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하버드 교수의 ‘위안부’ 비하 발언

by 17기최연후기자 posted Mar 09, 2021 Views 869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미국의 명문대이자 전 세계적으로 명성이 자자한 하버드대학교의 법경제학과 교수인 존 마크 램지어 가 자신의 논문에서 일본군 '위안부'를 매춘부라 서술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반발한 여러 나라의 역사학자들은 램지어 교수의 논문을 비판하고 있다. 역사학자들은 램지어 교수가 매춘 계약서 등의 증거도 없이 주장을 하고 있으며, 심각한 역사왜곡을 하고 있다며 논문을 철회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램지어 교수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2년 동안 총 7개의 논문을 작성하였고, 이 논문들 또한 심한 역사왜곡을 하고 있어 더욱 충격을 안겨주었다. 미국의 한 역사학자는 역사적 증거를 모아야 하기 때문에 2년 동안 7개의 논문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였고, 7개의 논문 모두 역사를 왜곡한 것이 검증되었다. 


5F8C0AC2-56A3-4FB9-B2A2-191B4E2BE154.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7기 최연후기자]


램지어 교수가 하버드대학의 교수가 된 것에는 뒷배경이 있다. 지난 1970년도, 일본의 전범 기업 '미쓰비시'는 하버드대학의 큰돈을 지불하고 석좌 자리를 따내었다. 그 후 미쓰비시는 하버드대학에 100만 달러를 기부하였고, 1998년 정식 교수 자리로 승격되어 그 자리를 램지어 교수가 맡게 되었다. 이 내용을 보면 램지어 교수가 왜 그런 내용의 논문을 썼는지 짐작할 수 있다. 


중국의 외교부에서는 램지어 교수의 논문 철회를 요구하고 있고, 하버드 대학의 학생회에서도 램지어 교수를 비판하며 논문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일부 국가에서는 미쓰비시 불매 운동이 일어나는 등 여러 방면에서 램지어 교수를 규탄하고 있다. 궁지에 몰린 램지어 교수는 "내가 실수했다"라고 말하며 매춘 계약서가 없다며 실수를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7기 최연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806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662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0005
날개 꺾인 나비들의 몸부림, 그리고 두 국가의 외면 7 file 2016.02.25 최은지 16493
엑소 콘서트 티켓팅, 과한 열기로 사기 속출 19 file 2016.02.25 김민정 20568
간통죄 폐지 이후 1년, 달라진 것은? 8 file 2016.02.25 한서경 16505
日 첫 지카 바이러스 감염자 발생 6 2016.02.26 송채연 17757
국제유가 WTI 2.9% 상승, 그 원인과 영향 4 2016.02.26 송채연 21989
그야말로 혼용무도 삼권분립은 어디로? 6 file 2016.02.27 이민구 14656
고려대, 대학생들의 대자보가 시작되다 6 file 2016.02.27 황지연 18729
4차 민중총궐기, 서울광장에서 진행 5 file 2016.02.27 황지연 16451
[취재&인터뷰] 청소년, 정부에 시위로 맞서다. 16 file 2016.02.28 3기박준수기자 17084
닭 쫓던 개 신세 된 한국, 외교 실리 전혀 못 찾아 4 file 2016.02.28 이민구 14405
우리의 교과서에 '위안부'가 사라진다 18 2016.02.28 하지희 19315
스릴 넘치는 롤러코스터, 미국 대선 8 2016.02.29 송채연 33494
자유학기제, 과연 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제도일까? 7 file 2016.03.01 이유진 23169
혼용무도(昏庸無道)인 대한민국, 필리버스터는 왜 등장했는가? 2 file 2016.03.01 최지환 18545
"함께 손잡고 정의를 되찾자" 삼일절 맞아 서울서 한일합의 무효집회 열려 6 file 2016.03.02 박채원 17381
증가하는 1월 졸업식의 필요성 6 file 2016.03.06 3기윤종서기자 18457
박근혜 대통령, 제48회 국가조찬기도회 참석 3 file 2016.03.07 구성모 15801
서울대 치대, 전원등록포기? 4 2016.03.08 임은석 20065
총선 투표율, 이대로 안녕한가? 3 file 2016.03.12 고건 17351
일본 「억지 독도의 날」 주장 범국민 규탄결의대회, 포항에서 열리다! 3 file 2016.03.12 권주홍 17456
늘어나는 아동학대... 4년 새 2배 늘어 7 file 2016.03.13 남경민 23701
세기의 대결 이세돌과 알파고 2 file 2016.03.13 백승연 16118
콘서트 티켓 한 장이면 "100만원" 벌기는 식은 죽 먹기? 8 file 2016.03.13 이소연 21885
세기의 대결, 이세돌과 알파고(Alpa Go) 9 file 2016.03.13 서지민 18313
이세돌, 4국 백 불계로 대승... ... 하지만 대두되는 AI 윤리 관련문제 11 file 2016.03.13 박정호 18278
국경일 태극기 게양실태가 심각하다 5 file 2016.03.17 신수빈 25537
천안시, 선거구 획정안에 ‘게리맨더링’ 의혹 2 file 2016.03.17 이우철 18202
국가 안보와 개인정보 보호, 무엇이 우선인가 3 file 2016.03.18 박가영 16955
여성가족부, 제1기 중앙청소년참여위원회 출범 4 file 2016.03.18 장태화 18122
이집트 대통령 17년만에 방한 2 file 2016.03.18 이아로 16300
외국어 간판이 ‘갑’, 쫓겨난 한글 간판 8 file 2016.03.19 반나경 38090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8632
인공지능의 발전, 사회에 '득'일까 '독'일까 8 file 2016.03.19 김나연 22398
정부와 부산시는 당장 영화인들을 향한 횡포를 멈추십시오 2 file 2016.03.19 이강민 15331
알아야 할 권리와 잊혀야 할 권리 3 file 2016.03.19 김영경 16900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4840
화이트 데이 상술...소비계획 세워야 6 file 2016.03.20 이은아 19194
주민들의 불청객이 되버린 관광버스 4 file 2016.03.20 김관영 17669
독도를 위해 할 수 있는 일 3 file 2016.03.20 정아영 44942
대한민국에 다시 돌아온 바둑 열풍 7 file 2016.03.20 유지혜 17305
청년 실업률 사상 최고치 기록, 취업못한 56만명… 8 file 2016.03.20 김지윤 23234
1년에 단 1시간, 지구의 휴식시간 7 file 2016.03.20 전지우 17514
청소년들의 고카페인 음료 오남용 실태 8 2016.03.21 이현진 22834
화성에 원숭이를? 3 file 2016.03.22 백미정 24696
[이달의 세계인] 알파고의 아버지, 데미스 하사비스. 그는 누구인가? 12 file 2016.03.23 정가영 17515
가좌역 유치가 절실한 저희 목소리를 들어주세요 2 file 2016.03.24 정향민 19041
지하주차장 LED전등교체공사의 경제적 효과 2 file 2016.03.24 박건 23613
장애인의 권리, 이제는 함께 지켜줘야 할 때 1 file 2016.03.24 전예린 160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