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부산행', 왜 변칙행?

by 3기강하윤기자 posted Jul 25, 2016 Views 1699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IMG_20160725_232403.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강하윤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최근 영화 부산행이 박스오피스 1위에 오르는 등 흥행로를 달리고 있다. 더불어 7월 24일 주말 기준 개봉한지 5일 만에 약 530만 명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 수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엔 비판적인 시선으로 바라봐야 하는 부분이 있다. 바로 개봉 전 유료시사회, 변칙 개봉 때문이다. 보통의 영화 시사회는 무료이며, 관객 수가 누적되지 않는다. 하지만 부산행은 개봉 전 주말을 포함한 3일간 유료 시사회를 열어 약 50만 명의 관객을 미리 모은 셈이다.


  변칙 개봉은 먹혔다. 개봉 전 유료시사회로 화제성에 불을 더 붙였고 입소문은 퍼져갔다. 현재 관객 수가 그 효과를 입증해준다. 하지만 편법엔 이면이 있기 마련이다. 변칙 개봉에 반감을 느껴 '부산행' 발걸음을 끊거나 망설이는 사람들을 볼 수 있게 되었다. N 포털 사이트에서 연관검색어로 뜨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부산행' 이라고 치자마자 바로 나오진 않지만. (참고로 이전에도 변칙 개봉 사례가 몇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영화 생태계에 위협을 주었다. 대형영화를 피해 개봉 일정을 잡은 작은 영화들의 상영관은 예기치 않은 '부산행' 변칙 개봉의 습격으로 개봉 첫 주부터 상영관이 줄어들었다. 줄어든 상영관은 상영관의 감소를 더 빠르게 일으킨다. 악순환이 진행되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걱정되는 것들 중 하나가 위와 관련된다. 유료시사회를 통한 변칙 개봉이 보편화 될까 봐 그것이 매우 걱정스럽다. 변칙 개봉이 제재 받지 않는 한 득보는 게 훨씬 더 많으니 '자본이 좀 된다' 하는 영화들은 너도 나도 개봉 전 유료 시사회를 열 것이고, 그렇게 되면 작은 영화들은 숨을 못 쉴테고, 영화 생태계는 파괴될 것이고.


  배급사가 붙인 변칙 개봉 꼬리표에 작품 자체가 평가절하될까 봐도 걱정된다. 뭐 이렇게 걱정하는 게 많을까. 근데 걱정된다. 한국 상업 영화 처음인 좀비물이고, 칸 영화제에 초청도 받은 작품이다. 입소문을 타게 된 것도, 관객이 끊이지 않는 이유도 궁극적으로 영화가 힘을 가졌기 때문이다. 다음은 필자가 걱정하는 상황이다. 희영과 영희의 대화를 들어보자.


영희: '야 부산행 500만 명 넘었대!'

희영: '아 그거 변칙 개봉한 거 '

영희: '응, 어제 봤는데 되게 감동적이ㄷ'

희영: '아 변칙개봉 '

영희: '응, 근데 영화 자체가 재밌긴ㅎ'

희영: '아 변칙 개봉'

영희:


  바로 위와 같은 상황이 걱정되는 거다. 물론 부산행은 영화계에 큰 피해를 입히고 있고, 다음에도 변칙 개봉이 사용될 수 있다는 여지까지 남겼다.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그 때문에 작품 자체를 깎아내리는 건 아니라고 생각된다. 배급사의 무리한 전략으로 그곳에서 배급한 영화에 꼬리표가 붙는다니.  '나무를 보지 말고 숲을 봐라'. 영화 '부산행' 배급사 뉴가 한 번 생각해봐야 할 말인 것 같다.



 또, '부산행'으로 피해를 본 영화들을 생각해보자. 몇 개월, 그 이상 동안 혼신의 힘을 다해 준비하고 제작하고 완성시킨 작품들인데, 그에 비해 스크린에 걸린 시간은 턱없이 짧았다. 이런 영화들 중 한 번 더 생각을 하게 해준다거나 감명을 주는 등 개개인에게 의미 있는 영화가 될 수 있는 것들도 분명히 있을 텐데 그런 작품들이 스크린에 너무나도 짧게 걸린 게 속상하다. 개인적으로 보고 싶어 했던 영화가 있던 사람들은 더 속상할 것 같다.


  '부산행'이 변칙노선을 택해서 달라진 건 무엇이고, '부산행'이 변칙노선을 택하지 않았더라면 무엇들이 달라졌을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3기 강하윤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270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097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4250
'부산행', 왜 변칙행? 1 file 2016.07.25 강하윤 16998
'박근혜는 하야하라!'전국에서 타오르는 열기, 광주 촛불 집회 2 file 2016.11.12 박하연 19564
'바나나맛' 열전,바나나에 반한 식품업계 2 file 2016.05.25 이나현 16045
'미성년자 술,담배 극성, 판매금지 물품 구매 원천은 어디에?' 3 file 2017.09.28 이혜성 19218
'만취해 인천 모텔에서 女 폭행한 20대 남성...알고 보니 현직 경찰관' file 2021.07.01 김혜성 7585
'만 나이 통일법' 시행 3달째...연령 혼동 사라질까 file 2023.09.22 빈나현 5553
'런던 테러' 배후에 선 IS file 2017.03.24 류혜돈 10467
'동유럽'의 전쟁과 '동아시아'의 전쟁 file 2022.02.28 김준기 6052
'독서실', '스터디카페' 코로나19 방역 거대 구멍 1 file 2020.03.31 박지훈 16338
'대한청소년이공계학술연합' 이번엔 국내 유명 청소년 행사인 ‘한국청소년학술대회’ 표절·베끼기 의혹 (종합 2보)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20660
'대통령 탄핵 절대 안돼'... 휘몰아치는 탄핵심판 속 보수의 목소리를 들어보다 4 file 2017.02.22 조윤수 15485
'대선주자 국민면접'문재인, "저는 취업재수생입니다" 1 file 2017.02.18 유미래 15178
'대륙의 실수', 중국 직구족의 번성 1 file 2016.04.19 김도현 18355
'다사다난'했던 2017년, 가장 '빛났던' 청와대 청원 게시판 2 2018.01.02 전세연 11426
'낙태죄 폐지', 우리는 여성의 인권을 쟁취한다 2 file 2018.07.25 양성민 9379
'김제동 만민공동회'와 13차 울산시민대회의 횃불행진 2 file 2017.02.12 서상겸 15579
'김정은식 공포정치' 6년차…또 하나의 희생양 '김정남' file 2017.03.25 소희수 10286
'기생충' 축하로 시작해 '코로나바이러스'로 끝난 수석·보좌관 회의 1 file 2020.02.14 김도엽 8497
'금모으기 운동'은 어떤 운동이었을까? 1 file 2019.01.21 강민성 15113
'국가부도의 날'로 보는 언론의 중요성 3 2018.12.27 김민서 11890
'구지가'로 불거진 논란, 교권침해인가 성희롱인가 file 2018.07.24 최가영 10674
'구멍뚫린' 지역주택조합 file 2017.02.24 박다혜 14141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작지만 큰 배려 1 file 2020.07.27 이도현 8616
'강제징용' 일본의 뻔뻔한 태도 2020.06.10 조은우 8115
'강아지 하늘샷', 동물학대 논란에 휩싸이다 3 file 2018.11.19 신미솔 12713
'ㅇㅇㅇ' 열풍 그 끝은 어디? 5 file 2017.02.25 이다민 15644
'SNS'라는 가면 1 file 2019.03.05 김성철 25318
'n번방' 들어가기만 해도 처벌받는 개정안 추진 중 1 file 2020.03.31 전아린 11465
'Be 정상회담' 청소년이 정책의 한가운데 서는 시간 file 2017.11.01 오주연 12960
'AZ 2차를 모더나로...?' 강릉 주민 40명 오접종 논란 file 2021.09.24 신현우 13727
'5·18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역사'··· 거리로 나온 시민들 file 2019.03.04 김사랑 9563
''우리는 요구합니다'', 스쿨미투 집회 1 file 2019.02.21 안예슬 9995
"함께 손잡고 정의를 되찾자" 삼일절 맞아 서울서 한일합의 무효집회 열려 6 file 2016.03.02 박채원 17439
"학생증 들고 왔다면 돌아가세요"...학생증 신분증으로 인정 안 한 가수 1 file 2023.09.30 이종혁 6916
"피청구인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 3 file 2017.03.11 한지선 12900
"풀 오브 카풀(Full of Carpool)"? 카풀과 택시의 대립 1 file 2018.10.29 김지민 10863
"청정지역" 제주도, 그곳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2020.09.07 서보민 11956
"중국은 조금이라도 작아질 수 없다" 빅토리아,페이까지...대체 왜? file 2016.07.24 박소윤 17821
"정인아 미안해..." 뒤에 숨겨진 죽음으로만 바뀌는 사회 1 file 2021.01.27 노혁진 8259
"자녀 2명 놔두고..." LG디스플레이 직원, 직장괴롭힘 때문에 자살했나 file 2023.05.21 디지털이슈팀 13029
"잊지 않겠습니다" 지난달 16일 안산서 세월호참사 5주기 기억식 열려 file 2019.05.23 황수빈 10482
"우한은 코로나19 기원지 아니다" 다시 시작된 중국의 주장 1 file 2020.11.23 박수영 7623
"우리는 동물 실험을 반대합니다!' 영국 국민들의 바뀌는 태도, 한국이 배워야 할 자세 file 2019.06.14 이채린 15596
"여주인님으로 모신다면.." 미성년자 상대 페이스북 변태행위 심각 15 file 2016.02.22 김현승 156574
"언니야 이제 집에가자" 7만명의 시민들이 만든 일본군 위안부 영화 '귀향' 눈물 시사회 23 file 2016.02.17 고유민 18920
"어르신, 노란조끼 왔어요~" 9 file 2016.02.20 김민지 18305
"앞으로 생리대 뭐 써요?" 아직도 논란이 되는 생리대 해결방안은 file 2017.09.27 한유진 14615
"비타민씨! 남북 공동 번영을 부탁해" 2018.11.16 유하은 138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