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김영란법을 낳은 '벤츠 여검사 사건' 다시보기

by 3기정치부김도윤 posted May 23, 2016 Views 1825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60522_225321.jpg


김영란법을 낳은 벤츠검사녀 사건다시보기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에 관한 법률, 일명 김영란법의 시행까지 앞으로 약 4개월이 남아있다. 그동안 수많은 고위공무원들의 뇌물 수수와 부정부패에 분노하던 국민들이 조금은 안심하게 해주는 법임이 분명하지만 그동안 그토록 발제되지 않았던 법이 국회까지 통과한 것 또한 의문이다. 김영란 법이 국회를 통과해 법으로 제정될 수 잇었던 이유중 하나는 김영란 법의 탄생 배경에 있다.


벤츠여검사 사건은 내연관계인 변호사로부터 수천만원의 금품을 받은 여검사가 변호사의 사건청탁을 들어줌으로서 불거진 사건이다. 벤츠,샤넬백등 대략 6000만원 상당의 금품이 오갔지만 대법원의 최종 판결은 무죄였다. 금품을 준 시기는 약 3년 전인 2007년부터이고 사건청탁을 부탁한 것은 2010년이다. 이 두 시간사이의 거리가 있기 때문에 청탁이라고 부기는 어렵다 라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이었다. 그러나 이 결과에 법조인을 비롯해 많은 국민들이 의아해했다. 그이유중 하나로 사건 이전 대법원이 만든 포괄적 뇌물죄 때문이다. 정식 법으로 채택된 것은 아니지만 이미 확립된 판례인 포괄적 뇌물죄란 쉽게 말해 고위 공직자의 주변사람이 뇌물 수수를 한 것으로, 공직자 본인이 이를 인지 하고 있었고, 이를 묵인하였다면 성립되는 판례이다. 그런데 이번 재판에서 대법원이 그것을 깨버린 것이다. 더욱 문제시 되는 것은 내연관계에 있던 변호사는 비슷한 사건으로 같은 시기에 집행유예에 해당하는 처벌을 받았는데 왜 유독 여검사 사건에만 이렇게 자비롭냐라는 것또한 의문이다.

여러 사건에 의해 사법부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가 땅에 떨어졌다. 나라의 제 1 기둥인 사법정의가 깨진 나라가 나아갈 길이 과연 안전하고 옳을지 의문이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3기 정치부 김도윤]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온라인뉴스팀 2016.05.23 14:00
    (댓글) 3기조민성기자

    김영란법의 배경을 처음 알았네요.
    일단 통과는 되었다만 앞으로 어떻게 적용될지는 두고볼일이겠죠.
    사법부가 대체 왜 여검사 사건에 저런 판결을 내렸을까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816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672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0114
‘2020 삼성행복대상’ 수상자 발표..김하늘 학생 등 청소년 5명 수상 file 2020.11.11 디지털이슈팀 8548
카멀라 해리스, 美 최초의 여성 부통령으로 당선 2 file 2020.11.09 임이레 8887
영국의 코로나 거리두기 3단계 선포, 과연 우리나라와는 어떻게 다를까? 3 file 2020.11.05 염보라 15277
아파트 값과 전세값 앞으로는? 1 file 2020.11.05 박범수 8985
복잡한 미국의 대선 방식, 어떻게 진행되고 왜 그럴까? file 2020.11.04 김진현 13045
바이든을 지지한 "너희가 멍청한 거야", 전 민주당 소속 여성 리더가 말하다 1 file 2020.11.03 김태환 11497
미 대선 마지막 토론… 트럼프, 김정은과 “특별한 관계”…바이든, “비핵화 위해 김정은 만날 것” file 2020.11.02 공성빈 10429
독감 백신, 대체 어떤 종류가 있길래? 4 2020.11.02 김태은 13233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 78세의 나이로 별세 1 2020.11.02 조은우 8247
1년째 계속되는 산불, 결국 뿌린 대로 거두는 일? 1 2020.10.29 김하영 8620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7626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file 2020.10.29 유서연 7682
문재인 대통령, 유명희 지지 총력전 1 file 2020.10.28 명수지 7326
대선 전 마지막 TV 토론, 코로나19 대응 관련 주제로 팽팽히 맞선 트럼프-바이든 file 2020.10.27 박수영 7174
예방인가? 위협인가? file 2020.10.27 길현희 8248
인천국제공항 드론 사건 1 file 2020.10.26 이혁재 9457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1 file 2020.10.26 윤지영 7677
불법 신상 유포 웹사이트 발목 잡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file 2020.10.26 나영빈 10279
백신, 안전한가? 1 file 2020.10.22 홍채린 7717
내년 3월부터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 그 함의는 무엇인가? file 2020.10.22 정지후 8278
최종적 무죄 판결, 이재명 파기환송심 무죄 file 2020.10.21 전준표 11891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0336
다시 돌아보는 일본불매운동, 과연 성과는 어느 정도일까? 4 file 2020.10.16 정예람 14708
12월 13일 조두순 출소...청소년들의 공포감 6 file 2020.10.15 김지윤 10208
美 대통령 트럼프 코로나19 확진... "곧 돌아올 것" 2020.10.14 임이레 7134
불법이 난무하는 도로, 범인은 전동 킥보드? 1 2020.10.12 이삭 7645
아프리카 말리의 장기집권 대통령 무사 트라오레 사망... 향년 83세 2020.10.08 박재훈 7192
마스크의 생산량 추이와 전망 1 file 2020.10.05 김남주 10069
농산물이 일으킨 수출의 문 file 2020.10.05 김남주 8075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된 요즘...마스크 때문에 싸우는 나라가 있다? 1 2020.09.29 진예강 8929
코로나19, 동물도 피해 갈 수 없는 재앙 file 2020.09.28 최은영 7735
전 세계를 뒤흔든 코로나바이러스가 조작됐다? file 2020.09.28 방지현 8001
대낮에 주황빛 하늘? 미 서부를 강타한 최악의 산불 file 2020.09.28 김시온 8039
구글 클래스 접속 오류... 학생부터 교사까지 '일동 당황' file 2020.09.28 황수빈 11771
해양 쓰레기 증가, 바다도 아프다 2020.09.28 이수미 9219
독감백신 종이상자로 유통 file 2020.09.28 윤지영 7655
지구가 인간에게 날리는 마지막 경고인듯한 2020년, 해결방안은? file 2020.09.25 박경배 13300
미국 대법관이자 미국 여성 인권 운동의 상징인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별세 file 2020.09.25 임재한 9720
다가오는 추석,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file 2020.09.25 김민지 8657
8년 만의 일본 총리 교체, 한일관계 변화 올까? file 2020.09.25 김진성 10216
피해액만 200억 원! 필라델피아, L.A. 등의 한인 상점 약탈 file 2020.09.23 심승희 9895
중국 비상 코로나19에 이어 중국에서 브루셀라병 대규모 확진 file 2020.09.23 오경언 7882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1166
'아베 시즌 2', '외교 문외한'... 그래도 지지율 74% '자수성가 총리' file 2020.09.23 신하균 9058
트럼프의 대선 연기 주장, 반응은 싸늘? file 2020.09.22 임재한 8418
화재는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른다 1 file 2020.09.22 정주은 10630
코로나19의 한복판에 선 디즈니월드의 재개장 file 2020.09.21 염보라 11027
원자폭탄, 그 시작은 아인슈타인? 1 file 2020.09.21 서수민 189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