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이종 간 이식 성공, '이종장기이식' 괜찮을까

by 15기윤소영기자A posted May 12, 2020 Views 837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이식은 신체의 세포, 조직, 장기 등이 손상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때에 이를 대체하기 위해 실시된다. 일반적으로 장기이식은 같은 종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나,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이식용 장기가 부족하여 수술이 필요한 환자들이 수술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장기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대안 중 이종 장기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RLTK.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윤소영기자]


이종장기이식이란, 세포, 조직, 기관 등 생명 활동에 필요한 부분을 한 종에게서 다른 종으로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이종장기이식은 동물의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할 수도 있지만, 같은 동물 내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충북대학교 수의대 최석화 교수와 부산 롯데 동물병원 이태기 원장 연구팀은 20192, 돼지 호흡기도 조직을 개에 적용하는 이종 간 이식 연구 결과를 내놨다. 연구진은 국내 사육 돼지의 기도 조직을 개의 기도에 이종 간 이식을 하는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시도된 바 없었다.”면역 거부반응을 최소화해 이종 간 기도 이식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종 간 장기이식에 대한 연구는 오랜 시간 동안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전진하지 못했다. 그중 가장 큰 이유는 면역거부반응때문이다. 이종 간 장기 이식이 이루어질 경우, 동종 간 장기이식보다 훨씬 강한 면역거부반응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면역거부반응을 낮추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로 최근 우리나라의 연구진이 준비하고 있는 이종이식 임상시험 계획안이 국제 전문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면서 이종 간 장기이식은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연구진은 법적, 제도적 뒷받침이 신속히 마련된다면 당뇨병 환자 2명을 대상으로 돼지 췌도 이식 수술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종 간 장기이식이 성공한다면 불치병, 난치병의 정복에 획기적인 도약이 될 뿐만 아니라 장기 부족 문제를 해결할 현실적인 대안이 되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5기 윤소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5129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2071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33995
2018학년도 수능 연기, 땅이 준 기회의 7일. 2 file 2017.11.17 임하은 13050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file 2021.03.03 이채령 7367
2020년 팬데믹에 빠진 지구촌 7대 뉴스 file 2021.01.25 심승희 8530
2021년 '중국' 수입제품 세율 변화 file 2021.03.02 김범준 7829
2021년 최저임금 130원 인상된 8,720원 결정…역대 최저 인상률, 그 이유는? 1 file 2020.07.24 이민기 11430
2022 부산도시재생박람회 연기 및 축소 개최 file 2022.11.04 이지원 4804
2022년 대선, 국민의힘에선 누가 대선주자가 될까? file 2021.09.30 이승열 6931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차 정기 심포지엄 개최 file 2022.08.19 이지원 4686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토론회 개최 file 2022.08.25 이지원 4805
2022년 차기 대선, 20대의 '보수화' file 2021.09.23 김준기 6304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➊ 2 file 2018.02.07 김진 10376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➋ 2 file 2018.02.07 김진 9907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8190
20대 국회의원 선거, 새로운 정치바람이 불다 2 file 2016.04.16 황지연 15760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5833
20만이 외친다! 박근혜는 하야하라 4 file 2016.11.06 박채원 16466
21대 총선에서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첫 시도, 결과는? file 2020.05.07 장민서 8322
25일 코로나 확진자 현황 file 2021.05.27 박정은 7530
27년 만에 깨어난 사람도 있다! 안락사는 허용되어야 할까? file 2019.05.27 배연비 23677
2년 만에 한국 정상회담…성공적인가? file 2021.05.27 이승우 6516
2년만에 진행된 남북 고위급 회담 file 2018.01.12 정성욱 9488
2살 아들 살해한 20대 父...늘어가는 아동학대 1 file 2017.02.24 조유림 14778
2월 14일, 달콤함 뒤에 숨겨진 우리 역사 16 file 2017.02.14 안옥주 16013
2월 14일, 밸런타인데이에 가려진 슬픈 역사 20 file 2016.02.14 김혜린 17916
2월 탄핵 불가능에 촛불이 다시 타오르다! file 2017.02.17 조성모 14084
2주 남은 국민의힘 2차 컷오프 경선, 최후의 4인은 누구 file 2021.09.27 윤성현 9555
2차 북미정상회담, 평화를 위한 발걸음 file 2019.03.04 김주혁 8345
3.11 이것이 촛불의 첫 결실입니다 2 file 2017.03.18 김현재 9747
3.1운동 100주년, 배경과 전개 양상 및 영향을 알아보자 file 2019.04.01 맹호 11923
30년 만에 발의되는 개헌안, 새로운 헌법으로 국민의 새로운 삶이 펼쳐진다. 2 file 2018.03.27 김은서 11455
32번째를 맞이하는 2020년 도쿄 올림픽, 과연 예정대로 열릴 수 있을까? 6 file 2020.02.28 장민우 13986
365일 우리와 함께 하는 화학물질 file 2020.05.06 이유정 7142
3년동안 끝나지 못한 비극 1 2017.09.28 윤난아 10578
3대 권력기관 개혁, 경찰 수사권 독립이란? 2018.01.23 김세정 14252
3월 9일 부분일식 관찰 2 file 2016.03.25 문채하 16139
3월 9일부터 실시된 마스크 5부제의 현재 상황은? file 2020.03.27 박가은 7339
3월, 어느 봄날의 노래 file 2017.03.25 박승연 9616
3주째 지속되는 미국 캘리포니아 토마스 산불, 그 사태의 현장은? file 2017.12.22 이수연 11929
3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file 2020.11.27 김성규 22329
4.13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과제 1 file 2016.04.25 강예린 16355
4.13 총선! 야당은 분열 여당은 균열 1 file 2016.04.09 최다혜 16521
4.3 민중의 아픔 속으로 1 file 2018.04.06 오수환 10825
4.7 보궐선거 이후 범야권의 반응은? file 2021.04.19 최원용 7078
4.7 보궐선거가 보여준 민심 file 2021.04.20 서호영 6908
4.7 보궐선거의 결과 그리고 그 이후의 행보 file 2021.04.26 백정훈 101035
4.7 재보궐선거 승리한 야당... '혼돈의 정국' file 2021.04.26 오지원 6258
40년 전 그땐 웃고 있었지만…국정농단의 주역들 구치소에서 만나다 file 2018.03.30 민솔 9760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18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