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통제된 화재'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by 13기권민서기자 posted Jan 22, 2020 Views 876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주석 2020-01-20 170802.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3기 권민서기자]


호주가 올해 화재와의 전례 없는 싸움을 하면서,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소위 '통제된 화재'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통제된 화재(controlled burning)란, 통제된 조건에서 고의로 화재를 시작하여 낮은 수준의 가연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처방된 연소'라고도 불린다. 이 개념은 산불이 났을 때, 산불이 확장되기 전에 땔감이 될 만한 것을 먼저 태움으로써 산불이 넓은 지역으로 퍼지는 것을 막는 '맞불(back fire)'과는 다른 개념이다.


통제된 화재가 효과가 있을까? 적절하게 쓰인다면, 통제된 화재는 산불의 확산을 제한하고 불길을 잡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산불의 전문가인 스완시아대학교의 스테판 도에르 교수는 호주가 겪기 시작한 극심한 이상기후 때문에 통제된 화재가 이전보다 덜 효율적이라며 통제된 화재는 지난 몇 년 동안 효과를 냈지만, 지금같이 극심하게 가문 날씨에도 그 효과를 낼지 의문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호주에서 최근 발생한 화재는 산림의 꼭대기 혹은 윗부분에 퍼져있기 때문에 지면에서의 화재의 성장을 제거해도 큰 차이가 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번 산불이 너무 강렬하고 뜨겁기 때문에 이미 타버린 지역들도 충분히 태울 수 있고, 불씨가 공기를 통과하여 불을 멀리 발사할 수 있다. ABC 뉴스의 조사는 "퀸즐랜드와 뉴사우스웨일스는 통제된 화재의 효과를 봤지만, 다른 곳에서는 기상 조건 때문에 효과를 보지 못했다"라고 밝혔다. 통제된 화재는 더 온도가 낮고, 습하고, 풍속이 느린 곳에서 해야만 불이 통제를 잃는 것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18년에서 2019년의 NSW(뉴사우스웨일스) 지역 화재 서비스 보고서는 비록 그들이 공원이나 숲에서는 화재 위험성이 있는 것들을 해결했지만, 지역 정부 땅이나 사유지 등 다른 지역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고 말했다. 뉴사우스웨일스의 지역 화재 서비스는 연장되고 있는 건조한 날씨는 완벽한 화재 위험 제거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라고 말했다.


현재 호주에서는 녹색당과 몇몇 다른 정당들 사이에서 통제된 화재에 대한 논쟁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3기 권민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920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770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1190
지진 교육 이대로 괜찮은가, 지진 교육의 충격적인 민낯 3 file 2018.03.12 한유성 13511
지진, 과연 우리는 안전할까? 4 file 2017.02.18 김재훈 17906
지진여파로 수능시험 11월 23일 일주일 연기 1 file 2017.11.22 김도연 11406
지카 바이러스 확산 대응 방법은? 2 file 2016.03.25 노태인 16608
지카 바이러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7 file 2016.02.12 오시연 22176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012
지하주차장 LED전등교체공사의 경제적 효과 2 file 2016.03.24 박건 23629
직능연 "마이스터고 졸업생, 수도권 쏠림 현상 강해져" file 2023.01.18 디지털이슈팀 5593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효과가 있었나 file 2021.03.02 이효윤 7300
직장 내 여성 왕따, 어디서 부터 잘못된 것일까 3 file 2018.05.25 하예원 10326
진선미 의원표 성평등정책, 해외서도 통했다..'미 국무부 IVLP 80인 선정' 화제 file 2020.12.21 디지털이슈팀 8241
진실을 숨기는 학교와 언론사···그 내막을 밝히다. 7 file 2017.02.11 서상겸 53278
진정되어가는 마스크 대란, 전 세계의 상황은? 5 file 2020.04.06 유지은 14898
진짜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 2 file 2017.02.24 이소미 19192
질긴 고기 같은, 아동 학대 2 2021.02.15 이수미 11890
짐바브웨에서 쿠데타가 일어나다 file 2017.11.22 박형근 14249
집주인의 거주권 VS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file 2021.03.30 조혜민 7445
집중호우의 다른 이름 ‘기후변화’ file 2020.08.31 최지원 7897
짧아서 행복했던 숏.확.행 틱톡의 이면 file 2020.08.24 정유리 8863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7674
차세대 교육 대통령은 누구? 대선 후보들의 교육 공약을 알아보자 10 file 2017.02.25 조민 17479
차세대 정치 VS 구세대 정치 '65세 정년 도입' 발언 6 2017.01.23 김가은 16997
차이나 리스크, 홍색 규제에 대한 나비효과 file 2021.08.02 한형준 8107
차이나머니가 삼키는 제주도, 이대로 괜찮은가 1 2016.05.24 이소민 14931
착취 당한 수많은 여성들과 26만 명의 남자들 "텔레그램 n번방" 12 file 2020.03.24 김예정 13985
참여의 결과. 기쁘지만 부끄러운 우리의 역사. file 2017.03.19 김유진 10328
참정권 없는 청소년, 또 한 번의 권리개혁 이루어질까 1 file 2017.05.25 최유진 14953
창립 50주년 기념 제182차 KEDI 교육정책포럼 개최 file 2022.06.14 이지원 5326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7651
챌린저들의 챌린지 1 file 2016.04.18 김은아 16953
천안시, 선거구 획정안에 ‘게리맨더링’ 의혹 2 file 2016.03.17 이우철 18220
천안함 음모론, 그것은 억지 2 2021.03.22 하상현 11857
철원 자주포 사고, 2년 전과 똑같은 비극이 반복되다. 2 file 2017.09.05 권민주 12164
첫 mRNA 백신 등장, 아나필락시스의 원인은 PEG일까? file 2021.05.03 차은혜 9025
첫 코로나 백신, 앞으로의 문제는? 2020.08.24 이채영 8166
청년 실업률 사상 최고치 기록, 취업못한 56만명… 8 file 2016.03.20 김지윤 23258
청년 실업정부의 대책, 청년구직활동지원금 file 2019.03.26 권나연 11669
청년 인재들을 위한 사회 변화 실험터 ‘SUNNY’, 사회 문제 분석 보고서 발표 file 2022.05.23 이지원 6059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7535
청년세대 10명 중 6명 "원하는 직장 찾을 때까지 취업 N수할 것" file 2023.04.19 디지털이슈팀 5445
청년실업률 40%시대, 청년들의 디딤돌 '서울시 뉴딜일자리사업' 1 file 2017.01.23 김지수 19244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해소 위한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 개최 file 2022.06.13 이지원 5964
청소년 보호법 폐지, 그리고 청소년 3 file 2017.09.25 이다은 13135
청소년 봉사활동, 그 논란의 중점에 서다 3 file 2016.08.21 조혜온 18093
청소년 불법 사이버 도박 2 file 2019.05.31 박지예 10266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폐해 2020.05.25 이수미 8875
청소년 아르바이트, 보호 vs 인정 2 file 2019.01.22 박서현 16007
청소년 언어문제 , 욕설문제 해결이 우선 file 2014.07.27 이동우 529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