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들썩이는 불의 고리, 지진 대처법은?

by 3기김정현기자 posted Apr 26, 2016 Views 1514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Sketch24013752.jpg



[이미지 제공=반송 중학교 3학년 김xx 학생]

4월 16일 목요일, 일본 구마모토 에서 규모 7.3의 큰 지진이 일어났다. 사망자는 수십 명. 무너진 건물들과 망연자실한 주민들의 표정에서 지진의 참혹함이 엿보였다. 지진은 한 번으로 그치지 않았다. 주민들은 불안함과 고통을 호소했다. 그러나 이 지진은 시작일 뿐이었다. 4 17일 금요일, 에콰도르에서 규모 7.4의 지진이 발생했다. 600명 이상의 어마어마한 수의 사망자를 낸 비극적인 지진이었다. 이렇듯 두 번씩이나 연달아 일어나는 지진에 소위 불의 고리라 일컫는 환태평양 지진대가 1960년 대 8.5 규모의 강진 이후 다시 한 번 기지개를 펴고 있다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다. 앞선 두 지진을 포함한 여러 번의 지진이 더 큰 지진의 전조일 것이라는 주장이다. 우리나라는 불의 고리에서 살짝 벗어난 지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여태까지 큰 지진 피해는 없었지만, 역시 불의 고리에 가까운 지역이기도 하기 때문에 마냥 안심하고 있을 수는 없는 상황이다. 자주 지진이 일어나는 일본과 달리, 한국에서는 지진이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지진에 대한 대처 법이 잘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만약 지진이 일어난다면 더 큰 피해가 발생할 수 도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지진이 일어났을 때의 대처 법은 무엇이 있을까.


우선 야외에 있는 경우와 실내에 있는 경우 두 가지로 나눌 수 있겠다. 일반적으로는 실내에 있는 것이 안전하다고 간주하기는 하나 우리나라의 건물은 내진 설계가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건물이 무너져 내릴 경우 매우 위험할 수 있다. 만약 실내에 있다면 우선 가방이나 쿠션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는 것이 최선이다. 폭발의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 가스 밸브를 잠그는 것도 중요하다. 언제라도 대피할 수 있게 비상구를 열어두는 것도 좋다. 문짝이 떨어져 벽에 대각선 모양으로 기대게 된다면 벽과 문, 바닥 사이에 삼각형 모양의 공간이 생기는데, 상대적으로 숨어있기에 안전한 장소라고 한다. 만약 실내가 아닌 실외에 있다면 우선 주변에 무너져 내릴만한 건물이나 구조물이 없는 곳을 찾아야 한다. 운동장과 같은 넓은 곳이 적합하다.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길어야 몇 분이니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진이 멈춘 뒤에도 안심해서는 안 되고 여진에 대비해야 한다.

미리 조심해서 나쁠 것은 없는 것처럼, 지진 시 대처 법을 국민들에게 숙지시키고 지진에 미리 대비하는 것이 시급하

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3기 사회부 김정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윤정기자 2016.05.22 12:00
    대처방안을 꼼꼼히 읽어보았어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기사 잘 읽었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682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340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6556
우리가 GMO식품을 매일 먹고 있다고? file 2019.03.29 이연우 19600
4차 산업혁명···기계들이 꿰차버릴 일자리? 4 file 2017.02.03 박혜신 19619
간호사들의 악습, '태움 문화' 1 file 2018.03.02 김고은 19648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19654
우리 사회의 문제, 평균 결혼 연령 상승의 원인은? file 2019.05.07 서민영 19657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19677
미리 보는 2022 대선, 차기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조사분석! 2020.11.25 김성규 19699
흉물속의 리그 file 2016.10.23 한종현 19703
슬럼 투어리즘, 어떻게 봐야 하나 file 2019.05.07 이채빈 19764
'박근혜는 하야하라!'전국에서 타오르는 열기, 광주 촛불 집회 2 file 2016.11.12 박하연 19766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19786
서울대, 잇단 성추문에 몸살 24 file 2017.01.12 이승욱 19798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19817
지방 인프라 부족 현상, 이대로 보기만 할 수 없다 3 file 2019.02.18 김지현 19827
글로벌 여성 인권대사 2기, 그 화려한 막을 내리다 15 file 2016.02.10 이유수 19838
이례적인 공약...문재인 동물을 말하다 1 file 2017.02.24 정무의 19843
장애인 복지와 인권, 그 이상과 현실 4 file 2017.02.01 최서영 19888
등교시 단정한 교복.. 저희에겐 너무 답답해요 4 file 2016.03.24 박나영 19890
정부세종청사 통근버스, 줄줄 새는 혈세 7 file 2016.02.24 정현호 19912
교복이 마음에 드나요? 10 file 2016.04.03 유승균 19982
주인 없는 길고양이들.. 밥은 언제 먹나요? 5 file 2016.03.24 김보현 19985
청소년들의 흡연 file 2014.07.30 1645 19987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012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027
우리나라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해외 사례로는 무엇이 있을까? 2 file 2019.04.24 최민영 20041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066
대만의 장세스, 그는 과연 영웅인가 살인자인가 file 2017.02.22 이서진 20082
커피 값으로 스마트폰을 사다?! 11 file 2016.02.20 목예랑 20083
언어는 칼보다 강하다 2014.07.27 박사랑 20093
트럼프 보호무역주의, 어떤 영향이 있을까? 2017.02.24 김태욱 20126
포항공항- 주민들과의 오랜 갈등 빚어…… 2 file 2016.08.21 권주홍 20139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141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20169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201
선거구 획정안, 국회는 어디로 사라졌나? 13 file 2016.02.07 진형준 20203
서울대 치대, 전원등록포기? 4 2016.03.08 임은석 20267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269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20282
업사이클링?, 업사이클링 인지 정도에 대해... file 2019.06.17 김가희 20288
다시 보는 선거 공약... 20대 국회 과연? 1 file 2016.04.24 이예린 20305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323
권리는 없고 의무만 가득한 ‘19금’선거권 4 file 2017.02.05 최은희 20393
동탄 메타폴리스 화재, 인명 피해까지 발생해 3 file 2017.02.06 이채린 20394
노랑나비, 위안부 할머님들을 위해 날다. 1 file 2016.03.24 강민지 20417
버스 정류장이 금연 구역이라고요? 2 file 2018.08.10 남지윤 20420
[오피니언] 모든 병의 근원! 흡연!!! 2014.07.27 전민호 20427
숨겨주세요, 여성용 자판기 2 file 2016.08.25 김선아 20431
혼밥을 아시나요? 16 file 2017.02.19 민소은 204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