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이 달의 세계인]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 파나마 페이퍼를 공개하다.

by 3기정가영기자 posted May 24, 2016 Views 1458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필자는 기사에 앞서 지난 4월 연재를 하지 못한 것에 대해 사과의 말을 드립니다. 이 기사는 지난 4월에 작성되었어야 하는 기사임을 밝힙니다.


 지난 4월,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가 전 세계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일명 '파나마 페이퍼'라고 불리는 조세회피 목록을 대중에 공개했기 때문이다.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The International Consortium of Investigative Journalists, ICIJ)가 공개한 이 자료에는 유명 정치인, 연예인등이 연루되어있어 더욱 파장이 컸다.


 언론에 공개된 바에 따르면, '파나마 페이퍼'란 정치인, 유명인, 지도자 등의 조세회피를 돕기 위한 기밀 자료를 정리해 놓은 것이며, 1977년 부터 2015년까지 수집된 이 자료는 480만 개의 이메일, 100만 개의 이미지, 200만 개의 PDF파일, 32만 장의 문서, 그리고 300만 명에 달하는 데이터 베이스 명단 등 방대한 양에 달했다. 이 문서는 파나마 법률회사 모색 폰세카의 자료였다. 모색 폰세카는 파나마에 위치한 법률 회사이며 지난 40년간 조세회피 의혹을 부인해왔던 것으로 밝혀졌다.


 '파나마 프로젝트'의 시작은 독일의 일간지인 '쥐트도이체차이퉁'으로 밝혀졌다. 가장 먼저 모색 폰세카의 자료를 입수한 쥐트도이체차이퉁은 그 자료들을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에 넘겼다. 그리고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는 1년간 376명의 기자들과 함께 이 자료들을 분석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영국 BBC, 프랑스 Le Monde, 호주 ABC 등이 참가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뉴스타파가 함께했다.


KakaoTalk_20160524_20335759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정가영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가 공개한 파나마 페이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내역으로는 역외 조세 회피 8건, 공직자 175건, 중개인 6건 그리고 주소(건물 등)154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가 일 년동안 실시한 이 프로젝트는 각 국의 유명인, 정치인들의 조세 회피를 폭로하며 많은 사람들에게 제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역외 조세 회피가 직접적인 탈세는 아니지만 세금의 의무를 지키지 못한 것에 대한 책임은 분명히 물어야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 정가영]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980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631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9596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315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504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8913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051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19853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689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052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604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732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564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514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5828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0883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120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140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222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8978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064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469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19817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480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0749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050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8999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195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8885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057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258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638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041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080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637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188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305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8838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1930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128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433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125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309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7933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591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318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299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076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177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368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56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