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비추는 대로 봐야하는가, 언론의 신뢰성 문제

by 3기김영경기자 posted May 25, 2016 Views 163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4월 총선에서 각 후보들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았었다. 국민들은 보도 매체를 통해 후보들의 행보나 여론 조사, 사전 투표 현황을 보고 듣는다. 이러한 언론의 중요한 역할에 비해, 언론의 다소 편향적이고 비본질적인 보도를 통해 ‘국민들의 눈과 귀를 현혹시키는 데에만 매진되어 있는게 아닌가’ 라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 이에 국민들이 접하게 되는 정보들에 있어 비본질적인 것을 여과하는 눈과 비판적인 안목을 길렀으면 하는 바램이다.


 정치인들이나 저명인사들의 실언이나 실수를 집중 보도하여 후보자나 저명인사들에 대한 힐난을 한다. 이러한 언론의 보도형태를 ‘I got you' 우리말로 ’딱 걸렸어‘ 정도의 어감으로 줄여서 가차 저널리즘(gotcha journalism)이라고 불린다. 저명인사들의 실수를 흥미위주로 편집, 집중보도하여 진정한 사안이나 취지에 대해서는 신경쓰지 않으며 과장된 보도를 통해 대중들의 이목을 끄는데에만 바쁘다는 것이다. 네티즌이나 독자로 하여금 그 사람에 대한 비난이나 비호를 주고 받으며 각축을 벌여 대중들의 관심을 끌려는 보도 형태이다. 예를 들어, 작년 9월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주요 당직자 회의에서 김무성 대표와 황진하 사무총장 사이의 대화에서 황 사무총장이 김무성 대표를 ’김일성 대표님을 모시고...‘라는 말실수를 하며 여러 언론사에서 이런 발언을 집중 보도하였다. 이에 네티즌들은 댓글을 통해 황 사무국장의 이 발언에 대해 각축을 벌였다. 이 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정치인들의 제스처나 말더듬을 꼬투리 삼아 집중보도하는 사례들이 있다. 미국 버몬트 주지사, 하워드 딘이 대통령 선거 유세에 대해 언론의 보도가 그의 말실수나 제스처에 집중 보도되며, 유권자들에게 ’딘은 즉흥적이며, 실수가 잦은 사람‘이라는 인상을 남기기도 했다. 이에 언론은 보다 본질적인 내용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독자들의 목소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언론사별 신뢰도.JPG

▲[이미지 출처=대한민국 청소년기자단 3기 김영경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보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원칙 중 에 하나인 신속성. 기사의 가치가 크게 좌우될 수 있는 당락으로도 볼 수 있는 이 신속성 때문에 발생되는 보도의 문제가 있다. 대량의 정보들이 삽시간에 유통되는 이런 ‘빠르게 빠르게‘를 외치는 정보화 사회에서 기사의 시의성은 없어지고, 그저 ’다른 언론사들 보다 빠르게’를 외치고 있다. 진실성이라는 보도원칙이 괄시 되고 있다. 미디어들은 최대한 빠르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진실성이 보장되지 않은 제보성 글이나 정보 제공원에 대한 충분한 검정없이 취재진의 의도나 해석 그대로를 방송에 송출해 내보내거나, 정보제공원의 말을 그대로 옮겨 보도하는 경우가 있다. 핫뉴스(Hot news)가 되기 위한 기자들의 성급함이 이러한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이러한 보도형태를 ‘발표 저널리즘’이라고 부른다. 발표저널리즘은 이러한 사건에 대한 진위여부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언론이 정치집단이나 이익집단에서 악용하는 경우 또한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국민들의 궁금증을 해소한다‘는 목적으로 작성되기엔 파급력이 적지 않다는 이야기이다. 설사 그 정보가 사실이라 할지라도 ’아님말고‘식의 보도가 과연 ’출처가 미지인 찌라시와 다를 바가 있겠는가‘ 라는 생각이다. 기자들이 인용절을 통해 진실성없는 정보를 그대로 보도하고, ’관계자 000씨가 그렇다고 합니다’식의 보도가 책임 전가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2014년 4월 중순에 일어난 ‘세월호 사건’에 대해서도 이러한 언론의 폐해가 국민들이 언론에 대한 불신을 깊어지게 만들었다. 세월호 참사 발생 이후, 언론사들은 잇따라 세월호가 침몰했지만 배에 탑승했던 전원이 생존했다는 오보를 냈다. 이는 해경이 경기 안산 단원 고등학교 사고대책본부에게 전달한 소식을 여과없이 방송에 보도했기 때문이다. 잇따른 정정 보도들 또한 해경의 말을 진위여부를 가리지 않고 그대로 받아 적은 내용들이었다. 이러한 언론의 어처구니없는 부실함은 다음날 까지도 이어졌다. 도착하지도 않은 공기 주입 장치를 공기를 주입중이라는 해경의 말을 그대로 보도하며 국민들의 분노를 샀다. 이러한 언론은 속보경쟁에 휘말리며 진실성을 잃고 국민들에게 불신을 샀다.


 국민들이 선거 보도를 볼 때 각 지역의 경쟁하는 지지율이 비슷한 두 후보의 지지율을 표로 보여주며, 박빙, 탈환, 재탈환 등의 단어를 통해 단순히 선거 현황을 승과 패로 다루는 경우들이 많다. 이를 ‘경마 저널리즘’이라고 부른다. 후보자들의 공약이나 유세 정책등에 대한 설명이나 심층분석, 보도를 거두절미하고 단순히 경마장에서 어느 말이 1등인지만을 집중보도 한다는 말에서 나왔다. 후보자들의 도덕성, 인품 등 본질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이 부족하고, 단지 승패의 여부만으로 독자들에게 서로 지지하는 당 후보에 대한 경쟁을 과열 시키는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라고 볼 수 있다. 이에 언론은 선거 보도에 있어 본질적인 내용을 주로 다뤄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한민국 청소년기자단 사회부 = 3기 김영경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은형기자 2016.05.25 19:35

    신문사별 논조가 다름을 동아리 활동을 통해? 알았습니다. 언론에 대해 냉철한 눈으로 바라보고 비판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정가영기자 2016.05.30 19:34
    최근 책을 읽으면서도 생각해 봤던 문제네요.
    언론의 왜곡, 이미지 조작등 갈수록 언론의 사명과는 멀어지는 듯 해 아쉽습니다.
    기사 잘 봤습니다.
  • ?
    3기이민재기자 2016.06.22 08:57
    언론이 잘못된 사건을 수면 위로 올려주어 국민들의 알 권리를 보장해준다는 큰 장점이 있지만, 여러 사건을 통해 드러난 언론의 부실함은 영향력이 큰 만큼 많이 줄여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언론은 그들의 본질적인 성격을 유지했으면 하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022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870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2136
공영방송의 정상화는 필요할까? 4 file 2017.02.20 이희원 15945
설리 '로리타' 논란…SNS의 시대, 표현의 자유는 어디까지? 5 file 2017.02.20 김도영 19084
통영시 청소년들 만18세 투표권행사 열어 1 file 2017.02.20 김태지 16690
제1268차 정기 수요집회, 소녀의 잊지못할 그 날의 아픔 5 file 2017.02.20 김연우 14687
국정교과서 마지막 결과는? 3 file 2017.02.20 김윤정 15588
트럼프, 한국에 압박을 가하기 시작하다. 1 2017.02.20 유현지 15233
안희정 문재인을 이은 지지율 2위, 그 이유는 ? 4 2017.02.20 김형주 13894
전 세계를 뒤흔든 김정남 독살! 배후는 누구인가? 2 file 2017.02.20 정유리 15395
시민 건강 위협하는 '미끌미끌' 위험한 빙판길 2 file 2017.02.20 이나경 15076
지방의회의 발전, 말라버린 민주주의 치료에 기여할까 1 file 2017.02.19 김현재 15547
예상치 못한 북한의 도발, 우왕좌왕하는 트럼프-아베 2017.02.19 장진향 14464
5년 단임제, 4년 중임제? 임기 개헌에 대한 국민의 목소리 4 file 2017.02.19 정혜정 25604
기세가 무서운 외식비용 원인은? 2 file 2017.02.19 김화랑 15988
특검수사 기간 D-11, 특검 연장을 외치며 시민들 다시 광장으로 file 2017.02.19 김동언 16795
'위안부' 생존자들의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다 3 file 2017.02.19 이다빈 16257
계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인형 뽑기'를 그만둘 수 없는 이유 2 file 2017.02.19 이혜진 19195
기내난동은 이제 그만! 항공보안법 개정안 발의 3 file 2017.02.19 이나희 16817
77분간의 리얼리티 쇼, 트럼프와 언론의 끝없는 전쟁 2 file 2017.02.19 김윤혁 16179
부산구치소 이전 설명회, 시민들의 반발로 무산 1 file 2017.02.19 손수정 16649
'탄핵 지연 어림없다' 광화문을 밝힌 84만 명의 사람들 4 file 2017.02.19 김현수 14952
약국에 가지 않아도 일부 약을 살 수 있다, <안전상비의약품약국 외 판매제도>에 대해서 1 file 2017.02.19 차은혜 20770
기대와 우려속···안철수 전 대표의 '5-5-2 학제 개편안' 2 file 2017.02.19 김정모 16621
혼밥을 아시나요? 16 file 2017.02.19 민소은 20282
폐쇄 위기의 군산 조선소...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시점 1 file 2017.02.19 백수림 15848
‘불이 났어, 기다리지마.’ 14년 전 오늘을 기억하자 9 file 2017.02.18 오시연 17152
헌법재판소 앞, 식지않는 열기 file 2017.02.18 전태경 16839
황교안의 선택... 그 방향은? 3 file 2017.02.18 최우혁 15669
소녀의 눈물은 아직 마르지 않았다 5 file 2017.02.18 정예진 25763
'대선주자 국민면접'문재인, "저는 취업재수생입니다" 1 file 2017.02.18 유미래 15167
한파 속 뒤늦은 '포켓몬고' 출시…'안전 주의보' 4 file 2017.02.18 주용권 17809
오늘도 외로운 추위를 견디는 유기동물 14 file 2017.02.18 김규리 17142
지진, 과연 우리는 안전할까? 4 file 2017.02.18 김재훈 17912
안철수, 대전서 '김밥 같이 드시래요?' 2 2017.02.17 한훤 14701
2월 탄핵 불가능에 촛불이 다시 타오르다! file 2017.02.17 조성모 14390
태극기 집회에서 그들의 정의를 듣다 2 file 2017.02.17 장용민 14641
'정당한 권리'라는 빛에 가려진 '주어진 권리를 성실히 이행해야 할 의무'라는 그림자 3 file 2017.02.17 이우철 15646
솜방망이 처벌로는 동물학대를 막을 수 없다. 8 file 2017.02.17 김해온 31037
이념 전쟁... 이제는 교육 현장에서도 일어나 4 file 2017.02.17 화지원 15197
더불어 민주당 1차 선거인단 모집 시작, 경선의 시작을 알리다. 3 file 2017.02.16 이정헌 15390
특검, 그들은 누구인가? 3 file 2017.02.16 김예진 14831
정부가 만든 AI사태 2 file 2017.02.16 박현지 12609
소녀가 홀로 싸우지 않도록 우리가 함께할게요. 10 file 2017.02.16 안옥주 16630
정치에 참여할 수 없는 사람들 1 2017.02.16 김유진 12945
박근혜 정부는 일본에게 ‘면죄부’를 주고 말았다? 3 file 2017.02.16 김지민 14710
헌법재판소 앞의 사람들 5 2017.02.15 안유빈 16212
양날의 검, 생체 보안 기술 3 file 2017.02.15 김세원 15623
트럼프 대통령의 반이민 행정명령의 또 다른 의도는 없을까? 2 file 2017.02.15 김채원 14413
北, 탄도미사일 발사...동해바다 향해 500km 비행 file 2017.02.15 박천진 247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