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우리'에서 제외된 우리들" 용기와 시: 유동성 시대의 난민과 예술

by 9기장민주기자 posted Jan 04, 2019 Views 2112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2월 29일, 성남아트센터에서 '용기와 시: 유동성 시대의 난민과 예술'이란 타이틀로 지금 대한민국이 바라보는 난민에 대한 시선과 인식, 오해들을 심포지엄 (symposium) 형식으로 난민들의 이야기와 자신들의 경험을 토대로 풀어나갔다.

 fe08659f481d4e195ff654f4a59935f8.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9기 장민주기자]


먼저 사전적 의미에서의 난민이란, '인종, 종교 또는 정치적, 사상적 차이로 인한 박해를 피해 외국이나 다른 지방으로 탈출하는 사람들'로 통상적으론 자신의 출신 국가에서 박해를 피해 강제 이주한 사람들을 난민이라 부른다. 전쟁, 정치, 종교 등 여러 원인들로 생겨난 난민은 지난 2018년 5월에는 누적 난민 신청자가 4만 명이 넘었다. 이 작지 않은 숫자에 국민들은 현재 진행형으로 결코 좋은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작년 2018년을 뜨겁게 달구었던 제주 예멘 난민을 통해 대한민국이 생각하는 난민에 대한 인식과 편견들이 카드 뒤집듯 그 속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과거 우리나라에도 일제강점기, 6.25 전쟁, 제주 4.3 사건 등으로 우리도 한때 난민이었음에도 우리는 왜 그들의 존재가 아니꼬운 것일까, 그 원인을 생각해 보면 '난민은 강간범, 테러리스트, 사이비 주동자'와 같은 자그마한 의심과 편견이 큰 오해와 더불어 색안경을 씌우고 있었던 것이다. 그 색안경에 대해 의문을 던졌던 비평가이자 작곡가인 최정우 씨는 '우리'란 무엇인지 청중들에게 스스로 질문할 수 있도록 강연을 풀어나갔다.


5e1f5eff8526edeee1751dc7de582517.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9기 장민주기자]


2018년 5월 기준 난민 신청 후 국내 체류 중인 난민은 약 3만 3000명으로 난민 인정(보호)자는 약 800명밖에 되지 않는다. 전쟁, 정치, 종교 등의 사유로 국경을 넘어 먼 타지로 와 난민 신청을 해 보지만 수용 국가의 부정적인 시선과 타박으로 타지에서조차 기본적인 인권을 쟁취해야 한다.

전 세계의 평균 난민 인정률은 약 40%이지만 한국은 3% 채 되지 않는 상황이다. 국가가 먼저 나서 난민 수용에 힘을 쓴다 하여도 그들과 함께 살아가나는 국민들은 마음의 준비가 되지 않을뿐더러 혐오의 시선과 핍박이 난무하는데, 과연 대한민국은 난민 수용 국가가 될 수 있는가에 의문이 들기도 한다.


그 많고 많은 난민들은 어디에 있고 또 어떻게 살아가는지 언론이나 미디어 속에서 찾기란 쉽지 않다. 그 이유 또한 그들을 배제한 '우리'라는 큰 공동체, '우리'가 그들을 투명화시킨 것은 아닌지 우리 스스로 질문을 던져보아야 한다. '우리'라는 개념 안에서부터 이미 "'난민'이라는 외부 침입자가 '우리'의 일자리와 세금을 '불공평'하게 훔쳐 가기에 이 공동체 속에서 모두를 위해 배제시킨다"란 의미가 속 깊이 자리 잡은 것은 아닐까.


심포지엄 (symposium) 형식으로 길다면 긴, 짧다면 짧은 시간 동안 열 분의 강연은 청중들에게 끊임없이 생각할 기회를 심어주었고 공감과 새로운 경험을 안겨주었다. 난민 수용의 찬/반과 난민의 '존재'의 찬/반, 그 경계선은 미묘하게 구분하기 힘들면서도 엄연히 다르다.

난민, 내 주변 일이 아닐 것이라는 고정관념에서 '우리'가 거기서 나오기까지 얼마나 걸릴 것인지 아무도 모르지만 우리 모두 하나둘씩 인식이 바뀌고 '우리'라는 개념 또한 바뀌길 바라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9기 장민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9기손민경기자 2019.01.06 20:26
    이러한 강연을 통해 난민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으면 좋겠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4936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4679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67532
폭력적인 언어에 노출된 청소년 이대로 괜찮은가? 2014.07.26 이인애 25000
포항테크노파크, 어려운 지역사회에 도움 한스푼 file 2020.08.31 최은영 12904
포항의 경제 중심지, 죽도시장으로 오이소! file 2016.05.23 권주홍 17369
포항시 포은도서관 ‘Fun! Fun! 만화축제!’ 성료 file 2016.04.25 이유수 19178
포항 지진에 수능 연기…재난·재해 인한 연기는 처음 (2보) 2 file 2017.11.15 디지털이슈팀 14984
포포페스타서 열린 영등포사회복지관의 '아동 놀권리' 캠페인 file 2023.11.24 조혜영 6263
포켓몬스터들의 제 2의 전성기 - 포켓몬go file 2016.07.26 김은형 18083
포켓몬 고, 성공 비결은 캐릭터? 13 file 2017.02.11 장서연 17158
포켓몬 고(Pok?mon GO)가 추락하는 이유 무엇인가 3 file 2017.02.24 임유리 22493
포켓몬 고 한국 정식 출시, 증강 현실(AR)이란? 13 file 2017.02.03 정승훈 16956
포켓몬 GO, 흥행 유지에 성곡할 수 있을까? 2 file 2017.03.04 최유석 13806
포켓몬 GO, 안전하게 GO! file 2017.05.22 최윤경 13858
포장지, 없앨 수 있을까? 2018.04.10 김소연 15531
포스트잇은 왜 노란색일까? 1 file 2021.11.25 민지혜 10751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IT 기업의 재택근무 file 2020.11.26 류현우 12963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포코스쿨 우수학급 대상 ESG+진로 탐색 특강 진행 file 2022.11.14 이지원 7161
포마켓, 포천 시민이 만들어가다 file 2019.08.26 김선우 14999
포근한 햇살을 품은 마비정 벽화마을 4 file 2015.02.17 전지민 31219
폐쇄된 놀이공원, 활력을 되찾다! file 2016.03.21 박지혜 24185
폐건물이 청춘들의 아지트로 탈바꿈하다 ‘청춘 창고’ 3 file 2017.03.06 이소명 27881
평화통일을 향한 한 발자국 1 file 2016.08.04 천예영 15400
평화의 소녀상의 거제 나들이 2 file 2018.01.29 최다영 16082
평화의 길을 달리다 'PEACE ROAD'의 출발 file 2017.08.21 윤묘출 13073
평택시 청소년들, 국제교류 자원봉사로 외국인과 소통하다 5 file 2017.10.20 황연희 14912
평창으로 맞이할 해외 관광객, 어디로 가야할까 1 file 2018.01.09 김정환 15643
평창올림픽 기념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展, 한·중·일이 한곳에 1 file 2018.02.09 김시은 18345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며 2017 서울아리랑페스티벌 한마당 1 file 2017.11.06 단승연 15774
평창동계올림픽, 기나긴 여정의 결실 file 2018.03.26 조유나 14657
평창동계올림픽 남북단일팀, 통일로 한 걸음 vs 섣부른 판단 2 file 2018.01.26 정유미 16555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2천원권 지폐, 11월에 나온다 file 2017.08.29 디지털이슈팀 15648
평창동계올림픽 G-1, K-드라마 페스타 in 평창 행사 개최 1 file 2017.02.20 고주연 15755
평창과 사랑에 빠지다 2 file 2018.03.09 백예빈 16333
평창 패럴림픽, 이렇게 즐기는 건 어때? file 2018.03.02 이소현 14543
평창 패럴림픽 마스코트, '반다비' 2 file 2018.03.01 이가영 14975
평창 올림픽의 꽃 자원봉사자 면접을 가보다! file 2017.03.19 김채현 14449
평창 올림픽 D-228, 평창호 탑승자가 되는길! 3 file 2017.06.29 김채현 14323
평창 성화, 홍천을 밝히다 file 2018.01.31 박가은 16392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그 속사정은? 2 file 2018.02.27 윤성무 15139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적인 마무리 file 2018.03.03 김세빈 15583
평창 동계올림픽, 그 화제의 현장 속으로 2 2018.02.28 안효진 14906
평창 동계올림픽, 그 시작과 성공 file 2018.03.08 이수인 16596
평창 동계올림픽 상품들, 수호랑은 이제... 2018.03.06 정현택 15253
평창 동계 올림픽, 남북 외교의 발판 될까? file 2018.03.01 안성연 14428
평창 굿즈 열풍, 올림픽 성공적 개최의 신호탄일까? 2 file 2017.12.15 윤정민 15496
평생 늙지도 죽지도 않는 법, 텔로미어 file 2021.06.02 백우빈 16261
평범한 일본 시민이 5년 동안 전기세를 내지 않고 생활한 비결은? 2 file 2017.08.24 이윤희 14487
평등한 세상을 위한 도전, 퀴어퍼레이드와 함께 1 file 2019.06.11 원서윤 17745
평내동청소년자치위원, 복지 사각지대에 계신분들에게 사랑을 나눠요. 6 file 2017.01.24 황보민 191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