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내전의 시련 속에서 한줄기 희망 시라아 민간구조대 ‘한얀 헬멧’

by 4기노태인기자 posted Aug 24, 2016 Views 1437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160824_113512602.jpg


최근 공습으로 피해을 입은 시리아의 알레포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노태인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년째 계속된 내전으로 의료 등 공공서비스가 마비된 시리아에서 부상자를 구조하고 병원으로 옮기는 역할은 민간 봉사자들이 있다. ‘하얀 헬멧’(White Helmets)이라는 민간 구조대로 공습으로 아수라장이 된 시리아 곳곳에서는 흰색 헬멧을 쓴 구조대를 쉽게 볼 수 있다.

하얀 헬멧은 공습이 있으면 달아나는 것이 아니라 폭탄이 떨어지기를 기다려서 그 쪽으로 달려간다. 그리고 폭격으로 무너진 건물 안에서 갇혀 있는 사람을 찾아내고 부상자를 구조하고 시신을 수습하는 것이 하얀 헬멧의 일이다.

 최근 화제가 됐던 알레포 꼬마 '옴란'도 이 하얀 헬멧이 구조한 것이다. 피와 먼지로 범벅이 된 채 울지도 않고 멍하니 앉아있던 5살 옴란의 사진이 또다시 전 세계에 충격을 줬었다.. '하얀 헬멧'은 이 옴란 뿐 아니라 수많은 아이들을 구해냈다. 2년 전인 2014년 7월 시리아 알레포에서는 태어난 지 열흘 된 아기가 폭격으로 무너진 3층 건물 잔해에서 구조됐다. 12시간이 넘는 밤샘 구출 작업으로 구해낸 아기는 ‘기적의 아기’로 불리며 세계에 감동을 줬다. 구조 장면이 담긴 동영상은 시리아 내전의 참상을 알리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하얀 헬멧 대원 대부분 전쟁 전에는 인명구조를 해본 적 없는 평범한 시리아 사람들이었다. 저마다 직업을 가진 평범한 사람들이었다. 하얀 헬멧은 2013년에 스무명 남짓한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만들었는데 현재는 2900여명이 시리아 전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지금까지 6만여명을 구해냈고 올해 노벨평화상 후보로도 추천 되었다.

 지금까지 하얀헬멧 대원 130여명이 숨지고 400여명이 다친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들어 구조 현장에서 목숨을 잃는 하얀 헬멧 대원들이 급격히 늘고 있다. 시리아 정부군이 하얀 헬멧을 반군을 돕는 적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폭격 현장에 출동한 하얀 헬멧 대원들을 노리는 공격이 늘고 있다. 1차로 폭탄을 떨어뜨린 뒤 구조대원이 몰려들면 2차 폭탄을 떨어뜨리는 이른바 '더블 탭' 공격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얀 헬멧은 피해자를 구할 때 어느 편인가를 따지지 않는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노태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982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831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1765
코로나 확진자 느는데, 의료진 파업? file 2020.08.25 이지우 8446
코로나 자가격리 위반자에 대한 대응 file 2020.06.29 임지안 8244
코로나 이후 떠오르는 '언택트' 산업 2020.06.01 신지홍 8219
코로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생활 속 거리두기 함께 하기 file 2020.05.12 임효주 7724
코로나 시대.. 울고웃는 지역경제 file 2021.08.20 이성훈 7208
코로나 시대, 청소년에 대한 정부의 관심은? file 2021.04.27 이민준 10546
코로나 시대 1년, 일회용품 사용 증가로 환경오염 우려 커졌다 file 2021.01.26 이준영 13819
코로나 상황 속에서 등교 수업 1 file 2020.07.13 손혜빈 9347
코로나 사태로 인한 총선 판도의 변화 2020.04.13 김경민 9233
코로나 사태 탄소배출권 가격 안정화의 필요성 2021.02.10 김률희 9730
코로나 백신, 그에 대한 국내외 상황은? file 2021.05.18 마혜원 8063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7693
커피 값으로 스마트폰을 사다?! 11 file 2016.02.20 목예랑 19890
커지는 소년법 폐지 여론..‘소년법 개정’으로 이어지나 9 file 2017.09.07 디지털이슈팀 13505
캐나다, '기호용 대마초 합법화' 발표 2018.10.23 정혜연 9559
카페 안에서 더 이상 일회용컵 사용 불가?, 환경부의 단속! 1 file 2018.10.08 김세령 10361
카타르, 고립되다? file 2019.03.18 이솔 9336
카카오톡 대화 삭제 기능, 득일가 실일까 3 2019.01.31 이현림 14953
카카오뱅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불러올 파급효과 file 2017.08.31 김진모 10303
카카오 O2O 서비스, 일상에 침투하다 3 file 2016.07.24 권용욱 21977
카슈끄지 사건의 후폭풍 file 2018.11.14 조제원 9980
카멀라 해리스, 美 최초의 여성 부통령으로 당선 2 file 2020.11.09 임이레 8906
카드사의 3개월, 5개월... 할부 거래의 시작은 재봉틀부터? file 2019.04.16 김도현 15583
칭다오 세기공원의 한글 사용 실태 file 2019.08.02 유채린 14105
친환경포장기술시험연구원, 제품 포장재질 및 과대포장 검사 전문기관으로 지정 file 2022.08.22 이지원 5836
치열했던 선거 경쟁, 이후 후보들의 행적은? 2 file 2017.05.25 정유림 9713
치솟는 부동산 가격, 9.13 부동산 대책으로 잡나? file 2018.09.18 허재영 9332
치사율 100% '아프리카돼지열병' file 2019.06.07 이지수 10647
치명률 30% 메르스 우리가 예방할 수 있을까? 1 file 2018.09.28 박효민 9219
충격적인 살충제 계란, 이에 대해 방념한 정부의 대처 1 file 2017.08.25 이어진 10583
춘천에서의 맞불집회..김진태 태극기집회 vs 김제동 촛불집회 3 file 2017.02.22 박민선 29260
축구계 더럽히는 인종차별, 이제는 사라져야 할 때 1 file 2018.10.16 이준영 12067
추위 속 진행되는 ‘촛불집회’, 국민들의 한마음으로 추위를 이겨내다… 15 file 2017.01.14 이윤지 23423
추운 겨울, 계속 되는 수요 집회 3 file 2017.02.04 오지은 18071
추석 연휴 마지막 날도 진행된 제1354차 수요시위 file 2018.09.28 유지원 15564
최종적 무죄 판결, 이재명 파기환송심 무죄 file 2020.10.21 전준표 11921
최저임금, 청소년들은 잘 받고 있을까? 2 2018.09.17 박세은 10524
최저임금, 정말로 고용에 부정적 효과를 미칠까? file 2020.08.18 이민기 10587
최저임금, 어떻게 생각하나요? 2 file 2018.06.08 노시현 19000
최저임금 차등화, 불붙은 논쟁 1 file 2018.03.26 조현아 12062
최저임금 인상의 문제점 2 file 2018.05.14 유근영 22779
최저임금 인상과 자영업자... 그리고 사회적 공약 file 2021.07.15 변주민 9732
최저임금 인상, 양측의 입장 1 file 2017.12.11 원혜랑 11561
최저임금 상승,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을까 1 file 2017.07.25 이가현 13875
최저임금 8350원, 그 숫자의 영향력 4 file 2018.07.19 박예림 10253
최저시급 , 고등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1 2020.08.21 이가빈 9468
최악의 폭염, 얼마 남지 않은 골든타임 1 file 2019.01.29 김사랑 9204
최순실의 특검 자진 출석..의도는? file 2017.02.13 박민선 210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