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세월호 참사 2주기 세월호가 한국 정치에게 묻는다.

by 3기기자이강민 posted Apr 22, 2016 Views 1685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세월호 참사 2주기 여러 곳곳에서 희생자들 추모와 애도 잇달아..

2년이라는 시간 지났지만 큰 변화없는 안타까운 실상..리본.jpg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팔찌, 리본고리, 스티커 등 (이미지 촬영=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이강민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16년 4월 16일은 세월호 참사(희생자) 2주기가 되는 날이다.

 이에따라 광화문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선 세월호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추모하자는 의미에서 많은 행사가 열리고 있다.


 2014년 4월 16일 수학여행을 떠나는 단원고 학생들의 부푼 설렘을 안고

 제주도로 출항한 세월호는 오전 9시 갑자기 바다 한 가운데 멈추었다.

 그 후 배는 선수만 남긴 채  바다 속으로 모습을 감추었다.

 304명의 목숨이 사라지는 데 걸린 시간은 불과 두 시간 남짓이었다.

 이 후 구조작업이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9명의 육신이 가족 품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참사 직후 유가족과 국민들의 요구는 세월호 침몰에 대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였다.

 박근혜 대통령 역시 유가족 앞에서 이를 약속하였다.

 이후 2년이 지났고 그 사이 많은 일이 일어났지만 큰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유가족들이 요구한 특별법과 시행령은 여전히 엉망이고 애써서 만든 특별조사위원회 역시

 전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이 약속한 사고 진상규명은 시작조차 하지 못했고 세월호의 진실은 아직까지

 바다 깊이 묻혀있다. 이 과정에서 '세월호 침몰 사고'는 '세월호 참사'로 바뀌었다.

 배 안에 있는 학생들에겐 가만히 있으라 라는 명령을 남기고 가장 먼저 탈출한

 선장과 선원에 대한 처벌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통령을 비롯한 국회의원들도 유가족들과의 공감을 전혀 이끌어내지 못했으며

 유가족들과 이를 지켜보는 국민들의 속마음만 까맣게 타들어 가고 있을 뿐이었다.


 박근혜 대통령은 국민 안전을 국정 기본 원칙으로 제시해왔다.

 그 원칙이 정말 원칙다우려면 예산과 인력으로 안전행정을 뒷받침 해야한다.

 그래야 문자 그대로 명과 실이 부합하는 즉 '명실상부한 지침'이 된다.

 그런데 말의 원칙은 실행의 무능으로 나타났다. 안전예산은 되레 줄어들었고

 안전관련 자리는 기피 부서가 되고있다.


 세월호 참사 이후 대응에서 보았 듯 박근혜 대통령의 스타일의 안전은

 '종이호랑이'라는 말처럼 허상에 불과했던 셈이다.

 그동안 박근혜 대통령이 고수해오던 원칙 이미지는 세월호 참사로 인해

 '안전행정' 이 무너지면서 무능한 행정가라는 비판을 듣기도 했다


 세월호 참사에 대해 야당(당시 새정치민주연합)의 대응 역시 한없이 무기력했다.

 그들이 외친 "정부의 초기 대응이 부실했다", "안전 행정이 사실상 부재했다" 라는

 점은 야당이 지적하지 않아도 생방송을 통해 충분히 확인되는 사실이었다.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을 반복해서 외치는 것보다 수권 정당답게 구체적인 사실을 찾아내

 문제의 본질을 정확히 파악하여 유가족들과 국민들의 공감을 일으켜야 했다.


 그렇게 유가족들과 국민과의 공감을 일으켜 신뢰를 확장했어야 했지만 그렇게 하지 못했다.

 실제로 세월호 참사의 관재 측면이 드러난 것은 희생자와 실종자 유가족들의 항의, 희생된

 단원고 학생들의 휴대전화 동영상이었다.

 이렇게 여당과 야당의 싸움이 계속될 동안 한순간 가족을 잃은 유가족들과 이를

 지켜보는 국민들의 슬픔만 더욱 커져갔다.


 세월호 참사는 다시 생각해도 정말 안타까운 사고이다. 많은 새싹들이 하루 아침에 물 속으로

 사라져야 했던 다시는 일어나선 안되는 일이다. 위에서 계속 언급했 듯 물론

 해양사고였지만 기업의 탐욕, 행정의 무능 등으로 사고의 규모가 점차 확장되어 갔다는 점도

 결코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1년 후에도 10년 후에도 우리는 분명 세월호를 만나게 될 것이다.

 혹시라도 작은 기적이 일어나 유가족들의 요구가 이루어진다 해도

 세월호는 우리 곁을 떠나지 않을 것이다.

 그때 우리가 다시 만날때에는 많은 대표자들과 기관들의 과오가 재발하지 않도록,

 다시는 우리 아이들이 다치고 상처 받지 않도록 '노란색 리본'이 아닌 '노란색 안전띠'를

 매어줄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


 바쁜 일상과, 거짓된 욕망, 섣부른 패배의식으로 세월호를 덮어버리려 한다면

 세월호에서 시작된 비명은 결코 우리 곁을 떠나지 않을 것이다.

 304명의 안타까운 목숨과 수천명의 유가족과 시민들이 흘린 눈물이

 사리지지 않도록 우리는 세월호를 영원의 시간에 새겨야 한다.


 꼭 잊지말고. 그날의 사고를 기억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 3기 이강민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현승기자 2016.04.24 19:47
    세월호를 추모하는건 개인의 자유지만 정치화는 제발 안됐으면합니다
  • ?
    3기김윤정기자 2016.05.22 11:42
    앞으로 다시는 이런 사고가 일어나지 않길 바랍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852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505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8179
공영방송의 정상화는 필요할까? 4 file 2017.02.20 이희원 16131
설리 '로리타' 논란…SNS의 시대, 표현의 자유는 어디까지? 5 file 2017.02.20 김도영 19293
통영시 청소년들 만18세 투표권행사 열어 1 file 2017.02.20 김태지 16940
제1268차 정기 수요집회, 소녀의 잊지못할 그 날의 아픔 5 file 2017.02.20 김연우 14897
국정교과서 마지막 결과는? 3 file 2017.02.20 김윤정 15789
트럼프, 한국에 압박을 가하기 시작하다. 1 2017.02.20 유현지 15434
안희정 문재인을 이은 지지율 2위, 그 이유는 ? 4 2017.02.20 김형주 14074
전 세계를 뒤흔든 김정남 독살! 배후는 누구인가? 2 file 2017.02.20 정유리 15599
시민 건강 위협하는 '미끌미끌' 위험한 빙판길 2 file 2017.02.20 이나경 15247
지방의회의 발전, 말라버린 민주주의 치료에 기여할까 1 file 2017.02.19 김현재 15800
예상치 못한 북한의 도발, 우왕좌왕하는 트럼프-아베 2017.02.19 장진향 14658
5년 단임제, 4년 중임제? 임기 개헌에 대한 국민의 목소리 4 file 2017.02.19 정혜정 25790
기세가 무서운 외식비용 원인은? 2 file 2017.02.19 김화랑 16162
특검수사 기간 D-11, 특검 연장을 외치며 시민들 다시 광장으로 file 2017.02.19 김동언 17023
'위안부' 생존자들의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다 3 file 2017.02.19 이다빈 16447
계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인형 뽑기'를 그만둘 수 없는 이유 2 file 2017.02.19 이혜진 19387
기내난동은 이제 그만! 항공보안법 개정안 발의 3 file 2017.02.19 이나희 16993
77분간의 리얼리티 쇼, 트럼프와 언론의 끝없는 전쟁 2 file 2017.02.19 김윤혁 16354
부산구치소 이전 설명회, 시민들의 반발로 무산 1 file 2017.02.19 손수정 16844
'탄핵 지연 어림없다' 광화문을 밝힌 84만 명의 사람들 4 file 2017.02.19 김현수 15113
약국에 가지 않아도 일부 약을 살 수 있다, <안전상비의약품약국 외 판매제도>에 대해서 1 file 2017.02.19 차은혜 20988
기대와 우려속···안철수 전 대표의 '5-5-2 학제 개편안' 2 file 2017.02.19 김정모 16774
혼밥을 아시나요? 16 file 2017.02.19 민소은 20511
폐쇄 위기의 군산 조선소...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시점 1 file 2017.02.19 백수림 16030
‘불이 났어, 기다리지마.’ 14년 전 오늘을 기억하자 9 file 2017.02.18 오시연 17335
헌법재판소 앞, 식지않는 열기 file 2017.02.18 전태경 17018
황교안의 선택... 그 방향은? 3 file 2017.02.18 최우혁 15838
소녀의 눈물은 아직 마르지 않았다 5 file 2017.02.18 정예진 26061
'대선주자 국민면접'문재인, "저는 취업재수생입니다" 1 file 2017.02.18 유미래 15346
한파 속 뒤늦은 '포켓몬고' 출시…'안전 주의보' 4 file 2017.02.18 주용권 18015
오늘도 외로운 추위를 견디는 유기동물 14 file 2017.02.18 김규리 17343
지진, 과연 우리는 안전할까? 4 file 2017.02.18 김재훈 18188
안철수, 대전서 '김밥 같이 드시래요?' 2 2017.02.17 한훤 14881
2월 탄핵 불가능에 촛불이 다시 타오르다! file 2017.02.17 조성모 14591
태극기 집회에서 그들의 정의를 듣다 2 file 2017.02.17 장용민 14891
'정당한 권리'라는 빛에 가려진 '주어진 권리를 성실히 이행해야 할 의무'라는 그림자 3 file 2017.02.17 이우철 15862
솜방망이 처벌로는 동물학대를 막을 수 없다. 8 file 2017.02.17 김해온 31279
이념 전쟁... 이제는 교육 현장에서도 일어나 4 file 2017.02.17 화지원 15492
더불어 민주당 1차 선거인단 모집 시작, 경선의 시작을 알리다. 3 file 2017.02.16 이정헌 15585
특검, 그들은 누구인가? 3 file 2017.02.16 김예진 14999
정부가 만든 AI사태 2 file 2017.02.16 박현지 12825
소녀가 홀로 싸우지 않도록 우리가 함께할게요. 10 file 2017.02.16 안옥주 16865
정치에 참여할 수 없는 사람들 1 2017.02.16 김유진 13139
박근혜 정부는 일본에게 ‘면죄부’를 주고 말았다? 3 file 2017.02.16 김지민 14908
헌법재판소 앞의 사람들 5 2017.02.15 안유빈 16435
양날의 검, 생체 보안 기술 3 file 2017.02.15 김세원 15778
트럼프 대통령의 반이민 행정명령의 또 다른 의도는 없을까? 2 file 2017.02.15 김채원 14640
北, 탄도미사일 발사...동해바다 향해 500km 비행 file 2017.02.15 박천진 249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