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은여울 역사동아리, 서대문형무소에 가다

by 2기이세령기자 posted May 24, 2015 Views 2887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은여울중학교에 있는 역사 동아리 학생들이 서대문형무소에 다녀왔다.

2015-05-24 01;28;50.PNG

* 은여울 역사 동아리 이름/ herstroy


은여울중 역사동아리 학생들이 지난 5월 23일 서대문 형무소에 다녀왔다고 합니다.

학생들이 직접 만든 동아리이므로 의미가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동아리 활동 중에 교외 활동을 해야하므로 서대문형무소를 답사하러 다녀왔다고 합니다.

 '어떻게 해서 서대문 형무소에 오게 되었습니까?'라는 질문을 하자

동아리 학생들은 '저희 역사 탐방 주제가 동남아시아의 역사이면서 위안부 할머니들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일본과 우리 나라의 이야기를 더 알아보고 싶어서 서대문 형무소에 왔다'고 말했다.


20150523_135207-1.jpg20150523_132358-1.jpg

*양쪽 벽면에 있는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되었던 사람들의 사진을 보고 있는 학생의 사진, 여옥사 소개 사진


역사 동아리 학생들은 서대문형무소에 있는 유관순 등 여성독립운동가들을 수감하였던 감옥을 가보았고 일제 강점기 보안과청사의 지하 취조실이였던 지하고문실에도 가보았고 옥사 전체를 감시하고 통제하였던 1920년대 건물의 원형인 중앙사에도 가보았다. 학생들은 먼저 여옥사에 들어가서 유관순이 있었던 감옥 방을 보고 임신했던 수감자들의 이야기도 들었다. 학생들은 서대문형무소에서 일어났던 이야기를 듣고 보면서 '너무 미안한 마음이 든다'고 말했다. 그리고 학생들이 일제가 독립운동가를사형시킨 후, 외부에 그 사실을 은폐하고자 시신을 바깥으로 몰래 반출하기 위해 뚫어 놓았던 비밀통로인 시구문을 보고 말문이 막혔다고 했습니다. 학생들은 '400m 정도였던 시구문의 길이가 40m 밖에 복원이 되지 못했지만 독립 운동가들의 슬픈 외침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20150523_135905-2.jpg20150523_135702.jpg

*손톱찌르기 고문을 했던 곳을 복원한 곳의 사진, 물뿌리기 고문을 하는 모습을 재연한 모습의 사진


학생들은 지하 고문실에 가서 여러가지 모형을 봤다. 한쪽에는 독립운동가 분들의 인터뷰 영상을 볼수 있는 자리가 마련이 되있어서 학생들은 영상을 보고 소감을 말했다. '여성 독립운동가 분들이 사람을 거꾸로 매달아 놓고 물을 먹이는 것은 고문도 아니라고 하는게 아직도 기억이 난다. 여자의 자궁에 쇠 막대를 넣고 돌려서 아기를 못가지게 했다는 그 말이 너무 충격이었다'고 말했다.

그리고 물뿌리기 고문을 하는 모습을 재연한 것을 설명해주는 글을 보고 또 한번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왜냐하면 폐에 물이 차서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고 나와 있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독립운동가분들이 자신의 목숨을 내놓고 독립 운동을 했는지 정말 존경스럽다. 그릭고 앞으로는 이렇게 인간에게 이런 무자비한 일이 일어나서는 안된다'고 말을 전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기 사회부 이세령>

tpfuddl7495@naver.com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2기박송이기자 2015.05.25 12:51
    일본이 우리나라 독립운동가분들에게 어떤 끔찍한 만행을 저질렀는지 똑똑히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슬픈 역사를 절대로 잊어서는 안 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692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553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68831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 그룹홈 아동 원가족복귀 지원 사업 완료 file 2022.08.25 이지원 5132
한국사 국정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에도 결국.. 2 file 2017.02.21 이주은 17676
한국문학의 거장, 최인훈 떠나다 file 2018.07.25 황수환 9686
한국목재재활용협회, 오염된 폐목재의 무분별한 중고거래 대책 마련 촉구 file 2022.09.13 이지원 5727
한국디스펜서리 주관 ‘2022 식약용 대마 분석·보안 컨퍼런스’ 12월 23일 개최 file 2022.12.16 이지원 5460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7319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5849
한국, 소비자신뢰지수 22년만에 최고.."1995년 이후 최고 수준" file 2017.08.22 디지털이슈팀 10391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8363
한국, 디지털화 수준 60개국 중 7위…"성장성은 49위에 그쳐"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0373
한국 해군의 경항모에 제기된 의문들과 문제점 file 2021.02.22 하상현 11577
한국 최초 기관단총 K1A 2020.05.27 이영민 12206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4755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1150
한국 드디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하나? 김빛내리 교수와 코로나19 바이러스 file 2020.04.24 윤혜림 14230
한국 남성, 일본 여성 폭행... 과연 반일감정? 1 file 2019.09.26 김지은 9532
한국 관광업의 미래, 관광데이터분석가 file 2018.11.05 이승철 11082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0324
한결 나아진 무더위, 안심할 수 있을까? file 2018.08.22 안혜민 10293
한겨레교육, 꼭 알아야 하는 글쓰기 교육 11월 개강 file 2022.11.01 이지원 12782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 관계 개선될까? file 2017.10.20 박현규 10686
한·중 수교 25주년, 사드에 한중관계 흔들 file 2017.09.01 한결희 9945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7412
한 여성의 죽음, 그리고 갈라진 여성과 남성 3 file 2016.05.22 김미래 16411
한 여성의 억울한 죽음, 그리고 그 이후의 논란 5 file 2016.05.24 유지혜 20371
한 사람에게 평생의 상처를 남긴 수완지구 집단폭행 사건 3 file 2018.05.25 박한영 14070
한 달이라는 시간을 겪은 카카오뱅크, 인기의 이유는 무엇인가 1 file 2017.10.31 오유림 13455
한 달 넘게 이어지는 투쟁, 대우조선 매각 철회 촉구 농성 file 2021.04.13 김성수 6860
학폭위 이대로 당하고 있어야만 하나? 1 2019.01.29 김아랑 12058
학용품 사용...좀 더 신중하게 3 file 2016.05.23 이은아 22387
학생참여가 가능한 캐나다 선거 Student Vote Day file 2019.12.30 이소민 11282
학생인권침해에 나타난 학생인권조례, 우려의 목소리 file 2018.07.23 정하현 14470
학생이 스스로 쓰는 '셀프(self)생기부', 얼마나 믿을 만 한가? 7 2017.07.30 서은유 32726
학생의 안전을 위협하는 골프장 건설 4 file 2015.03.17 김다정 28901
학생의 눈높이로 학생 비행 바라보다! "청소년 참여 법정" file 2017.10.30 서시연 11560
학생들이 지금 ‘공허한 메아리’를 듣고 있다고? file 2020.05.27 최유진 8360
학생들이 '직접' 진행하는 어린이날 행사열려 3 file 2015.05.05 박성은 29659
학생들의 시선에서 본 2018 남북정상회담 2 file 2018.05.28 박문정 10461
학생들의 선택할 권리 file 2016.07.24 이민정 15597
학생들의 건강, 안녕하십니까 2 file 2016.07.23 김다현 16214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3217
학생들을 위한 교육시스템이 정착되길 바라며... 2 2015.02.08 홍다혜 24299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2636
학생 안전의 대가는 交通混雜(교통혼잡) 1 file 2016.04.20 한종현 16295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19419
학기중? 방학? 학생들의 말못할 한탄 18 file 2017.02.15 김서영 16075
학교폭력, 우리가 다시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 file 2021.03.26 김초원 8194
학교폭력, 교육의 문제다 3 2018.06.07 주아현 103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