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학생들이 지금 ‘공허한 메아리’를 듣고 있다고?

by 15기최유진기자 posted May 27, 2020 Views 833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우리가 자주 이용하는 지하철의 광고 음악이자, 인터넷 SNS상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던 서울 사이버 대학교의 CM! 재밌는 멜로디와 가사로 홍보 역할을 톡톡히 하며 얼마 전까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그때는 넘겨들었을지도 모르지만, 코로나19를 통한 사이버 원격수업이 극대화되면서 온라인 수업형식의 사이버 대학이 재조명받고 있다.

 

지난 3, 교육부는 학생들의 집단 코로나19의 발병을 막기 위해 개학 연기를 시행했고, 교육부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4월부터는 온라인 매체를 이용한 온라인 개학을 추진 및 시행했다. 이후 사이버 원격수업이 진행되면서 학생들과 학부모 등 기존에 전례가 없던 온라인 학습에 관한 관심이 쏟아지고, 원격 수업 문화가 수용되고 있는 만큼 교육체계의 작은 물보라가 일으켜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학생들에게 온라인 수업이 생소하게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2007년 일명,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PMP의 등장을 통한 인터넷 강의, 줄여서 인강의 보급을 통해 서울의 일타강사로 손꼽히던 사람도 교육 활동의 범위가 전국 단위로 확장되었고, 지금까지 많은 학생들에게 애용되고 있어, 이번 사이버 수업의 형태가 아예 익숙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하지만 영상강의 전문인 인터넷 강사가 아닌 오프라인 수업을 주로 이뤘던 학교 선생님들이 실시간 온라인 화상 수업을 하게 되면서, 수업에서의 쌍방 소통에 결핍이 생기고 있다. 교사는 학생들이 잘 듣고 있는지에 대해 알 턱이 없으니 수업에 대한 피드백이 부족해지고, 그만큼 교사가 더 많은 역량을 발휘하는 데 어려운 상황이 초래되어 마치 학생들에겐 공허한 메아리의 형태가 되어버렸다. 수업을 듣는 학생들 또한 오프라인 현장강의보다 덜 한 강제성과, 떨어지는 현장감 등으로 정직하지 못한 공부가 될뿐더러, 수업을 청취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IT 기기의 공급 부분부터 학생들의 교육적 수준 차이의 극대화 가능성 등 디지털 교육의 이면성 또한 언급되고 있다.

 

비록 의도치 않은 코로나19 사태였지만, 이번 사태를 통해 새로운 디지털 교육 수업에 한 발짝 더 다가가는 좋은 밑거름이 되었다. 이러한 수업의 형태가 처음인 만큼 아직 미흡한 부분 또한 존재한다. 그럼에도 이번 새로운 발걸음을 통해 앞으로의 21세기 IT 사회에서 개척될 학생들의 또 다른 교육 문화에 많은 관심이 더해진다


KakaoTalk_20200523_20152858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최유진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5기 최유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560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428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67484
방위비협상, 아직도 현재 진행 중 file 2020.04.27 윤영주 6845
2년 만에 한국 정상회담…성공적인가? file 2021.05.27 이승우 6841
[기자수첩] '검정 고무신' 작가의 죽음이 사회에 남긴 것 file 2023.04.12 김진원 6840
한 달 넘게 이어지는 투쟁, 대우조선 매각 철회 촉구 농성 file 2021.04.13 김성수 6835
경기도지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20대 대통령 후보로 확정 file 2021.10.15 고대현 6828
위협받는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의 인권 file 2021.09.03 이가빈 6821
가사근로자법안 발의, 환영의 목소리만 있을까 file 2021.05.31 하수민 6814
"학생증 들고 왔다면 돌아가세요"...학생증 신분증으로 인정 안 한 가수 1 file 2023.09.30 이종혁 6804
미얀마 쿠데타에 대한 우리나라의 입장 file 2021.05.24 이수현 6771
국민의힘 경선 투표율 50% 이상 달성, 역대 최고치로 전망 file 2021.11.04 이승열 6751
탈레반 정권 장악: 아프간 경제 파탄 위기 file 2021.09.24 황호영 6747
방글라데시 여객선 사고 26명 사망 2 file 2021.04.12 이정헌 6739
제2 벤처붐 분다 file 2022.03.15 류민성 6735
[기자수첩] 포토카드 수집 탓에...'미공포' 문화가 부른 환경위기 1 file 2023.12.09 이희원 6705
계속되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부동산 가격 떨어지나 2021.12.28 유지훈 6693
삼성은 반도체 패권을 가져갈 수 있을까? file 2021.05.26 이준호 6678
접종률 75% 넘는 일본, 백신 기피로부터 전환 성공하나? file 2021.11.25 안태연 6662
코로나19, 중국은 회복 중? file 2021.08.27 강민지 6636
2022년 차기 대선, 20대의 '보수화' file 2021.09.23 김준기 6625
文 대통령 "5.18의 마음이 민주주의가 되고, 코로나 극복 의지가 돼" file 2021.05.21 김현용 6623
이란, 이라크 이르빌 향해 미사일 공격 file 2022.03.16 권강준 6620
부동산 투기, 대한민국 거주 외국인에게도 일어나는 문제 file 2021.05.27 이수미 6616
아세안 정상 회의에서의 미얀마 군부 대표 참석을 반대하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시위대 file 2021.04.27 김민경 6612
정부, ‘위드 코로나’ “9월 말 이후 검토”... 일상 회복의 신호탄 될까 file 2021.08.23 김은수 6604
4.7 재보궐선거 승리한 야당... '혼돈의 정국' file 2021.04.26 오지원 6600
소수의 권력층에 의해 행해지는 전쟁, 그 참상에 대하여 file 2022.04.01 강도현 6594
코로나19 접종 시작 극복하기 위한 첫걸음 file 2021.03.02 오경언 6580
文 대통령, 3 ·1 기념식에서 ‘투트랙 기조, 한·일 관계 회복해야...’ file 2021.03.04 이승열 6563
트럼프 대통령, 중국을 향한 거침없는 비난 file 2020.06.09 김서원 6553
[기자수첩] '노키즈존'은 혐오 표현...아동 차별에 반대한다 file 2023.07.21 김하은 6515
[기자수첩] 미국에서는 실패했지만...한국에서 성공한 영화 '엘리멘탈' 2023.08.09 정세윤 6442
탕후루, 마라탕 유행에...청소년 건강은 적신호 file 2023.10.05 고민서 6425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산불 진화 현장 속 '숨은 영웅' 자원봉사자 활약 소개 file 2022.06.07 이지원 6418
강원도 스키 강사 초등생 성폭행 사건 발생 file 2022.02.07 오경언 6413
[기자수첩] 플라스틱 해양 오염, 해답은 무엇일까 file 2023.05.11 이래경 6350
중국인들 한국 부동산 매입 비율 62.5%...원인은? file 2021.08.26 성현수 6342
경찰, 경희대 국제캠 총학생회 '업무상 배임 혐의' 내사 착수 file 2023.05.16 디지털이슈팀 6334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수해 복구 대응 자원봉사 활동 지원 추진 file 2022.08.19 이지원 6329
문재인 대통령, 국가인권위원회 설립 20주년 기념식 축사 "정부정책 비판도 해야" file 2021.11.26 이지은 6295
국적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95% 중국인 적용 대상 file 2021.06.02 이승열 6246
눈물 흘리며 대회장 떠난 초등생들...부산시교육청 드론대회 '수상자 내정' 의혹 file 2023.11.07 김가빈 6242
송파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자해 행동 청소년과 부모를 위한 마음돌봄 안내서 제작·배포 file 2022.12.29 이지원 6241
[기자수첩] 매년 바뀌는 대입 입시제도...입시 준비생들은 한숨 file 2023.09.30 이주하 6237
코로나19 이후 일본과 한국의 관계 file 2021.11.25 이원희 6230
있지 류진, 튀르키예·시리아 성금 전달...“일상 복귀에 힘 되기를” file 2023.02.15 디지털이슈팀 6225
농정원, 코로나19 전후 명절 선물 트렌드 변화 분석 결과 발표 file 2022.08.31 이지원 6206
바이든 대통령과 첫 한미 정성회담 통화 file 2021.03.02 고은성 6194
더불어민주당의 위기… 난관 잘 헤쳐나가야 file 2021.05.10 김민석 61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