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비어있는 임산부 배려석 찾기가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by 4기박유진기자 posted Feb 25, 2017 Views 2205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487729738642.jpeg[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박유진기자]

 

지난 2013년 서울시에서부터 도입해 확산된 지하철 임산부 배려석, 겉으로 티가 나지 않는 초기 임산부들을 위해 관련 공공 기관 등에서 가방고리 등을 지급했다. 그러나 효과가 미미하자 스티커만 붙여놨던 좌석을 '핑크 카펫'으로 변화시켰다. 과연 사람들의 태도는 변화했을까?

실상은 그렇지 않다. 꽉 찬 만원 지하철 안, 한 남성이 임산부 배려석에 앉는다. 뒤이어 한 학생이 임산부 배려석에 앉는다. 객차 한 칸당 좌석이 대략 54개라고 고려했을 때, 노약자석을 제외한 일반 좌석 42개 중 임산부 배려 석은 단 두 자리뿐이다. 임산부 배려석이 일반 좌석의 5%도 차지하지 못하는 낮은 비율임에도 불구하고, 임산부들은 '노인석'이라고도 불리는 노약자석에서, 일반 좌석에서, 심지어 임산부 배려석에서 마저도 배려 받지 못하고 외면받는 현실이다.

 '임산부가 왔을 때 비켜주면 되는 거 아니냐.'라고 말하지만, 임산부가 지하철에 탑승했을 때 자리를 양보해주는 승객은 소수일뿐더러, 잠자는 척, 휴대폰 하는 척을 하며 자리를 비켜주기 않기 위해 애를 쓴다. 또 노약자석에 앉아있는 임산부에게 한 노인이 자리를 비키라며 성을 내 마지못해 자리를 비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뿐만이 아니다. 배가 나온 임산부를 보고도 임산부 배려석에 앉아 나 몰라라 하고, 일반 좌석에선 양보 받기 힘들어 서서 가야만 하는 상황을 겪은 임산부들이 많다.

사람들은 육안 상으로 배가 나온 사람을 임산부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초기 임산부들은 더욱더 배려 받기 힘들다. 이에 임산부들은 티가 나지 않는다는 이유로 임산부 배려석에 앉기도, 양보를 바라기도 힘든 상황이다.

이에 지난해, 부산시에서는 핑크 라이트 캠페인을 기획했다. 핑크 라이트 캠페인은 핑크 라이트 펜던트(무선 신호기)를 소지한 임산부가 대중교통에 탑승 후 임산부 배려석으로 이동하면, 임산부 배려석에 설치된 핑크 라이트가 신호를 감지해 반짝이게 된다. 이때 임산부 배려석에 앉아있던 승객이 핑크 라이트를 보고 좌석을 양보하는 시스템이다. 지난해는 부산-김해 경전철에 시범운영을 했고 이어 올해는 부산도시철도 3호선에서 실시하기로 했다. 올해에는 핑크 라이트가 더 많이 설치되고 운영되어, 더 많은 임산부들이 눈치 보지 않고 대중교통을 이용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박유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최혜린기자 2017.02.25 22:22
    기사 잘 읽었습니다!^^ 앞으로 임산부들을 더 배려할수 있는 정책이 많이 시행됬으면 좋겠습니다.
  • ?
    4기정혜교기자 2017.02.25 22:58
    기사 잘 읽었습니다. 임산부들을 위한 석인데 오히려 배려받지 못하고 타박받는 상황이라니..암담합니다. 언젠가는 배려심 깊은 지하철 석 이라는 주제로 글을 쓰는 날이 오길 희망할 뿐입니다. ;-;
  • ?
    4기변유빈기자 2017.02.27 23:50
    좋은 취지로 만들어진 임산부 석인데 원래의 목적대로 이용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앞으로는 저 좌석이 정말 임산부만을 위한 좌석이 되었으면 좋겠네요ㅜ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6기박우빈기자 2017.02.28 03:50
    핑크 라이트 제도는 처음 듣는 제도네요. 지하철에는 여러 승객들이 있습니다. 노약자석이라면 당연히 노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것이 맞지요. 하지만 나이를 무기 삼아 다른 사람에게 성을 내는 것은 문화시민으로서의 자세가 아닌 것 같습니다. 양보와 대화를 통해 풀어나가야지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유희은기자 2017.03.01 01:29
    초기 임산부들이 임산부석에 앉거나 배려를 요청하면 도리어 성을 내는 상황도 종종 발생하죠. 시민의식이 성장하고, 서로서로 배려하는 문화가 빨리 자리잡혔으면 좋겠네요. ㅠㅠ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사회부정지윤기자 2017.03.01 22:43
    교통약자를 배려하는 대중교통 문화가 자리잡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서로 배려하고 이해하는 사고방식이 빨리 정착되었으면 좋겠네요ㅠㅠ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816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672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0114
전례없는 사상 최대 규모의 언론 폭로, 파나마 페이퍼스(Panama Papers) 사건 4 file 2017.01.30 이소영 14762
전북 전주 고준희 양 실종 한 달째····경찰 수사 역경에 처해 3 file 2017.12.20 허기범 14195
전세계가 랜섬웨어에게 공격당하고 있다. 2017.07.24 최민영 9101
전세계의 관심을 받은 그의 경제 정책 2 file 2017.06.08 이종은 10744
전세계의 마트와 가게 텅텅...우리나라는? 1 file 2020.05.04 허예지 8474
전술핵 재배치, 당신의 생각은? file 2017.10.13 윤정민 11790
전안법, 그것이 알고싶다. file 2017.02.27 박아영 15523
전자파의 엄청난 영향 file 2019.06.25 오윤주 12423
전쟁의 변화 속 고찰 2 file 2020.01.16 최준우 9024
전통시장의 몰락,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7.02.24 황은성 15096
절대 침몰하지 않을 그날의 진실 5 file 2017.03.15 조아연 13636
젊은 층이 관심을 두는 투자, 비트코인은 건강한 투자인가? file 2021.03.30 조민서 9226
점보기의 몰락 file 2020.08.21 이혁재 9797
점점 더 극심해지고 있는 사회 양극화 현상 3 file 2019.05.07 송수진 13594
점점 불편해지는 교복, 이대로 괜찮을까? 5 file 2019.02.07 고유진 24924
점점 사라져가는 생물들...생물 다양성을 보전하자! 1 2020.02.13 윤혜림 14234
점점 삭막해져가는 이웃들 file 2016.06.05 박채운 17345
점점 잊혀져가는 세월호, 광화문에서 마주한 현실 2017.11.28 고은빈 10024
점점 폭력적으로 변해가는 태극기 집회 6 file 2017.02.20 송선근 14315
점점 활기를 잃어가는 기본소득제에 대한 논의, 재논의가 필요한 시점 2017.11.30 신유진 10803
점진적인 경제활동 재개에 나선 프랑스 file 2021.05.10 김소미 7951
점차 진화하는 불법 촬영, 적극적인 대책 시급해 1 file 2019.03.11 안서경 12708
접종률 75% 넘는 일본, 백신 기피로부터 전환 성공하나? file 2021.11.25 안태연 6699
정규직과 비정규직에 대해서 file 2019.07.02 송수진 12543
정당방위 적용 범위 개선되어야 file 2016.08.25 조해원 18062
정말 물가는 내렸을까? 우리가 몰랐던 비밀 file 2019.03.04 김의성 17588
정말 물가는 월급 빼고 다 상승하는 것일까? 1 file 2019.06.03 송수진 9682
정보 사회 도래에 따른 성공적인 산업 및 기업의 변화 file 2018.10.15 서지환 9978
정보화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 2017.11.13 신수현 30829
정부 '위드 코로나' 본격 검토 2021.09.14 안서연 11433
정부 VS 시민단체 "노동자상은 어디에?" 2 file 2018.05.25 서고은 9399
정부, 2022 신년 특별사면 단행… 박근혜 전 대통령 포함 3,094명 대상 file 2022.01.07 이지은 28086
정부, ‘위드 코로나’ “9월 말 이후 검토”... 일상 회복의 신호탄 될까 file 2021.08.23 김은수 6627
정부, ‘중국인 입국 금지'에 대한 견해를 밝히다 file 2020.03.02 전아린 8095
정부가 만든 AI사태 2 file 2017.02.16 박현지 12587
정부기관 사칭하는 ‘한국청소년역사진흥원’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7.09.04 디지털이슈팀 14349
정부세종청사 통근버스, 줄줄 새는 혈세 7 file 2016.02.24 정현호 19695
정부와 부산시는 당장 영화인들을 향한 횡포를 멈추십시오 2 file 2016.03.19 이강민 15331
정부의 단호한 '8*2부동산 대책'을 둘러싼 우려 1 file 2017.09.27 고다정 9953
정부의 부동산 시장 규제 대책과 토지공개념 도입 file 2018.03.30 신유진 10783
정세균 총리, '코로나 대규모 확산의 길에 서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 1 file 2020.11.23 명수지 7593
정시 확대, 조국이 쏘아올린 작은 공 2019.11.11 정혜원 9696
정의당 원내대표 故 노회찬 국회의원 영결식 국회장으로 엄수 7 file 2018.07.31 허기범 11130
정의당, 앞으로의 미래는? 2021.02.23 김성규 18955
정의연은 과연 누구를 위한 단체인가? file 2020.06.23 이예빈 9007
정점을 향해 가는 사드 보복, 그 결말은? 1 file 2017.03.26 정지운 10295
정치에 참여할 수 없는 사람들 1 2017.02.16 김유진 12922
정치인에게 책이란? 4 file 2017.02.23 강민 144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