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축구 속 브렉시트

by 3기김선기기자 posted Jul 26, 2016 Views 1853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현재 세계는 브렉시트의 여부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이미 국민 투표가 EU 탈퇴 지지 쪽으로 결정된 만큼 탈퇴는 확실해 보인다. 많은 분야에서 브렉시트는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축구이다. 브렉시트로 인해 축구계, 특히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에서는 어떤 일이 발생할 수 있을지 정리해 보았다.

선수 영입 비용 증가

 프리미어리그가 선수 영입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은 있다. 영국의 브렉시트로 미래에 대한 불안 심리, 경제 위기 확대에 따른 견제 심리 등으로 파운드화가 추락했다. 파운드가 약세라는 건 예전엔 1000파운드로 살 수 있었던 걸 앞으론 1500파운드를 지불해야 구매할 수 있다는 걸 뜻한다. 영국 밖에서 뛰는 선수들을 영입하는 비용이 증가할 수 있는 일이다. 반대로 프리미어리그에서 뛰던 선수들은 상대적으로 나은 대우를 받으면서 해외로 진출할 수 있다.


이중 국적자의 EPL 제한

 남미의 이중 국적자 선수들의 프리미어리그 진출이 어려워질 수 있다. 브라질이나 아르헨티나 출신 선수들이 유럽연합 회원국 국적을 취득할 경우 해당 선수는 프리미어리그 진출 시 외국인(비EU)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이중 국적자이지만 유럽연합 회원국 선수로 인정돼 프리미어리그에 진출하는 게 상대적으로 수월했다. 하지만 이번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로 남미의 이중 국적 선수들의 프리미어리그 진출이 어려움을 더할 수 있다.

워크퍼밋의 제한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의 가장 큰 파장은 워크퍼밋(취업비자) 대상자의 확대다. 취업비자인 워크퍼밋은 그동안 부분별한 선수 영입을 막기 위해 비유럽 선수들에게 요구한 ‘이적 조건과 허가서’였다. 유럽연합 회원국 국민들끼리는 자유로운 왕래를 보장하고 취업의 차별을 금지하는 조약에 따라 비유럽 선수들에게만 요구한 취업비자였다. 워크퍼밋의 주요 내용은 취업비자 신청일 기준으로 최근 2년 동안 FIFA랭킹 1~10위 팀의 경우 해당 선수가 전체 A매치의 30%, FIFA랭킹 11~20위 45%, FIFA랭킹 21~30위 60%, 31~50위 75%에 출전해야지만 비자가 발급 가능하다는 것이다. 유럽연합 선수들의 경우 자국 선수로 취급받았기 때문에 별도의 워크퍼밋 발급이 필요 없었다. 하지만 이번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로 유럽연합 선수들이 자국인 자격을 잃게 되면서 그 파장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유럽연합 선수들도 (현행 제도가 유지된다는 전제 아래) 이젠 워크퍼밋 기준을 통과해야지만 프리미어리그에 진출할 수 있는 것이다.

 BBC에 따르면 지난 시즌 프리미어리그에서 활약한 유럽연합 선수들은 모두 432명이었다. 500여명의 프리미어리그 전체 출전 선수들 중 상당수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 중 현행 워크퍼밋 제도에 따라 다시 따져본다면 100명 정도는 취업비자를 받을 수 없다고 한다. 레스터 시티의 우승 주역 은골로 캉테, 웨스트햄의 지난 시즌 최고 선수 디미트리 파예도 워크퍼밋을 받을 수 없다는 가정이 나온다. 캉테와 파예 모두 프리미어리그 진출 시점에서 따졌을 땐 대표로 뛰지 못했거나 중용 받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소급해 다시 따지진 않지만 원칙대로 하면 그렇다는 것이다. 또 현 제도가 유지될 경우 재계약 등에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 제도 개선의 상황은 지켜봐야 하지만 기존 제도로만 보자면 프리미어리그의 유럽연합 선수들의 진출에 적지 않은 변화가 불가피한 것이다.


아시아 선수들의 EPL 진출엔 어떤 영향이

 유럽연합 선수들의 입지가 줄면 남미나 아프리카, 아시아 선수들의 프리미어리그 진출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시선이 있다. 유럽연합 선수들이 내국인 지위를 잃게 되면서 그만큼 준 영입 선수 규모를 다른 대륙 선수들로 채울 것이라는 생각이다. 하지만 이는 꼭 그렇다고는 할 수 없다. 유럽연합 선수들의 빈자리를 타 대륙 선수들로 쉽게 메울 수 있느냐는 현실론과 함께, 유럽연합 탈퇴를 부른 영국의 보수화와 폐쇄성이 유럽연합은 물론 타 대륙 모두에 공통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오히려 보수화되는 사회 흐름 속에서 유럽연합 선수들의 빈자리를 자국 선수와 유망주들로 채우려는 경향이 강해질 수 있다.


한편, 잉글랜드의 축구 스타 데이비드 베컴은 인스타그램을 통해 브렉시트와 관련된 자신의 의사를 밝혔다. 내용은 아래와 같다.

"I'm passionate about my country and whatever the result of Thursday's referendum, we will always be Great. Each side has the right to their opinion and that should always be respected whatever the outcome of the European Referendum. I played my best years at my boyhood club, Manchester United. I grew up with a core group of young British players that included Ryan Giggs, Paul Scholes, Nicky Butt and the Neville Brothers. Added to that was an experienced group of older British players such as Gary Pallister, Steve Bruce and Paul Ince. Now that team might have gone on to win trophies but we were a better and more successful team because of a Danish goalkeeper, Peter Schmeichel, the leadership of an Irishman Roy Keane and the skill of a Frenchman in Eric Cantona. I was also privileged to play and live in Madrid, Milan and Paris with teammates from all around Europe and the world. Those great European cities and their passionate fans welcomed me and my family and gave us the opportunity to enjoy their unique and inspiring cultures and people. We live in a vibrant and connected world where together as a people we are strong. For our children and their children we should be facing the problems of the world together and not alone. For these reasons I am voting to Remain."




Cld8cKpWgAA3LIk.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김선기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위 글에서 알 수 있듯이 베컴은 다양한 선수와 팀에서 뛰었던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며, 하나의 세계를 위해 EU 잔류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브렉시트라는 큰 파도를 만난 영국 축구계는 과연 어떤 방향으로 이 위기를 극복해 나갈 것인지 전 세계가 궁금해 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3기 김선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1978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5937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79424
영화 '닌자 터틀: 뮤턴트 대소동', 이달 14일 개봉 file 2023.09.22 김민곤 6237
영화 '닌자터틀', 닌자 거북이 형제가 그리는 성장 이야기 file 2023.10.01 김민주 5892
영화 '다른 길이 있다', 무엇을 위한 비난인가 1 file 2017.02.22 이세림 16320
영화 '마션'의 현실판... 화성 감자재배 실제로 가능하다? 8 file 2016.02.24 김예지 21907
영화 '미나리' 인기 와중 미국 내 반아시아인 혐오 범죄 발생 2021.03.26 김민주 12792
영화 '미나리', 기생충의 명성을 이어갈까? file 2021.03.29 권나원 15538
영화 '미녀와 야수'와 함께 동심의 세계로! 1 file 2017.03.25 연지원 14606
영화 '범죄도시'에 등장하는 조선족, 그들은 누구인가? 3 file 2017.12.22 김민지 15252
영화 '베테랑'과 '부당거래'는 다르듯 같다. file 2017.12.26 손종욱 16535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의 흥행, 그리고 싱어롱 문화 1 2018.11.28 김수민 20029
영화 '사나: 저주의 아이', 이달 4일 개봉 file 2023.10.01 유영진 6622
영화 '아이 캔 스피크' 부산 프리미어 시사회 2 file 2017.10.12 이주연 19348
영화 '조작된 도시' 평점 조작 의혹 1 file 2017.04.08 김유진 15782
영화 '타이타닉' 20주년 맞아 국내 2월 재개봉 2 file 2018.02.20 김다연 16414
영화 '택시운전사' 누적 관객 수 1000만 돌파, 역대 13위 1 file 2017.09.12 임소은 14860
영화 '택시운전사' 흥행의 비결은? 1 2017.08.25 문경은 14070
영화 '트루먼 쇼'가 다루는 사회적 문제점 1 2020.06.29 유태현 19030
영화 ‘겟아웃’으로 본 국제적 인종 차별 file 2017.06.06 이소미 14622
영화 ‘모아나’를 통해 알아보는 자신의 꿈을 향해 걷는 방법 2 file 2017.02.25 이예인 14247
영화 ‘택시운전사’ 1200만 관객 태우고 흥행중! 1 file 2017.10.30 정예림 14300
영화 ‘피터 래빗’ 시사회 성황리에 개최..허팝·나하은 등 참석 file 2018.05.08 디지털이슈팀 17709
영화 겟 아웃의 나오는 인종차별에 대해 알아보자 1 2020.09.25 김경현 16932
영화 관람 환경이 바뀐다, OTT 서비스의 발전 2020.11.26 이준표 13441
영화 그들이 짜놓은 세상 조작된 도시로 알아보는 가짜 뉴스 1 2017.04.30 장하늘 13291
영화 속에서 과학을 보다, 국립부산과학관 ‘영화 더하기 과학’ 특별기획전 2 file 2017.03.25 김혜진 16299
영화 재심 속에서 우리 사회의 뒷모습을 직면하다 2 file 2017.03.26 박소영 14267
영화'택시운전사'가 알려준 그 시대의 사실들 7 file 2017.08.08 이윤지 18658
영화, `모아나' 논란 10 file 2017.01.25 전인하 19929
영화, 부천시 소향관에서 무료로 보세요. 1 file 2017.02.27 어지원 15384
영화, 환경을 품다. '서울환경영화제' 1 file 2016.05.20 박소희 14109
영화..그리고 청소년 [MOV동아리활동] 10 file 2017.01.30 김윤서 14389
영화관 매출 내리막, 극복할 수 있을까? file 2022.01.24 박예슬 9145
영화관, 공연장 '좌석 띄어 앉기' 해제, 전 좌석 예매 가능 file 2020.11.06 홍재원 14706
영화관이 영화를 선택해준다고? 8 file 2019.12.03 정예람 22222
영화를 통해 환경을 생각하는 '제14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7.06.03 문정호 14354
영화의 기억, 영화 굿즈 스토어 1 file 2020.12.30 이준표 16172
영화전공이 들려주는 2020 OSCAR 이야기 file 2020.05.18 정근혁 13578
예금자보호를 받지 못하는 금융상품도 있을까? file 2017.07.23 박나린 14384
예비 고1, 아무도 알아주지 않은 작지만 거대한 그들의 상처 3 file 2020.12.24 문청현 24101
예비 선교사들, 3월 16일 친목과 교육 가져 file 2016.03.22 최선빈 15732
예쁜 추억을 만들려면 삼척맹방유채꽃밭으로 오세요~! 1 file 2017.04.18 정유진 14190
예산 청소년미래센터 청소년운영위원회 첫걸음 떼다 file 2018.01.24 신다인 14427
예술 작품으로 승화한 몰카의 위험성 6 file 2017.09.15 이현지 14480
예술과 패션의 조화, 2015 S/S 서울 패션위크 file 2014.10.21 박정언 21774
예술인을 위한 복지제도, ‘예술인 창작지원금’은? file 2021.07.06 김민아 14809
예술적인 끼를 마음껏 발산하라, 동부중학생 음악경연대회 1 file 2016.11.07 오시연 15146
예전과 달라진 오늘날의 추석 1 file 2016.09.25 김나연 23472
옛 전남도청, 5.18민주평화기념관으로 문 열다 1 file 2018.07.30 조햇살 184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