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WBC 개최국 한국, 1라운드 탈락 확정...한국야구의 현주소는?

by 4기하재우기자 posted Mar 12, 2017 Views 132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wbc.JPG

[이미지제공= wbc, 저작권자에게 사용 허락을 받음]

공격, 수비, 주루 모두 수준 미달이었다. 쿠바와의 평가전 2연전에서 보여준 모습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최근 고척돔에서 열린 한국의 1라운드 두 경기를 두고 하는 말이다. 이때까지는 2라운드에 대한 실낱같은 희망이 있었다. 그러나 대만과 네덜란드의 경기에서 네덜란드가 6-5로 승리하며 그 희망조차 지워버렸다.

WBC(월드베이스볼클래식) 개최국 한국이 홈에서 한 번 제대로 굴욕을 맛봤다. 6일 오후 서울 고척돔에서 열린 1라운드 1차전 이스라엘과의 개막전에서 한국은 상대 마운드 공략에 실패하며 1-1로 맞선 연장 10회 혈투 끝에 결승점을 내줘 패했다. 김태균(3타수 무안타 1볼넷 2삼진)과 이대호(5타수 무안타 2삼진) 등 중심타선의 침묵이 패배로 이어졌다.

마운드 역시 2점밖에 내주지 않았지만, 볼넷을 9개나 내주며 WBC에서 가장 중요한 투구 수 관리 부문에서 불합격 점을 받았다. 한국은 메이저리그를 경험한 베테랑과 마이너리그에서 빅리그 진입을 노리는 선수들 위주로 팀을 짠 이스라엘보다 객관적 전력상 한 수 위로 여겨졌지만 역시 야구공은 둥글었다. 김인식 대표팀 감독은 경기 후 "우선 제어가 안 돼 볼로 가다 보니 기회를 주게 됐고, 우리 역시 결정적인 기회에서 득점으로 연결하지 못한 것이 패인"이라고 분석했다.

이 경기의 결과는 뉴욕 타임스가 ‘WBC 최대의 하극상’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한국 야구 팬들은 물론 세계 야구 팬들에게까지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이스라엘이 개막 전부터 이번 대회의 복병으로 여겨지긴 했지만, 야구랭킹 세계 3위(2017년 3월 8일 현재 세계소프트볼연맹 기준) 한국이 20위 아래인 이스라엘에 패할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음 날인 7일 오후 같은 장소에서 열린 네덜란드와의 2차전에서 나아진 모습을 보이지 못하며 무기력한 모습으로 5-0이라는 굴욕적인 점수로 패했다. 한국프로야구를 경험한 네덜란드의 베테랑 선발 릭 밴덴헐크는 국내 타자들을 너무나 잘 알고 있었다. 한국을 초반부터 압박하겠다는 전략이었다. 반면 한국은 사이드암 투수 우규민을 마운드에 올렸다. 네덜란드의 가장 큰 강점은 공수를 겸비한 메이저리그 출신 내야진이었다. 메이저리거에게 사이드암이 익숙지 않은 유형이라는 점을 고려한 김인식 감독이었다. 그러나 선발 맞대결은 밴덴헐크의 완승이었다. 시속 150km를 넘나드는 빠른 공을 무기로 4이닝 2피안타 2볼넷 무실점으로 한국 타선을 압도했다. 반면 우규민은 3과 2/3이닝 6피안타 3탈삼진 3실점으로 부진했다. 1회 말 주릭슨 프로파에게 2점 홈런을 맞는 등 네덜란드의 강타선을 상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이스라엘전에서 1점을 뽑아내는 데 그쳤던 타선의 무기력 또한 이어져 돌파구를 찾는 데 실패했고, 2패를 안게 되었다. 2013년 대회에 이어 두 대회 연속 1라운드 탈락의 고배를 마신 것이다. 이제는 한국 야구의 현주소를 고찰해볼 때이다. 2000년대 중반까지 프로야구가 침체기에 빠져있었는데, 2006년 WBC,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우승과 2009년 WBC 준우승으로 한국야구는 정점에 올라섰다. 어느덧 800만 관중을 넘어섰다.

그러나 이것은 독이 되고 말았다. 선수단의 규모와 몸집은 날로 커지고 있으나 기량은 퇴보하고 있었다. 선수들의 기본기는 예년만 못했다. 날로 늘어가는 관중들 속에 프로다운 플레이는 없어졌다. 가장 큰 문제는 토종 에이스들이 사라지는 것이었다. 여전히 프로팀 감독들은 성적을 위해 불펜에 의존하는 야구를 했고, 강속구를 던지는 유망주는 불펜으로 마구잡이로 실전에 투입되어 혹사당했다. 자연스럽게 외국인 투수들이 선발을 책임져야 하는 상황으로 변질했다 리그에서는 3할 타자가 20~30명씩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거품이 상당했다.

이번 대회에서도 타자들은 리그에서 보여줬던 폭발력은 없었다. 지난 2015년에 열렸던 프리미어12에서도 문제점이 확연히 나타났다. 그러나 누구도 대책을 세우지 못했다. 리그만 돌입하면 1~9번까지 누구나 홈런을 칠 수 있는 타자로 변신했기 때문이다. 세계수준에 한참 미달하는 투수 수준, 그리고 자만심이 지금 이 현실을 만든 것이다. ‘준비가 부족했다.’ ‘전력이 약했다.’ 와 같은 추상적인 분석은 시간 낭비다. 철저한 반성과 동시에 지난날 영광을 잊고 한국야구의 미래를 위한 변화와 개혁이 필요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4기 하재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최민주기자 2017.03.12 14:07
    좋은 결과를 얻길 바랬는데 안타깝네요ㅠㅠ 다음에는 더욱 더 잘해주길 바랍니다 좋은 기사 잘 읽고 가요~
  • ?
    4기조성민기자 2017.03.12 15:42
    사진은 어떻게 허락받으신거에요? 저랑 비슷한 주제신데
  • ?
    4기김유경기자 2017.03.15 22:44
    투저고타 현상이 어서 개선되어서 향상된 수준으로 이번 시즌을 맞이했으면 좋겠네요. 기대했던 만큼 선수들도 팬들도 아쉬움이 크게 남는 경기였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4972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4713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67861
300달러 미만 5G 폰 美 출시, 삼성의 전환점이 될 것인가? file 2021.04.26 양연우 10922
프리미어리그 개막, 빅6의 시작은 어땠을까? file 2021.08.19 윤서원 10955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보호' 그 사이 데이터 3법 file 2020.11.24 김은비 10958
장성규-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이번에도 함께할 수 있어 기뻐요” file 2021.04.09 민유정 10959
'위드코로나', 전 세계적으로 효과 있었을까? file 2021.11.25 서승현 10959
'황소' 황희찬이 라이프치히에 왔다? 1 file 2020.09.25 김시윤 10966
호주-싱가포르 트래블 버블 금일부터 시행 file 2021.11.22 임규리 10998
월드 스타 방탄소년단, 유 퀴즈 온 더 블럭 단독 출연! 2021.03.03 전채윤 11008
"소통 줄어가는 요즘, '감사' 담은 편지 한 통 어때요?"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제6회 감사편지 공모전 개최 file 2021.04.01 김도연 11009
코로나19에 맞서는 다양한 방법 '집콕' file 2021.02.25 김수연 11012
생명을 위한 관심, 헌혈이 필요한 시기 file 2022.01.27 임나연 11021
필리핀 인터넷 쇼핑의 변화 file 2022.01.26 최윤아 11027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의 경제적 영향과 차후 동향 file 2021.04.26 김수태 11071
LG 모바일의 몰락을 돌아보며 file 2021.04.26 이준호 11075
안전하게 집에서 쇼핑하기, 온라인 쇼핑몰 file 2020.04.24 이도현 11079
메타버스(Metaverse)가 무엇인가요? file 2022.01.24 허민영 11091
KBO, 40번째 시즌을 '팬들의 힘찬 응원'과 함께 시작 file 2021.04.14 이정훈 11100
연휴기간에도 인기폭발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2 file 2017.08.16 이수현 11105
스마트도시란 무엇인가 file 2021.12.27 백소윤 11128
쌍란, 과연 쌍둥이 병아리가 태어날까? file 2021.11.26 하지수 11137
나만의 사진관! 포토프린터와 인쇄 방식 file 2021.03.08 신지연 11153
"해외여행 가는 척", 이게 요즘 인기라고? 2 file 2020.09.29 조윤주 11164
영화 <원더>와 <말아톤>이 장애아동 가족에게 건네는 따뜻한 위로 1 file 2022.02.24 김유진 11167
감사편지를 통한 아이들의 인성함양, 제6회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file 2021.04.01 오지수 11203
백신 패스 등의 위드 코로나 정책, 미접종자에 대한 고려도... 1 file 2021.11.29 황연우 11216
저는 공짜 음악은 듣지 않습니다 file 2021.02.24 송서연 11218
요즘 유행은 '이색 데이트' file 2021.05.24 김은지 11235
코로나시대의 예술을 만나다 file 2020.08.18 조수민 11242
봄꽃의 신호탄! " 2017 양산 원동매화축제" file 2017.03.25 전현동 11265
인텔. 12의 완성 file 2022.02.03 이준호 11270
물고기가 종불평등한 말? 물고기 아니고 물살이 캠페인에 참여해주세요 2021.09.14 김태희 11271
"미국 CIA 요원 에드워드 스노든 이야기" 푸른숲주니어, '스노든 파일' 신간 출간 3 file 2021.11.09 디지털이슈팀 11283
'Mr. November' 데릭 지터,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입성 file 2021.09.14 윤형선 11309
유명 모델 켄달 제너의 테킬라 브랜드 Drink 818의 양면성 file 2021.12.20 강려원 11336
K-POP 아이돌이 장악한 명품 브랜드 1 file 2021.08.25 김지민 11342
코로나 19로 인한 해수욕장 긴급 폐장 file 2020.08.26 김민영 11346
국회의원 배지의 변천사 2021.12.14 강준서 11351
꿈의 리그 MLB에 "K-선수들이 KEY 될까?" file 2021.05.12 이정훈 11357
익명 질문 애플리케이션, 사용하시겠습니까? file 2021.03.02 신아인 11364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시작, 올해 달라진 점은? 1 file 2021.01.25 이유진 11381
국내 도시재생의 성공 사례, <인천 개항로> 2 file 2022.02.28 김다희 11396
'10년만의 챔피언스 리그 4강 진출!', 올랭피크 리옹, '우승 후보' 맨체스터 시티 격파 file 2020.08.24 이은호 11398
<제6회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홍보대사 위촉식, 방송인 장성규 효과 기대 file 2021.03.30 박상혁 11402
젊은 층이 주목하는 문화의 발상지, 대학로 1 file 2020.04.24 유태현 11404
2020 한독청년포럼 개최 file 2020.11.09 최준서 11406
“저희는 승리하길 원할 뿐입니다” 글로벌기업 나이키(NIKE)가 세계에서 승리하는 방법 file 2022.06.04 염지원 11410
한일 관계 개선의 거름이 되는 한일 청년 교류: JENESYS2021 1 file 2022.03.04 명나디 11417
방탄소년단이 서울을 전 세계에 알리다 1 file 2020.09.21 유지원 114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