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양날의 검, 생체 보안 기술

by 4기김세원기자 posted Feb 15, 2017 Views 1536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누구나 한 번쯤은 알리바바와 40인의 도둑 속 열려라 참깨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동화 속보 안이 오늘날 생체 보안 기술로 실현되었다. 이때 생체 보안 기술이란 사용자 개인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인증하기 위한 보안 기술로 지문 인증, 음성 인증, 얼굴 인증, 정맥 인증, 홍채 인증 등 개인의 고유 정보를 사용하여 개인의 신원을 식별하는 기술이다. 2016819일 정식 출시한 갤노트 7에는 홍채 인식 기술이 탑재되어 있다. 이 홍채인식 기술로 잠금 해제 및 은행 결제도 가능하다. 하지만 생체 보안 기술이 우리의 정보 유출에 날개를 달아주는 것은 아닌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한다.


SAM_2247.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세원기자]


 생채 보안 기술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지문인식도 포함된다. 생체 보안 기술이 보편화된다면 편의점에서도 지갑 없이 물건을 살수 있을 것이며 급식실에서 학생증 없이 혹은 대중교통에서 교통카드 없이 결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우리의 일상에 편리함을 더해주기에 그 활용 범위 또한 넓어지고 있다. 이웃나라인 일본은 2004년 도쿄미쓰비시은행을 시작으로 UFJ 은행오가키 교리 은행 등 ATM 거래에 손가락 정맥인증 시스템을 도입하였다우리나라도 현재 기업은행에서 홍채 인식 적용을 검토 중이며 KEB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지문인증 방식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생체 보안 기술은 우리에게 분명히 편리함을 가져다줄 것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 또한 많다. 우리가 사용하던 이전의 패스워드나 패턴과 같은 보안 방식은 해킹으로 유출되었다. 하지만 생체 보안 기술은 우리의 신체와 직접 관련이 있어 강력범죄가 우려된다. 2005년 말레이시아에서 지문인식으로 시동을 거는 고급 승용차를 강탈하기 위해 운전자의 손가락을 절단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러한 식으로 오늘날의 휴대폰 절도가 아닌 납치와 같은 범죄가 발생하게 될지도 모른다. 이러한 범죄는 우리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이기에 보안 강화가 더욱 중요하다. 특히 생체 인식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 신체 훼손 시 본인마저 정보에 접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이러한 문제점을 막기 위해서는 생체 보안 기술과 패스워드를 겸용하여 2중 보안을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또한 생체 보안 기술의 정보가 새어 나가기라도 한다면 개인의 신변이 위험해질 수도 있고 자신의 얼굴과 건강 등 사생활이 유출될 수도 있다는 우려를 안고 살아야 한다또 비밀번호는 쉽게 변경이 가능하지만 홍채와 같은 신체 정보는 한번 유출되면 피해가 크고 바꾸기가 어렵다. 마이너리티 리포트라는 영화 중에 주인공이 지나갈 때 홍채를 인식하여 전광판의 광고에서 주인공의 이름을 부르고 주인공에게 맞는 물건을 추천해준다. 그러나 이 주인공이 범죄자가 되어 시스템으로부터 추격당하자 이것을 피하기 위해 불법으로 다른 사람의 눈을 이식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처럼 홍채 갈취손가락 절단 등 극악무도한 범죄가 발생하고 불법 시술이 팽배하게 되면 피해자도 속출하게 될 것이다. 이것 이외에도 생체정보관리는 누가 할 것인지 등 많은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생체 보안 기술은 달과 같아서 어느 누구에게도 보이지 않는 어두운 면이 있다. 따라서 우리는 생체 보안 기술에 무조건 의존하기보다는 다른 보안체제와 함께 사용해야 하며 오늘날 큰 문제인 보안이 반드시 강화되어야 한다. 우리의 생명과 직결된 기술이기에 우리가 고려할 수 있는 한 최대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해야 하며 이 기술에 따른 법률 개정도 발 빠르게 이루어진다면 조금이나마 진정한 편리함을 누릴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당신은 미래를 알고 있으니 원한다면 바꿀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김세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추연종기자 2017.02.16 01:37
    저는 생체 보안 기술이라고 하면 지문인식이 먼저 떠올랐는데 정맥인증이나 홍채 인식이라는 다양한 생체 보안기술이 있다는게 놀랍네요, 단순히 생체 보안기술의 밝은면만 알고 있었는데 기사를 본 후 악용된다면 한없이 어두워질 수 있는 기술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의 올바른 사용을 위하여 빨리 좋은 정책이 마련되면 좋겠습니다. 좋은기사 잘 읽고갑니다.
  • ?
    4기김민준기자 2017.02.16 19:43
    생체보안기술이 자기 자신이 아니면 풀지 못할 거라 생각하지만, 전에 개발자 단체에서 사진을 통해 간단하게 다른 사람의 지문을 채취하는 기술을 보여준 적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생체보안기술도 아직 갈 길이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나중에는 보안기술 없이도 보안이 되는 날이 왔으면 합니다.
    (기술적으로나 법적으로나 이 문제를 완벽히 해결할 수 있는 날이 왔으면 합니다.)
    좋은 내용의 긴 기사를 작성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4기김도영기자 2017.02.20 22:01
    생체 보안 기술은 기술적으로 보면 정말 엄청난 발전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기술이 실제 우리 생활 속에 스며들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생각해보면 아직은 보편적으로 도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법적으로도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법안이 발의되었으면 합니다. 하지만 정말 대단한 기술이라고 생각해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5544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2479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37958
대재앙 코로나19, 논란의 일본 코로나 학생 재난지원금 차별 file 2020.05.27 송승연 16783
대왕 카스텔라의 부활 1 file 2020.03.19 강민경 8711
대안 문화에서 미숙한 문화로 2014.07.31 조민지 26506
대세론과 상승세, 문재인과 안희정의 공약은 무엇일까 4 file 2017.03.09 손유연 13286
대설주의보와 대설경보, 미리 알고 대비하자 1 file 2020.02.21 우선윤 9353
대선에만 치우친 시선, 2022년 재보궐선거는? file 2022.02.25 고대현 8578
대선 토론회 북한 주적 논란, 진실은 무엇인가 3 file 2017.04.20 김동언 16407
대선 전 마지막 TV 토론, 코로나19 대응 관련 주제로 팽팽히 맞선 트럼프-바이든 file 2020.10.27 박수영 6887
대부분의 학생들이 하루를 보내는 학교, 그런데 이런 곳에 1급 발암 물질이 있다? 3 2018.08.24 공동훈 11695
대보름과 함께 떠오른 민중의 목소리 2 file 2017.02.12 오지은 16131
대법원, 이기택 대법관 후임 인선 착수, 28일 후보자 추천 시작 file 2021.06.11 김준혁 6744
대만의 장세스, 그는 과연 영웅인가 살인자인가 file 2017.02.22 이서진 19658
대륙이 손을 폈다, 하지만 이제 시작일 뿐 file 2017.03.26 김지한 8918
대낮에 주황빛 하늘? 미 서부를 강타한 최악의 산불 file 2020.09.28 김시온 7779
대구시민의 관심이 집중된 신청사 건립, 대체 무엇일까? 1 file 2019.05.29 김민정 9160
대구·경북 신공항 특별법.. 균형 발전을 위해 제정 필요 file 2021.05.04 이승열 6598
대구 '평화의소녀상' 희망을 달다 2 file 2017.03.29 김나현 11517
당진시장, 시민들의 소리를 들어 1 2017.01.24 박근덕 16561
당연하게 된 사교육, 원인은? 3 file 2017.05.27 김혜원 13815
당신은 알고 있었는가,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파업 3 file 2016.06.18 정현호 14247
당신은 가해자입니까? 아니면 정의로운 신고자입니까? 10 file 2016.02.23 김나현 15935
당사자인가, 연대인가? 인권운동의 딜레마 file 2018.12.26 김어진 13992
당사자 없는 위안부 합의, 미안하지만 무효입니다. 4 file 2017.02.12 윤익현 15485
담배연기에 찌든 청소년들 2014.08.01 송은지 21915
담배로 인한 피해는 누가 책임지나. 6 file 2016.03.26 김민주 17703
담배 회사의 사회 공헌 활동,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2 file 2020.07.27 김민결 10674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왔다. 3 file 2017.03.11 김지민 12035
닭 쫓던 개 신세 된 한국, 외교 실리 전혀 못 찾아 4 file 2016.02.28 이민구 14121
달콤한 휴식처? '졸음쉼터'의 이면 2 file 2017.01.31 김성미 17533
달라진 미국 비자 발급... 내 개인정보는? file 2019.08.16 유예원 13782
달걀 가격 4000원대로 하락...농가들은 울상 file 2017.10.11 김주연 11148
단식 투쟁으로 얻은 작지만 큰 희망. 2018.01.15 서호연 11576
다함께 외쳐요,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 11 file 2016.02.24 박예진 16803
다이지에서 울산 고래 전시간까지...돌고래의 끝없는 고통 3 file 2017.02.28 박설빈 14015
다음, 카카오톡에 이어 이제는 네이버까지... file 2019.06.26 이채린 10283
다시금 되새겨 봐야하는 소녀상의 의미 file 2017.03.26 박서연 9958
다시 한번, 국민의 힘을 증명하다. file 2017.03.21 정영우 10739
다시 찾아오는 광복절, 다시 알아보는 그 의미 5 file 2017.08.10 홍동진 10910
다시 재현 된 우리 민족의 역사, 전주 3·13 만세운동 file 2015.03.25 김진아 30704
다시 일어난 미국 흑인 총격 사건, 제2의 조지 플로이드 되나 2020.08.31 추한영 8158
다시 시작된 코로나19 file 2020.08.26 손혜빈 8569
다시 불거진 문단 내 성폭력, 문단계도 '미투' file 2018.02.28 신주희 11412
다시 보는 선거 공약... 20대 국회 과연? 1 file 2016.04.24 이예린 19796
다시 모습을 드러내기까지 '1073'... 엇갈린 입장 1 file 2017.03.31 4기박소연기자 13323
다시 돌아보는 일본불매운동, 과연 성과는 어느 정도일까? 4 file 2020.10.16 정예람 14253
다시 도마 오른 소년법, 이번에는 바뀔까? file 2020.04.06 한규원 11017
다스는 누구 겁니까? 3 file 2018.02.20 연창훈 10570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 4 2017.03.14 추연종 202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