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아동학대의 현주소

by 3기임지민기자 posted Jul 30, 2016 Views 1533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아동학대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임지민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우리나라 아동학대의 현주소


20151221일 뉴스에 보도된 인천 11살 학대소녀 탈출 사건은 세상 사람들을 경악하게 만들었다. 이 사건의 전말은 아빠와 동거녀가 11살 초등학생 딸을 2년 동안 자택에 감금하고 폭행하고 굶김으로써 딸이 자택을 탈출해 빵을 훔치다 붙잡힘으로써 드러났다. 아이의 상태를 의심한 상점 주인이 경찰에 신고를 하면서 이 사건이 세상에 드러나게 되었다. 아버지는 게임중독에 무직상태였고 동거녀 또는 정확한 직업이 파악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아이는 11살 나이였음에도 불구하고 키는 7, 몸무게는 4살 평균밖에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제대로 먹지도 못하고 여러 가지 보호와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음이 한눈에 드러난 것이다. 이 사건으로 인하여 전국의 교육계는 장기결석아동에 대한 전수조사가 실시되었고, 교육적 조치가 이루어졌으며, 3일 이상 결석 시에는 담임교사가 확인하고 증빙서류를 갖추도록 하는 등 관련법이 강화되었다. 하지만 아직도 학교에 참석하면서도 학대를 받고 있는 아동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2016116일 보도된 부천 7살 초등생 토막시신 사건은 장기결석아동 전수조사가 시작되면서 해당 아동의 실종 및 학대 정황이 포착되었다. 아버지는 변변한 직업이 없고 게임중독의 의혹이 있으며 어머니는 콜센터에 근무하고 있었으며 아들의 시신을 토막 내기 직전에 치킨을 시켜먹고 시신 냄새를 숨기기 위해 청국장을 끓이는 등 경악스러운 행동을 보였다. 정상적인 사고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는 이러한 행동들로 인하여 학대 받는 우리 사회의 아동들이 보호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아동복지법 제 3조 제 7호에는 아동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성적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 것과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것을 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가해행위 뿐만 아니라 소극적 의미의 방임행위까지 아동 학대의 정의에 명확히 포함하고 있다. 아동학대는 신체학대와 정서학대, 성학대, 방임 등의 유형으로 나누어 학대행위를 규정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징후를 남기게 된다. 아동학대의 원인으로는 부모의 미성숙이나 아동 양육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경제적인 어려움, 정서적 욕구불만, 사회적 고립, 어릴 적의 학대 경험, 부모의 우울 및 불안 등 다양한 이유가 있으며 이러한 부모가 제공하는 원인을 제거하기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우리사회는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아동보호 전문기관을 두고 있으며, 검찰 경찰, 보건복지부, 지차체, 의료기관, 보호관찰소, 사회복지관련기관들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워낙 가정 내에서 은밀히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아동들을 구제하기가 쉽지가 않다. 보건복지부산하 중앙 아동보호전문기관의 2014년도 통계치를 기준으로 보면, 아동학대신고 건수는 17,791건이며 아동학대 의심사례는 15000여건에 이른다. 물론 신고건수나 아동학대 의심사례가 최근 몇 년 동안 급속도로 증가되었다. 학대행위자는 압도적으로 친부와 친모가 가장 많으며 부모 외에는 다양하게 분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동학대 사례유형으로는 방임과 신체, 정서 폭력 등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소들을 중복하여 학대하는 사례가 48%로 나타났고, 중복을 제외하면 정서적인 학대가 40%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2014년에는 17명의 아동이 학대로 인하여 사망하였다. 우리사회에 아동학대 관련 아동복지법, 아동하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아동보호심판규칙, 청소년보호법, 아동청소년 성보호에 관한 법률 등 다양한 법률조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우리사회에 아동 학대가 존재하고 있다. 그동안의 아동학대 대책은 아이가 죽거나 크게 고통을 받은 사건이 발견되면 그에 따른 대책이 마련되고 법률안이 개정되는 식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2014년 아동학대특례법이 시행됐고 2015년에는 아동복지법 개정으로 가정 내 체벌 금지 조항이 명문화되었다. 그나마 아동학대 특례법 제정으로 아이들이 신속히 안전을 찾을 수 있는 법이 마련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6년 새해 벽두부터 충격적인 아동학대 사건이 연달아 발생했다. 이러한 사건들이 언론사에 대서특필되면서 아동학대 문제는 이제 전 국민의 초미의 관심사가 되었다. 그렇다면 이제 아동학대 근절을 위해 무엇이 더 필요할까?

아동학대의 주요 지표 중 피해아동보호율이 있다. 아동 1천 명당 학대피해아동의 숫자를 의미하며, 미국의 경우 8.8%1%정도인 우리나라에 비해 약 9배 차이가 난다. 이는 미국에서 학대가 더 많이 발생해서라기보다는 체벌문화와 가정문제에 다른 사람들이 개입하는 것을 강력히 부인하는 우리나라의 특성 때문에 아동학대가 잘 발견되지 않는 탓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감안했을 때 아직도 발견되지 않은 아동학대 사건이 수면 아래에 더 많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아동학대 사건을 발견하고, 아이들을 치료하며 학대행위자를 갱생(更生)하기 위해 제일 중요한 것은 아동학대사건을 관리하는 아동보호전문기관과 전문 상담인력이다. 현재 우리나라 상담원 인력은 캘리포니아 주의 10분의 1 수준이다. 최근 아동학대 사건에 대한 전문적 개입을 위해 기관에서는 아이의 안전을 즉시 확보하고 조사하는 현장조사팀과, 재학대 발생을 막고 원가족기능 회복을 돕는 사례전문관리팀으로 나누어 운영하고 있다. 이렇게 전문영역으로 업무를 진행함에도 불구하고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수는 55개로, 10년 전인 2006년에 비해 고작 16% 증가한 수준에 불과하다. 그에 비해 신고건수는 20065202건에서 201519천여 건으로 과거보다 무려 260% 이상 증가했다. 이뿐 아니라 한 해 상담원들이 실시하는 현장조사는 6만여 건, 서비스 제공은 무려 48만여 건이다.1) 그러나 전국 상담원의 수는 20162월 기준 513명뿐으로, 우리나라와 아동 수가 비슷한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상담원수가 4923명인 것과 비교했을 때 약 10배 차이나는 수준이다. 이렇듯 인원 증가 없는 업무 증가와 열악한 처우, 위험한 근무 환경으로 아동학대 현장에서는 경력직의 퇴사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상담원 중 48%24개월 미만 종사자이며, 다수가 신규직원이거나 신규 발령자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업무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인력 증원이 시급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3기 임지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이의진기자 2016.08.17 18:04
    아동 학대에 관하여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고 학생으로서 할 수 있는 일에는 무엇이 있을까 고민도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3기김은형기자 2016.09.26 00:13
    친부모에 의한 학대가 가장 많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일부이긴 하지만 가정이라는 울타리가 더 이상 아이들을 보호하지 못하게 된 이상 전 사회와 이웃이 눈을 크게 뜨고 아이들을 보호하고 지켜야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7897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4870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61673
공영방송, 이대로 괜찮은가? 6 2017.08.22 손다빈 10753
공영방송의 정상화는 필요할까? 4 file 2017.02.20 이희원 15825
공익과 사익의 충돌_이해관계충돌방지법 file 2020.05.04 임효주 20102
공정무역의 가면을 쓴 불공정 무역 4 file 2016.09.25 노태인 54567
공정한 취업의 신호탄, 블라인드제 1 file 2017.06.25 황현지 11222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1 file 2020.10.26 윤지영 7598
공포에 떠는 우리 곁의 야옹이들 file 2018.07.10 이승현 9329
과연 9시등교 좋은 것일까 안 좋은것일까? 2 2014.09.27 김민성 26364
과연 본인 돈으로는 본인 표만을 사면 안 되는 것일까? file 2019.11.14 조서윤 9756
과연 우리가 사는 곳은 보안이 잘 지켜지고 있을까? file 2019.07.15 신여진 11549
과연 초콜릿은 달콤하기만 할까? 4 file 2017.10.30 임수연 10564
과연 한반도의 봄은 다가올 것인가? file 2018.03.27 이지훈 10706
과열되는 거주민들의 분노, 이러다 주민 없는 유령도시 된다… 관광산업의 그늘 file 2017.08.25 신유진 14929
과자 포장속 빈공간 비율이 약 83%? 과대포장 문제가 심각하다! 7 file 2016.05.29 신수빈 22144
과자양이 갑자기 줄었다...슈링크, 스킴플레이션 현상 file 2023.12.30 박채원 3021
과학, 왜 어렵게 느껴질까? file 2019.05.31 박현준 10337
관광객 인기 일본의 APA 호텔, 위안부 부정 극우 서적 비치 논란 3 file 2017.01.20 정유리 17770
관심 대상의 창원시 성산구 보궐선거 file 2019.04.01 김현우 9681
광명고등학교 학생 10명 중 7명, "소년법 개정 필요하다" 2 file 2019.01.14 류주희 12941
광복을 꿈꾸고 조국을 그리던 시인, 윤동주 3 file 2017.08.16 장서윤 11185
광복절 집회에 대한 법원의 판결, 적절한가? file 2020.08.31 김근영 7551
광복절 특사, 국민 대통합? 이젠 국민 취급도 안하나? 4 file 2016.08.15 오성용 14555
광복절, 현충원에 가다 file 2017.08.25 이기혁 9870
광복절은 영화만 보는 날? 4 file 2017.08.22 성유진 10415
광주 학동 참사에 이은 화정아이파크의 붕괴... 건설사 HDC현대산업개발은? file 2022.01.24 김명현 13370
광주광역시 비둘기 폐사체 7구 발견 3 file 2017.02.05 김소희 19183
광주도 백신 이송 모의 훈련 진행.. file 2021.02.22 옥혜성 7033
광주로 오세요! 천만관객 달성 '택시운전사' 광주 5·18 현장 탐방 프로그램 열어.. 정치계 반응은? 2017.09.04 조영지 10192
광화문 1번가-국민의 목소리 file 2017.06.05 한지선 10153
광화문에 나온 청소년들, 그들은 누구인가? 2 2017.03.26 민병찬 10433
괘씸한 일본…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 file 2017.05.28 남희지 13548
교과교실제, 누구를 위한 교과교실인가 4 file 2016.05.25 김관영 18736
교과서 속 부정확한 성(性) 지수 교체 시급 file 2020.06.02 박지훈 8315
교권이요? “선생님 수업하실 때 선생님 성함 제일 크게 외치는 사람이 이기는 게임도 하고요…” 5 file 2017.07.23 신아진 16727
교복이 마음에 드나요? 10 file 2016.04.03 유승균 19735
교사들의 유튜브 영상 1223개...불법은 아닐까? 2 file 2020.04.28 배선우 9276
교원능력평가 익명성 믿을 만한가? 4 file 2017.10.16 이혜승 21084
교육강국 한국의 후진국적 교육방식, 지금은 개혁이 필요할때! 1 file 2016.05.31 김지현 15124
교육부, 대학 개강 시기 "4주 이내 조정 권고" file 2020.02.12 박가은 9128
교육청의 과실? 언론사의 오보? 그 진실이 궁금하다. 2 file 2017.02.09 서경서 22502
교육현실 그대로....등교시간만 바뀌었다! 2014.09.25 명은율 22120
교칙, 은근한 차별과 편견... 1 file 2018.10.18 유하늘 10705
교칙, 학생 자유 침해 92.6%···인권위, 학생 인권 증진 권고 1 file 2018.03.02 이형섭 15623
구)공주의료원 어떻게 활용될까? 1 file 2018.10.04 김예경 12446
구글 클래스 접속 오류... 학생부터 교사까지 '일동 당황' file 2020.09.28 황수빈 11673
구둣방천사 2 file 2016.05.28 김준석 15382
구로 콜센터 확진자 100명 넘어...서울 최대 집단 감염 사례 file 2020.03.25 배선우 9473
구별되고 분리되었던 공진초, 그리고 지금은? file 2017.09.25 김유진 95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