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당신의 미래는 안녕하십니까

by 4기최용준기자 posted Mar 17, 2017 Views 1195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7년, 드디어 대한민국의 노인인구가 유소년 인구를 넘어섰다. 딱히 나쁜 소식은 아니지만 oecd 국가 중 최고 노인 빈곤율 49.6%를 자랑하는 대한민국의 상황을 덧붙여보면 그리 반가운 소식은 아니다. 새로운 해가 밝았지만 여전히 안녕하지 못한 그들의 이야기를 시작해보려 한다.



art_1404175615_99_20140701114003.jpg
[이미지 제공=프레시안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총체적 난국]
 현재 대한민국의 높은 노인 빈곤율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은 바로 ‘일자리’이다. 실제로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노인 10명 중 8명은 안정적인 고용, 복지와 거리가 먼 단순노무직(경비원, 청소부, 가사도우미)에 종사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합리적인 근로조건과 적정 수준의 월급을 갖추지 못하고 살아가는 대한민국 노인들의 현주소를 여실히 보여주는 통계이다. 이들이 불편한 몸을 이끌고 일하는 이유는 어떤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함이 아니다. 그들은 단순히 ‘생존을 위한 생계비‘를 마련하기 위해 일을 한다. 대한민국의 비교적 높은 노인 고용률에 비해 노인 빈곤율이 높은 결정적인 이유다. 거기에 37개국 중 31위에 그친 미약한 가족의 노인 부양 의식이 더해져 49.6%라는 믿기 힘든 수치가 만들어졌다.



art_1404175187_99_20140701114003.jpg

[이미지 제공=연합뉴스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지금 이 상태가 지속된다면 2033년 서울 인구 중 25%는 노인의 차지가 된다.
현재 50%에 육박하는 노인 빈곤율을 만들어낸 사회제도의 개편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다. 이웃나라 일본의 예를 들어보자. 현재 일본은 ‘개호보험’ 시스템을 통해 간병 외에도 생활에서 도움이 필요한 65세 이상 노인에게 비용의 90%를 지원하고 있으며 현재 일본 노인 5명 중 1명은 이 보험 혜택을 누리고 있다. (40세 이상 국민은 의무적으로 납부하는 방식). 현재 일본의 노인 빈곤율은 우리나라의 1/3 수준이다.



[노인을 위한 나라]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나라 노인들은 다른 국가 노인들보다 훨씬 궁핍한 삶을 살고 있다. 앞으로 대한민국의 노인인구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이런 사태가 더 이상 지속되어서는 안된다. 이제 우리나라의 사회제도 개편은 선택이 아닌 필수 상황이다.


 비록 지금은 힘없는 백발의 노인이지만 젊은 시절 나라와 가정을 위해 기꺼이 한 몸을 희생했던 그 청년들을 위해서 대한민국은 달라져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 = 4기 최용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4900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4638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67134
렌즈, 올바른 사용법과 부작용 3 file 2020.09.09 김현수 16259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생중계 아이돌 팬미팅 1 file 2020.09.14 최다인 12617
코로나로 멈춰버린 지금, 집에서 문화생활을 다시 찾다 2020.09.16 이준표 12751
하늘을 날고 싶어도 못나는 꿈의 비행기가 있다? 3 file 2020.09.16 이혁재 12913
무기한 연기? 달라진 우리의 문화생활 2 file 2020.09.17 최진서 13229
치과 공포증, 존재하는 질환일까? 3 file 2020.09.17 김수경 15292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코로나 블루, 우울함에 대처하는 과학적 방법 2 file 2020.09.18 김다연 14970
'신흥 강자'로 불리던 게임들이 유독 한국에서 부진한 이유는? 1 file 2020.09.21 김상혁 88892
방탄소년단이 서울을 전 세계에 알리다 1 file 2020.09.21 유지원 11419
동남아 여행, 이 애플리케이션 꼭 다운 받아야해! file 2020.09.21 정진희 12020
뮤지컬 ‘캣츠’의 코로나19 대처 방법, 그에 대한 반응은? 1 file 2020.09.22 이서영 13327
코로나 신조어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file 2020.09.23 조수민 14376
집에서 아이와 재미있게 할 수 있는 과학 실험? pH 컬러링! 1 2020.09.24 김태은 17277
UN에 관심 있는 청소년들이여, 이리로 오라! 3 2020.09.25 전민영 10902
영화 겟 아웃의 나오는 인종차별에 대해 알아보자 1 2020.09.25 김경현 16772
무인 판매기의 증가, 소외되는 소수들 file 2020.09.25 송다은 11634
전 세계 넷플릭스 독점 공개! '보건교사 안은영' file 2020.09.25 전채윤 15371
'황소' 황희찬이 라이프치히에 왔다? 1 file 2020.09.25 김시윤 10962
시대의 아이콘 블랙핑크, 10월 2일 첫 정규 앨범으로 컴백 예정 file 2020.09.25 김서영 11802
현대와 미래를 한 아름 담은 공간,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 file 2020.09.25 이건 12358
제1회 '청년의 날', BTS가 연설로 서막을 열다 1 file 2020.09.25 조예은 13154
청년을 위한 행사, '제1회 청년의 날' 기념식 file 2020.09.28 황지우 10745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등장, 로봇 카페 2 2020.09.28 김해승 11775
크로아티아 수심 114m 호수의 믿을 수 없는 변신, 축구장이 되다 file 2020.09.28 권혁빈 14232
방탄소년단, UN에서 또 한 번 세계에 위로의 메시지를 던지다 1 file 2020.09.28 김우정 21839
세계적 기업, 펩시콜라 성장시킨 도널드 켄들의 별세 file 2020.09.28 김상현 12500
치킨값=목숨값? 스웨덴은 법만 지키면 운전하다가도 떡이 생긴다 4 2020.09.29 문청현 15483
지상 최대 거물들의 밥그릇 전쟁 발발 file 2020.09.29 오진혁 10778
새로운 정상과 청소년 활동 주의에 대해서 file 2020.09.29 김태환 11810
빠져나가는 월트디즈니 작품들, 디즈니플러스 독점에 대한 예고일까? file 2020.09.29 박민아 13047
"해외여행 가는 척", 이게 요즘 인기라고? 2 file 2020.09.29 조윤주 11162
몸뿐 아니라 마음까지 병드는 '코로나 블루' file 2020.10.05 이채림 12423
코로나 따라 상승기류 타는 'OTT 서비스' file 2020.10.05 차준우 13534
우리는 어제 사람을 죽였다 4 file 2020.10.05 정미강 22859
온라인 수업 장기화, 학생들의 생각은? 1 file 2020.10.05 조윤아 11998
정유미X남주혁 <보건교사 안은영> 1 file 2020.10.05 김민영 11757
'비밀의 숲 2' 약방의 감초, 존재감 빛나는 조연들 2 file 2020.10.05 김나현 15641
생활 변화의 주범, 코로나 file 2020.10.05 김준희 13296
음식물 쓰레기, 일본에선 그냥 버릴 수 있다고? 1 file 2020.10.05 김시은 22516
추석에는 왜 송편을 먹을까? 4 file 2020.10.05 김성희 13794
코로나19를 예측했다? 재조명받는 영화 <컨테이젼> 1 file 2020.10.06 이소은 14724
쓰레기처럼 버려지는 애완동물들 4 file 2020.10.08 김성진 13061
OpenAI, Microsoft와 독점 라이선스 계약 체결... 배경과 미래는? file 2020.10.08 최준서 25477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아이오로라, 교통카드기능 스마트 학생기자증 도입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2020.10.12 디지털이슈팀 17797
FC 바르셀로나의 부활, 그 주역은 메시 아닌 17살 유망주, 안수 파티 file 2020.10.12 김민재 18288
일반인이 알지 못했던 CPR 지식 1 file 2020.10.12 권태웅 17052
여의도는 얼마나 큰가요? 2020.10.13 박지훈 18585
돌풍의 에버튼! 파죽의 7연승 file 2020.10.14 최준우 132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