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중학교 자유학기제 올해부터 전면시행, 작년 학생들의 반응은?

by 3기김현승기자 posted Apr 24, 2016 Views 1783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683-805 울산 북구 두부곡1길 9 (울산 북구 연암동 378) (연암동, 중앙도서관)

2013년 연구학교로 지정된 학교들을 시작으로 2014년과 2015년 희망학교들의 시행을거쳐 2016년 전국의 모든 중학교에서 시행된 자유학기제는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동아리를 만들고 직접 진로탐색도 할수있는 프로그램이다.


연구학교를 지정하여 시행한 2013년 당시 두학기 시험 치던것을 한학기로 줄이면 시험을 치지않는동안 피아노, 기타, 체육같은 취미활동이 아닌 사설 학원을 다니며 공부를 할수있다는 우려와 학습을 게을리 하게 될수있다는 의견 그리고 중학생때부터 빨리 꿈을 찾아 그 꿈을 위해 노력하는것이 당장 공부해서 시험을 잘치는것보다 더 좋다는 의견으로 나뉘었었다.


일부학교에서 이 자유학기제를 시행했더 작년, 직접 자유학기제를 경험해본 학생들의 의견을 들어보기위해 2013년부터 시범학교로 지정되었다는 울산 연암중학교 주변에 위치한 중앙도서관으로 향했다.


untitled.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 3기 김현승기자]


도서관엔 예상과같이 시험공부를 하는 중,고등학생이 많았고 예상외로 30대이상의 중장년층도 열심히 공부중이었다.


인터뷰도중 올해 입학한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만나게되었다. 분명 올해부터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한다했는데 왜 중학교 1학년이 시험공부를하러 도서관에 왔냐고 물어보니 2학기부터 한다고했다. 그는 약간의 자유학기제에대한 기대감이 있었다.


두번째 인터뷰는 현재 중학교 2학년이고 작년에 자유학기제를 학교에서 했다고 말했다. 원래 자동차와 관련된 꿈을 가지고 있었고 자유학기제가 동아리활동도 하며 친구와 재미있게 지낼수있어서 좋았다고 했다. 하지만 활동이 다양하지 못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세번째 인터뷰도 역시 현재 중학교 2학년이고 작년에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학생이었다. 이학생도 원래 과학과 관련된 꿈이 있었고 과학과 관련된 동아리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중에 존재했다고했다. 하지만 과학과 관련된 부분이라 하고싶었던 친구들이 많았고 본인은 동아리에 떨어졌다고했다. 그는 자유학기제에대한 지적을 하면서 미리 학교측에서 동아리를 만들어놓고 동아리 부원을 모집하는게 아니라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의견을 충분히 들어본후 학교측에서 동아리와 프로그램을 모집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마지막 인터뷰역시 작년에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올해 중학교 2학년 학생이었다. 그는 자유학기제 전부터 꿈이있었고 자유학기제가 본인의 꿈을 키워가는데 크게 도움이 된건 없다고했다. 친구들끼리 그냥 노는것같이 느껴져서 얻는것과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했다.


학생들은 자유학기제가 놀수있고 꿈을 찾을수있어서 재미있긴 하지만 아직 완벽하게 자리잡지 못했다는 생각을 가지고있었다. 또한 학생수는 많은데 동아리와 프로그램은 한정되어있다보니 자신의 꿈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신청하지 못해서 아쉽다는 생각또한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3기 김현승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혜린기자 2016.05.15 20:53
    자유학기제에 대한 의견이 다양하네요! 중학생 때부터 빨리 꿈을 찾아 좋을 수도 있겠지만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못해 그냥 노는 것 같이 느껴지며 학습을 게을리 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자유학기제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잘 운영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장서윤기자 2016.05.18 16:01
    저희 학교는 작년 부터 한 학기씩 자유학기제를 시행하는 방향으로 시작되었는데요.
    기사내용처럼 학생들이 한 학기동안 자신의 진로 방향을 찾을 수 있으면서도, 학습에는 조금 게을러지는 모습을 보였던 것 같네요.. 앞으로 개선되어 더 좋은 자유학기제가 되길 바랍니다.
    좋은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김윤정기자 2016.05.22 11:48
    2016년부터 모든학교가 시행되었다니! 올해 고등학생이 된 저로서는 조금 아쉽네요 ㅠㅠ 자유학기제 해보고 싶었는데! 장점과 단점이 뚜렷해서 좋다 나쁘다 말하지는 못하겠지만 경험해보고싶긴하네요 ㅎㅎ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792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447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7611
우리가 GMO식품을 매일 먹고 있다고? file 2019.03.29 이연우 19619
4차 산업혁명···기계들이 꿰차버릴 일자리? 4 file 2017.02.03 박혜신 19631
간호사들의 악습, '태움 문화' 1 file 2018.03.02 김고은 19658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19667
우리 사회의 문제, 평균 결혼 연령 상승의 원인은? file 2019.05.07 서민영 19675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19689
흉물속의 리그 file 2016.10.23 한종현 19720
미리 보는 2022 대선, 차기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조사분석! 2020.11.25 김성규 19725
'박근혜는 하야하라!'전국에서 타오르는 열기, 광주 촛불 집회 2 file 2016.11.12 박하연 19782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19797
슬럼 투어리즘, 어떻게 봐야 하나 file 2019.05.07 이채빈 19804
서울대, 잇단 성추문에 몸살 24 file 2017.01.12 이승욱 19809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19835
지방 인프라 부족 현상, 이대로 보기만 할 수 없다 3 file 2019.02.18 김지현 19839
글로벌 여성 인권대사 2기, 그 화려한 막을 내리다 15 file 2016.02.10 이유수 19845
이례적인 공약...문재인 동물을 말하다 1 file 2017.02.24 정무의 19859
등교시 단정한 교복.. 저희에겐 너무 답답해요 4 file 2016.03.24 박나영 19904
장애인 복지와 인권, 그 이상과 현실 4 file 2017.02.01 최서영 19905
정부세종청사 통근버스, 줄줄 새는 혈세 7 file 2016.02.24 정현호 19925
교복이 마음에 드나요? 10 file 2016.04.03 유승균 19987
주인 없는 길고양이들.. 밥은 언제 먹나요? 5 file 2016.03.24 김보현 19995
청소년들의 흡연 file 2014.07.30 1645 19999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023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034
우리나라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해외 사례로는 무엇이 있을까? 2 file 2019.04.24 최민영 20059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080
커피 값으로 스마트폰을 사다?! 11 file 2016.02.20 목예랑 20096
대만의 장세스, 그는 과연 영웅인가 살인자인가 file 2017.02.22 이서진 20097
언어는 칼보다 강하다 2014.07.27 박사랑 20109
포항공항- 주민들과의 오랜 갈등 빚어…… 2 file 2016.08.21 권주홍 20149
트럼프 보호무역주의, 어떤 영향이 있을까? 2017.02.24 김태욱 20151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160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20180
선거구 획정안, 국회는 어디로 사라졌나? 13 file 2016.02.07 진형준 20207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216
서울대 치대, 전원등록포기? 4 2016.03.08 임은석 20278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280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20300
업사이클링?, 업사이클링 인지 정도에 대해... file 2019.06.17 김가희 20302
다시 보는 선거 공약... 20대 국회 과연? 1 file 2016.04.24 이예린 20315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337
동탄 메타폴리스 화재, 인명 피해까지 발생해 3 file 2017.02.06 이채린 20400
권리는 없고 의무만 가득한 ‘19금’선거권 4 file 2017.02.05 최은희 20415
노랑나비, 위안부 할머님들을 위해 날다. 1 file 2016.03.24 강민지 20423
버스 정류장이 금연 구역이라고요? 2 file 2018.08.10 남지윤 20431
[오피니언] 모든 병의 근원! 흡연!!! 2014.07.27 전민호 20443
숨겨주세요, 여성용 자판기 2 file 2016.08.25 김선아 20452
혼밥을 아시나요? 16 file 2017.02.19 민소은 205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