정현택 15853
대한민국 여자 컬링 국가대표팀 아쉬운 은메달... 남자와 믹스 더블은 아쉽게 예선 탈락... 2 2018.03.06 문준형 15399
평창 동계올림픽, 그 시작과 성공 file 2018.03.08 이수인 17360
평창과 사랑에 빠지다 2 file 2018.03.09 백예빈 16922
강릉에서 느끼는 조선시대 전통문화 file 2018.03.09 마하경 16470
2018 평창동계올림픽 폐회식 17일간 대장정의 화려한 피날레 2018.03.20 이영재 14620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컬링 1 2018.03.20 최대한 15416
청주 체육관을 찾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영웅들 2 file 2018.03.22 허기범 16459
평창동계올림픽, 기나긴 여정의 결실 file 2018.03.26 조유나 15350
2018 평창올림픽을 되돌아보다 2018.03.26 김화랑 14564
삼국삼색의 호랑이 file 2018.03.27 이지영 15621
현충원의 뜻깊은 호국 문예 백일장과 그림 대회 file 2018.06.04 정유경 17524
서울시립동대문청소년수련관, 홍보대사로 댄스팀 U.A(유에이) 위촉 file 2018.07.09 디지털이슈팀 205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