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우리 함께 '우리 함께'를 보여주자.

by 4기김유진기자(정치부) posted Apr 29, 2017 Views 1215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우리 함께 '우리 함께'를 보여주자.

-21일 인종 차별 철폐의 날을 맞이하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선고일인 지난 10일 'BBC 인터뷰 사고'가 인터넷을 뜨겁게 달궜다. 부산대학교 켈리 교수는 10일 자택에서 BBC와 박 전 대통령 탄핵이 남북 관계에 미칠 영향에 관한 영상 인터뷰를 하던 중이었다. 엄중한 표정으로 문답을 이어가던 중 자녀들이 차례로 방에 들이닥쳤다. 이 사실을 뒤늦게 안 켈리 교수의 한국인 아내가 황급히 들어와 아이들을 끌어내렸지만 인터뷰는 수 초간 정지됐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일부 언론과 네티즌이 켈리 교수의 아내를 '보모'로 인식하면서 돌연한 인종 차별 논란까지 일었다. "동양 여자를 자연스레 보모로 인식하는 건 인종 차별"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많은 인터뷰를 고사하던 켈리 교수는 그의 가족과 부산대학교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그의 부인 김 씨는 일부 외신에서 자신을 ‘보모’라고 표현하면서 벌어진 인종차별 논란에 대해 “역사적 경험 때문에 그런 생각을 가질 수도 있다고 이해한다.”라며 “하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그런) 인식이 바뀌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fde3ec91ea9cc81d6d2098a50c9bbf39.jpg

[이미지 출처 = BBC 방송국, 출처 밝힐 시 사용 가능]

지난 10일, 켈리교수가 BBC 방송에 출연 중 아이들이 들어온 일에 대해 언급하며 다시 한 방송


   오는 21일은 '국제 인종 차별 철폐의 날'이다. 국제연합(UN)이 이날을 선포한 지 51년을 맞이하지만 세계 곳곳에선 여전히 피부색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사례가 끊임없이 발생해 각종 갈등과 마찰을 야기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국내 거주 외국인이 200만 명을 넘어가면서 한국도 다문화 사회에 접어들었으나 아직 도 우리나라의 대부분 사람들은 우리는 ‘한 민족’이며 ‘단일 민족’이라는 사상을 가지고 있다. 여성가족부의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에 따르면(2015년 19세~73세 전국 성인 4000명)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지수는 100점 만점 기준 53.95점으로 나타났다. 다른 인종을 이웃으로 삼고 싶지 않다는 응답자가 4명 중 1명(25.7%) 꼴이었다. 미국(5.6%)과 네덜란드(8.2%) 등 다른 국가에 비해 현저히 높은 수치다. 다른 인종이나 종교, 문화를 가진 사람을 받아들이는 데 한계가 있다고 답한 사람은 전체의 55.3%로 2011년(39.4%)보다 오히려 15.9%P 늘었다. [뉴시스 - ‘켈리 교수 부인이 보모 ...인종차별, 우리는 자유로운가]


   2015년 12월 3일 해피투게더에서 한국의 유명인들이 미국 학교 재학 시절 당한 인종차별에 대해 논하는 시간이 있었다. 그들은 각각 얼굴에 침 뱉기, 비하 용어 쓰기, 장난감 날리기, 철제 사물함 일부러 세게 열어 다치게 하기 등의 각종 차별을 받았다고 고백했다.

   또한 최근에 인디언 흑인 소녀의 이야기 ‘모아나’라는 영화가 개봉하면서 ‘겨울 왕국’과 같은 노선에서 How fall I'll go라는 ost를 내걸었으나 지난 디즈니 작품 중 황인과 흑인을 배경으로 했던 ‘포카혼타스’와 ‘뮬란’과 같이 하강 노선을 그리며 한국 내의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러한 인종 차별 철폐를 위해 1966년에 UN 총회에서 매년 3월 21일을 국제 인종 차별 철폐의 날을 제정하였다. 이 날은 1960년 3월 21일에 남아프리카 공화국 샤프빌에서 아파르트헤이트에 반대하며 평화적 집회를 벌이다 경찰의 발포에 의해 69명의 시민들이 희생되었던 사건으로부터 유래되었다. 당시 남아프리카에서는 약 16%의 백인이 84%의 비백인을 정치적·경제적·사회적으로 차별해 왔다. 이 때문에 백인들만을 중심으로 세워진 국민당의 단독정부 수립 후 더욱 확충·강화되어 아파르트헤이트로 불리게 되었다. 이 말의 뜻은 분리, 격리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 사건 이후 인종차별주의 법과 관습들은 많은 나라에서 폐지되었고, 유엔을 비롯하여 인종차별주의와 싸우는 세계적인 틀을 확립했다.

   세계 인권 선언의 첫 번째 조항은 “모든 인간은 존엄과 권리를 지니고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났다.”라고 확언한다. 우리는 이 인권 선언을 들었고 알고 있으나 ‘흑인은 노동력 제공자, 백인은 지식 제공자’와 같이 성급하게 일반화를 시켜버리고 마는 경향이 있다. 샘 오취리라는 가나 연예인이 jtbc ‘말하는 대로’라는 프로그램에 나와서 자신이 겪었던 인종 차별에 대해서, 그리고 한국에서 느낀 감정에 대해서 소개해주었다. 본인이 한국에 와서 차별을 당하고 있을 때에 그 누구도 도와주지 않았고, 그에게 ‘흑형’이라는 차별적 단어를 사용하며, 대부분의 매체들에서 흑인들이 맡는 역할들이 ‘나쁜 놈’.. 그리고 2014년 에볼라 바이러스 유행 당시 ‘흑인 출입 금지’라는 한 식당의 안내문을 보고 너무나 슬펐고 안타까웠고 분노했다고 한다. 하지만 여전히 한국에 남아 있는 이유는 ‘우리’라는 단어가 매우 아름답기 때문이다고 했다. 가족과 떨어져 있는 오취리에게 명절날 함께 해 주는 친구들이 있었기에, -우리 572학교-를 세울 때에 많은 한국인들의 후원이 있었기에, 자신을 응원해 주는 사람들이 있었기에 본인이 지금 이 위치까지 올라올 수 있었다고 수줍은 고백을 했다.


   어떻게 따지면 ‘우리’라는 단어가 ‘한민족’에서 시작한 너무나 작은 범주에서 시작했을지 몰라도 다르게 생각해 보면 ‘우리’라는 단어는 그 누구에게나 사용할 수 있는, 모두를 효용할 수 있는 아름다운 단어인 것 같다. ‘우리’라는 말의 정의는 ‘어떤 대상이 자기와 친밀한 관계임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다. 한국에서 ‘나’, ‘너’라는 단어보다 ‘우리’라는 말이 많이 사용되는 만큼 우리와 조금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차별하지 않고 ‘우리 함께’ 공존하는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정치부 = 4기 김유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585338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58290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04487
부산광역시 기장군청소년참여위원회 활동의 미래는 밝다! file 2017.08.22 손수근 12175
내 반려동물을 위한 시간 "2021 케이펫페어 부산" file 2021.04.28 김민수 12174
글로벌 루키의 성장, TOMORROW X TOGETHER file 2020.05.27 하건희 12171
매월 넷째 주 수요일은 대중교통 이용의 날 file 2017.03.26 손유정 12167
2월 14일 날은? 4 file 2017.02.21 김소은 12167
손흥민 선수 100호 골 달성! 1 file 2018.12.26 박종운 12165
빅브라더는 소설 속에서만 살지 않는다 file 2021.02.26 문서현 12164
사랑과 나눔이 함께하는 '2017 나눔 워킹 페스티벌' 2017.10.16 최유리 12163
지구를 구하는 대학생 봉사단 ASEZ를 만나다 1 file 2020.12.29 송다은 12158
서울시 최초 청소년 과학관! 요즘 여기 핫하다며? 2017.08.24 황재명 12155
시민과의 소통이 절실한 지금, 고양시는? 1 file 2020.12.08 김한나 12153
스마트디바이스 쇼 KITAS 2017 1 file 2017.08.22 강다연 12151
우리 함께 '우리 함께'를 보여주자. file 2017.04.29 김유진 12151
"영화는 계속된다" 더욱 새로워진 제22회 전주국제영화제 개막 file 2021.05.03 김수인 12150
위기를 기회로! 학생들을 위한 자기 계발 활동 9 file 2020.04.14 송다은 12144
K-Pop에 나타난 4세대 아이돌, 음원부터 음반까지 사로잡다! file 2021.10.28 이다영 12140
Earth Hour : 지구촌 전등 끄기로 환경 보호를 실천하다 file 2017.03.25 장예진 12140
코로나로 멈춰버린 지금, 집에서 문화생활을 다시 찾다 2020.09.16 이준표 12138
부산에서 열린 <제15회 부산국제음식박람회> file 2018.10.29 이수영 12138
금융과 기술의 결합, 로보어드바이저 file 2017.09.25 김나영 12137
이미지를 인식하고 검색하는 스마트 렌즈 2017.07.24 박소연 12134
광복 72주년 기념 해방 거리 재현 행사 '사람의 나라' file 2017.08.17 박규리 12131
대한민국의 새로운 산업을 꿈꾸다...“물산업 혁신 창업 대전” 첫 개최 2020.11.30 이호성 12130
아시안게임, 병역 혜택의 기회? 3 file 2018.08.30 김서진 12126
[포토] 2021 삼성호암상 시상식 file 2021.06.03 디지털이슈팀 12121
느티나무 가족봉사단이 꿈꾸는 함께 아름다운 세상 file 2017.09.26 오가연 12121
모두가 함께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쇼 현장 file 2017.08.25 김주은 12121
인도네시아에서 진행된 제4회 통일 골든벨이자, 첫 온라인 골든벨 file 2020.10.27 김민경 12113
조선일보 뉴스상식 시험 지난 25일 개최 1 2017.03.31 김동민 12113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 1 file 2017.02.22 이현중 12108
랜섬웨어, 그 대책은? file 2017.05.22 조유림 12107
점점 현실화되는 전기차 시대 2017.07.31 이종현 12104
영화 '미나리' 인기 와중 미국 내 반아시아인 혐오 범죄 발생 2021.03.26 김민주 12103
U-20 대한민국 대표팀 ‘죽음의 조’에 발을 담그다... file 2017.03.20 한세빈 12099
매년 3월 22일은? 1 file 2017.03.21 박승미 12088
어깨동무가 필요한 장애와 비장애-함께 사는 세상- file 2017.05.25 김주영 12083
온라인 쇼핑 플랫폼, MZ 세대의 놀이터로 자리매김하다 file 2021.07.30 전인애 12081
10년 차 걸그룹의 화력...음원차트 올킬 3 file 2020.04.20 조기원 12077
가장 작은, 가장 약한 사람들을 위해 일하는 NGO, AMNESTY file 2017.07.20 정재은 12076
[MBN Y 포럼] 꿈꾸는 대한민국의 청년들이여, 불가능을 즐겨라! 13 file 2017.02.13 김단비 12076
꿈의 나노물질, 그래핀 1 file 2017.04.24 주용권 12074
한일교류회, <82년생 김지영>을 말하다 file 2021.02.19 김연주 12073
6월 5일은? 세계 환경의 날! 2017.07.01 정채린 12072
한국인들은 안경 끼고 밤 늦게까지 공부만 한다고? 3 file 2017.05.18 하은지 12067
'9개월 간의 대장정' PL 개막! 화끈한 골 잔치로 포문 열어... 2021.08.19 손동빈 12059
셀카로 성격을 파악하는 인공지능이 있다? file 2020.05.29 정유빈 12054
코로나19의 위협엔 비대면 봉사활동 (신생아 모자뜨기) file 2020.10.23 신아인 12052
게임 속 캐릭터, 자유를 외치다 '프리 가이' file 2021.08.25 김민주 120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97 Next
/ 97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