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요동치는 '불의고리',우리나라는 안전할까?

by 3기황어진기자 posted Apr 26, 2016 Views 2127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Pacific_Ring_of_Fire.png

[이미지 제공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Pacific_Ring_of_Fire.png#/media/File:Pacific_Ring_of_Fire.png]


일본과 에콰도르 강진으로 주목받는 환태평양 조산대, 이른바 불의고리가 심상치 않다.

일본 구마모토 강진 이후 태평양 주변 국가에 강진이 잇따르고 있는데 에콰도르에 이어 바누아투와 통가 그리고 필리핀에도 강진이 연이어 발생하였다.

지진에 이어 화산도 꿈틀거리고 있는데 일본 규슈 아소산이 소규모 분화한데 이어?멕시코의 대표적인 활화산 포포카테페틀산이 폭발한 것이다.

모두 환태평양 조산대 '불의고리'에서 일어난 것이다.

그럼 '불의고리'란 무엇일까?

'불의고리'는 환태평양지진대를 이르는 말로 세계 지진의 90%가 이곳에서 발생한다.

지각판과 대륙판이 만나는 태평양 가장자리에 지각 변동이 활발하기 때문에 지진과 화산 활동이 빈번한 것이다. 발생 빈도 뿐만 아니라 규모도 커서 규모 7.0 이상의 강진 80%가 이곳에서 발생하며 화산의 75%가 이곳에 모여 있다.


일본과 에콰도르의 지진 피해


4월중 '불의고리' 지역에 속한 일본과 에콰도르는 각각 세차례 지진 피해를 입었다.

일본에서는 규슈 구마모토현에서 14일과 16일 각각 6.5,7.3의 강진이 발생했으며, 20일에는 후쿠시마 근해에서 규모 5.6의 지진이 발생했다.

에콰도르에서도 일주일 사이 세차례 지진 패해를 입었는데 17일과 20일 21일에 각각 규모 7.8,6.1,6.0의 지진이 강타했다.

연이은 강진으로 현재까지 일본에서는 6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고 에콰도르에서도 587명이 숨지고 8340명이 다쳤으며 무너진 집과 건물도 2000여 채에 달한다고 한다.

뜻하지 않은 재난으로 수 많은 이재민들은 전기와 수도가 끊긴 부서진 집이나 거리에서 잠을 자며 약간의 음식과 담요 등 구호 물품에 의존하며 하루하루 공포 속에서 떨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지진 안전지대?


한반도가 지진이 빈번하지 않고 지각판 한가운데 위치해 있지만 근처에서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그 여파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얼마전 일본에서 발생한 지진은 우리나라 일부 지역에서도 진동을 느끼면서 우리나라가 과연 지진으로부터 안전한지 의문이 커진 상태이다.

우리나라에는 올 해들어서 지난 17일까지, 규모 2.0.이상 지진이 17차례 발생해 지난해 같은 기간 11차례보다 많았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진원지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고 불의고리와는 200km 떨어져 있어 그 여파는 강해야  5.0∼5.5 정도로 예상하고 있지만 사실 정말 5.0 정도의 지진이 우리나라 인근에서 발생한다면 정말 큰 재앙이 아닐 수 없다.

지진에 대한 우려는 커졌지만 별다른 대처법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가장 중요한 지진 대처교육이 반드시 필요하겠고 지진 대비조치로 민간주택,교량,터널 등의 내진 설계 보강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겠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3기 황어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온라인뉴스팀 2016.04.28 03:49
    (댓글) 3기홍준영기자

    정말 겁나네요!!
    우리나라라고 지진에 언제까지 안전할 수 는 없잖아요
    앞으로 더욱 내진설계를 따르는 건축으로 안전을 위해야 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
    3기이서연기자 2016.04.28 18:40
    5월은 여행을 많이 하는데 걱정 되요^^
    모두 안전 여행 하세요^^
  • ?
    3기전지우기자 2016.05.01 23:57
    우리나라는 강도 4.5 정도만 되도 건물에 타격이 갈 정도로 내진설계에 신경을 쓰지 않은 건물이 많다고 들었는데 앞으로는 내진설계를 튼튼히 한 건물이 많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세계가 지진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 ?
    6기김나림기자 2016.05.12 18:35
    우리도 일본처럼 내진 설계가 잘 되어있으면 좋겠고 지진으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방법을 찾았으면 좋겠습니다!
  • ?
    3기김윤정기자 2016.05.22 12:01
    더이상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ㅠㅠ ..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333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083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3953
이재명 與 후보, 위성정당 방지법 추진할 것 1 file 2021.11.17 고대현 13721
심상정·안철수, 다시 한번 서게 된 '선택의 기로' file 2021.11.16 김희수 13593
공급망 병목현상에 이어 전력난, 요소수 부족까지… 국내기업 “긴장” file 2021.11.10 윤초원 8588
이란, 핵 합의 복귀 밝혀, 이란과 미국 간 악연의 시발점은 어디인가? file 2021.11.08 권강준 9931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윤석열 전 검찰 총장 file 2021.11.08 송운학 8485
윤석열, 전두환 전 대통령 옹호에 이은 '개 사과' 논란에 이 지사 "한국판 홀로코스트 법 제정해야" file 2021.11.04 이도형 7502
국민의힘 경선 투표율 50% 이상 달성, 역대 최고치로 전망 file 2021.11.04 이승열 6927
국가를 이끄는 힘! 정치구조와 정부 비교, “한국과 중국의 정치구조” file 2021.10.29 권나연 11378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6334
'오커스'가 도대체 뭐길래.. 프랑스 왜 뿔났나 file 2021.10.28 조지환 5594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8600
IMF, 세계경제전망 발표… 한국 경제는 선방하는 중 file 2021.10.18 엄태우 9229
경기도지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20대 대통령 후보로 확정 file 2021.10.15 고대현 6973
더불어민주당 2022년 대선 후보, 이재명 후보로 지명 file 2021.10.12 이승열 10378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7764
끝나지 않는 가슴 아픈 종파 싸움, 시리아 내전 file 2021.09.30 류채연 7173
2022년 대선, 국민의힘에선 누가 대선주자가 될까? file 2021.09.30 이승열 7384
역전을 노린다! 국민의힘 '추격자들'의 6인 6색 토론 전략 2021.09.30 김희수 11485
헝다그룹, 유동성 위기 극복 기대난 file 2021.09.29 윤초원 7529
홍콩 국가보안법 발의 이후 변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21.09.28 이원희 7522
끝나지 않은 전쟁, 미국은 왜 아프가니스탄을 떠났나 file 2021.09.27 강도현 10109
'제33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개최 file 2021.09.27 이지은 7397
2주 남은 국민의힘 2차 컷오프 경선, 최후의 4인은 누구 file 2021.09.27 윤성현 10229
격해지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유승민 전 의원의 표절 공방 file 2021.09.27 송운학 9881
문재인 대통령 임기 중 마지막 유엔 연설 file 2021.09.27 최서윤 7051
탈레반 정권 장악: 아프간 경제 파탄 위기 file 2021.09.24 황호영 6938
'AZ 2차를 모더나로...?' 강릉 주민 40명 오접종 논란 file 2021.09.24 신현우 13912
미국에서 1개월 동안 '어린이 감염자'가 4배 이상 증가 file 2021.09.23 안태연 9863
2022년 차기 대선, 20대의 '보수화' file 2021.09.23 김준기 6813
홍준표 32% 윤석열 25% ‘무야홍’ 실현되나 야권 대선주자 선호도 1위 역전한 洪 file 2021.09.16 이도형 8220
필리핀 코로나 상황 속 한국 교민들 file 2021.09.14 최윤아 7106
정부 '위드 코로나' 본격 검토 2021.09.14 안서연 11671
위협받는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의 인권 file 2021.09.03 이가빈 6983
[PICK] 중국 기업 CEO들의 대거 사퇴.. 중국의 자유시장 위협받다 file 2021.09.02 이성훈 250228
아프간 난민 수용에 대해 갑론을박..앞으로의 추가적인 난민 수용은? file 2021.09.01 이승열 9238
뜨거운 감자 기본소득제, 정말 불가능한 정책일까? file 2021.09.01 최서윤 7311
"부르카 안 썼다고 총살" 또다시 여성 인권 암흑기 접어드나 file 2021.08.31 양연우 7651
모든 코로나에 대적할 슈퍼항체를 발견하다 file 2021.08.27 유예원 11318
코로나19, 중국은 회복 중? file 2021.08.27 강민지 6831
[PICK] 델타 변이 바이러스, 한명 당 평균 9명에게 전파 file 2021.08.27 김해린 126856
국민의힘, 부동산 투기 의혹 제기된 의원 1명 제명, 5명 탈당 요구 조치 file 2021.08.27 송운학 7951
더불어민주당, 野의 만류에도 언론중재법 단독 통과 실현되나 file 2021.08.27 고대현 7521
중국인들 한국 부동산 매입 비율 62.5%...원인은? file 2021.08.26 성현수 6516
법무부, '로톡'-'변협' 갈등 중재에 나서나… file 2021.08.26 오정우 6199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7569
공급 차질로 빚어진 불확실한 접종 시기.. 재조정 들어갈까? file 2021.08.26 백정훈 9736
정부, ‘위드 코로나’ “9월 말 이후 검토”... 일상 회복의 신호탄 될까 file 2021.08.23 김은수 6822
벤앤제리스, 이스라엘 서안지구에 아이스크림 판매 중단해 file 2021.08.23 고은성 88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