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이달의 세계인] '채식주의자' 맨부커상 수상의 주역, 데보라 스미스

by 3기정가영기자 posted Jun 06, 2016 Views 1627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들어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유명세를 타기 시작하며 인터넷 서점에서 3주 연속 베스트셀러 순위 1위를 달리고 있다. 지난달, 영국 맨부커상에서 수상을 한 덕분이다. 노벨 문학상, 공쿠르 문학상과 함께 3대 문학상 중 하나인 맨부커상(Man BookerPrize)은 1969년 영국에서 시작된 문학상으로 영국 연방국가 내에서 출간된 영문 소설 중에서 수상작을 선정한다. 2005년부터 맨부커 국제상(Man Booker Internation Prize)를 추가로 만들었으며 국가와 관련없이 영어로 번역된 최고의 문학 작품에 시상에 한다. 즉 '채식주의자'가 맨부커상을 받기 까지에는 '데보라 스미스(Deborah Smith)'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했다.


 데보라 스미스는 21년 동안 한국에 대해서는 접해본 적 이 없는 영문학도였다. 그녀는 번역가가 되기로 마음을 먹고 영국의 서점에가서 책을 둘러보던 중 이런 생각을 문득 하게 되었다. '한국처럼 부유한 나라면 문학계가 활발할텐데 알려진 작품이 적구나.' 그래서 그녀는 2010년인 스물 한 살때 부터 한국어를 독학하기 시작했다. 한국 소설을 전문적으로 하는 번역가도 턱없이 부족했고, 특히나 그에게 한국어의 미묘한 뉘앙스를 영어로 파악하기에는 너무 벅찼다.


 그녀의 첫 번째 번역은 한국어 공부를 시작한 지 2년째 되어서야 시작했다. 그러나 그 번역은 그녀에게 너무나 불만족스러웠다. 그가 말하기를, "단어를 하나 걸러 하나씩 찾아봐야했던 끔찍한 실력"이었다. 그러나 그는 포기하지 않았고 계속해서 공부를 해나갔다.


 그러던 2012년 한강의 '채식주의자'를 접하게 된다. 처음 번역한 작품을 회사로부터 퇴짜맞고도 다시 도전할 정도로 애착이 강했다. 결국 그의 이러한 집념은 영어로 번역된 비영어권 작품에게 주어지는 맨부커 인터내셜상으로 보상받았다. 맨부커상 선정위원회는 "경이롭다", "이 책이 영어로도 완벽하게 제 목소리를 냈다"며 극찬을 보냈다.


KakaoTalk_20160606_13000419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정가영 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수상 도중 데보라는 "한국엔 세계적 작가들이 많은데 아무도 몰랐다"고 하며 울음을 터뜨렸다. 실제로 우리나라에는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이 많지만 영어로 번역하기에는 한국어의 미묘한 뉘앙스를 잡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상을 못 받는 것이 일쑤였다. 예를 들면 매년 노벨문학상에 거론 되는 시인 고은같은 경우이다. 한국에 대해 잘 알지도 못했던 어느 영국 젊은이였던 데보라의 이번 수상은 한국문학의 문학성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데보라가 맨부커상 수상의 일등공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 3기 정가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전지우기자 2016.06.12 22:13
    데보라의 훌륭한 번역이 맨부커상을 탈 수 잇게 한 것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기자님의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3기정가영기자 2016.06.14 00:18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0249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0002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20931
뿌연 하늘과의 작별은 언제쯤? file 2017.04.25 김용준 13058
나와 가장 생각이 맞는 대통령 후보는 누구일까? '누드 대통령' 서비스를 통해 알아보자 2017.04.25 홍종현 20195
대왕카스테라의 시대는 갔다? 이젠 명량핫도그! 3 file 2017.04.25 정혜교 17358
뇌사=죽음? 1 file 2017.04.25 하영서 18680
도심 속 생태공원을 달리다, 제 14회 태화강 국제 마라톤 대회. 1 2017.04.25 이가현 14293
누가 누구를 조종하는가, '쓰릴미' file 2017.04.25 고다연 15135
제32회 새얼 백일장 성공리에 마무리 file 2017.04.25 이다은 13318
누구나 참여가능한 감동 캠페인, 나의눈이 당신에게 약속합니다 EYE PROMISE YOU 2 file 2017.04.25 김혜원 22458
중국, 상하이에서 절강으로... 2017.04.25 송경아 13398
인형뽑는 기계..? 돈 먹는 기계..? file 2017.04.25 변유빈 15862
빅데이터, 우리 삶과의 연관성 file 2017.04.25 고민경 13715
화재 경보, 그는 양치기 소년인가 1 file 2017.04.25 김대홍 15772
사전투표, 이렇게 한다! file 2017.04.25 이태연 12657
대전국립중앙과학관, 과학체험의 장을 열다. file 2017.04.24 김세영 16412
봄철 나들이 방해꾼 미세먼지 file 2017.04.24 조희경 13462
제주도의 꽃, 성산일출봉 1 file 2017.04.24 손재형 14728
청소년의 '피, 땀, 눈물'은 어디로 갔을까 [청소년 아르바이트] 2 file 2017.04.24 이채은 16361
'미네랄 불균형'에 대해 아시나요? file 2017.04.24 김예인 17988
한국사회와 유럽사회 2 file 2017.04.24 이시온 15302
환경도 지키고 우리 몸도 지키는, EM을 아시나요? 1 file 2017.04.24 안나영 14419
'2017 함평군 농·축협인 한마음 상생대회' 통해 팀원 간 친목 다지기 file 2017.04.24 정상아 14869
국제사회의 리더가 되자, Humanities Research Symposium for Youth! file 2017.04.24 강인주 15222
새로운 팬덤문화의 열풍 2 file 2017.04.24 윤선애 13643
소시지 속 기계발골육, 넌 누구니? 4 file 2017.04.24 김소희 21745
꿈의 나노물질, 그래핀 1 file 2017.04.24 주용권 13035
2017 롤챔스 코리아 스프링 시즌, 막을 내리다. file 2017.04.24 조윤지 15536
2017 제21회 한국 결정 성장 콘테스트에 대하여 file 2017.04.24 유승민 14352
삼성의 야심작 Galaxy S8 무엇이 문제일까 2017.04.24 임유리 14260
"저희 엄마 좀 살려주세요"···대학에서 일어난 만행 2 file 2017.04.24 서상겸 14128
세계 최대 규모 해킹대회 '코드게이트' 성황리에 마무리 3 file 2017.04.23 김지환 19142
약, 어떻게 해야 제대로 먹을까? 4 file 2017.04.23 정다소 16760
경기도 각 학교 대표들의 허심탄회한 만남 ? 학교민주자치역량함양과정 2 file 2017.04.23 최다영 12912
선동이란 무엇인가 4 file 2017.04.23 임재우 16200
울산광역시 중구 성남 청소년 문화의 집 '수학 창의 꿈터' 프로그램 개최 1 file 2017.04.23 최가연 15731
여자> 남자 일수밖에 없다고? 3 file 2017.04.23 김성미 14789
‘장애인의 날’이 무색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개선 시급해... 2 file 2017.04.23 박현규 16352
대전교육청, '제5회 대전학생토론마당' 개최 1 file 2017.04.23 최유라 14062
학교폭력, 다시 한 번 생각해보자. 2 file 2017.04.23 김애란 18133
인형뽑기, 대박보단 빈털터리 되기가 더 쉽다? 2 file 2017.04.23 임수연 15227
트랜스 젠더 화장실, 미래를 향한 발걸음? 아니면 퇴화된 인권? 3 file 2017.04.23 류혜원 16837
지구를 지키기 위한 날, 4월 22일 지구의 날 2 file 2017.04.23 최한수 13285
함평군 4.8 만세운동 재연통해 애국정신을 기르다 file 2017.04.22 정상아 14520
한양의 으뜸 궁궐, 경복궁 file 2017.04.22 임상희 18728
그 달콤함의 유혹 6 file 2017.04.22 장서윤 13601
이바지할 공, 피 혈, 개 견. 공혈견을 아시나요? 1 2017.04.22 장나은 17442
청소년 앱개발 경진대회에 참가하다 4 file 2017.04.22 김민주 16851
매주 주말, 경복궁에 특별한 해설사들이 뜬다! 청소년 문화단 file 2017.04.22 박세은 17680
닭이 벌레인줄 알고 쪼아 먹었던 그림은? 1 file 2017.04.21 홍선의 184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