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세월호 참사 2주기 세월호가 한국 정치에게 묻는다.

by 3기기자이강민 posted Apr 22, 2016 Views 1663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세월호 참사 2주기 여러 곳곳에서 희생자들 추모와 애도 잇달아..

2년이라는 시간 지났지만 큰 변화없는 안타까운 실상..리본.jpg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팔찌, 리본고리, 스티커 등 (이미지 촬영=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이강민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16년 4월 16일은 세월호 참사(희생자) 2주기가 되는 날이다.

 이에따라 광화문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선 세월호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추모하자는 의미에서 많은 행사가 열리고 있다.


 2014년 4월 16일 수학여행을 떠나는 단원고 학생들의 부푼 설렘을 안고

 제주도로 출항한 세월호는 오전 9시 갑자기 바다 한 가운데 멈추었다.

 그 후 배는 선수만 남긴 채  바다 속으로 모습을 감추었다.

 304명의 목숨이 사라지는 데 걸린 시간은 불과 두 시간 남짓이었다.

 이 후 구조작업이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9명의 육신이 가족 품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참사 직후 유가족과 국민들의 요구는 세월호 침몰에 대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였다.

 박근혜 대통령 역시 유가족 앞에서 이를 약속하였다.

 이후 2년이 지났고 그 사이 많은 일이 일어났지만 큰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유가족들이 요구한 특별법과 시행령은 여전히 엉망이고 애써서 만든 특별조사위원회 역시

 전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이 약속한 사고 진상규명은 시작조차 하지 못했고 세월호의 진실은 아직까지

 바다 깊이 묻혀있다. 이 과정에서 '세월호 침몰 사고'는 '세월호 참사'로 바뀌었다.

 배 안에 있는 학생들에겐 가만히 있으라 라는 명령을 남기고 가장 먼저 탈출한

 선장과 선원에 대한 처벌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통령을 비롯한 국회의원들도 유가족들과의 공감을 전혀 이끌어내지 못했으며

 유가족들과 이를 지켜보는 국민들의 속마음만 까맣게 타들어 가고 있을 뿐이었다.


 박근혜 대통령은 국민 안전을 국정 기본 원칙으로 제시해왔다.

 그 원칙이 정말 원칙다우려면 예산과 인력으로 안전행정을 뒷받침 해야한다.

 그래야 문자 그대로 명과 실이 부합하는 즉 '명실상부한 지침'이 된다.

 그런데 말의 원칙은 실행의 무능으로 나타났다. 안전예산은 되레 줄어들었고

 안전관련 자리는 기피 부서가 되고있다.


 세월호 참사 이후 대응에서 보았 듯 박근혜 대통령의 스타일의 안전은

 '종이호랑이'라는 말처럼 허상에 불과했던 셈이다.

 그동안 박근혜 대통령이 고수해오던 원칙 이미지는 세월호 참사로 인해

 '안전행정' 이 무너지면서 무능한 행정가라는 비판을 듣기도 했다


 세월호 참사에 대해 야당(당시 새정치민주연합)의 대응 역시 한없이 무기력했다.

 그들이 외친 "정부의 초기 대응이 부실했다", "안전 행정이 사실상 부재했다" 라는

 점은 야당이 지적하지 않아도 생방송을 통해 충분히 확인되는 사실이었다.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을 반복해서 외치는 것보다 수권 정당답게 구체적인 사실을 찾아내

 문제의 본질을 정확히 파악하여 유가족들과 국민들의 공감을 일으켜야 했다.


 그렇게 유가족들과 국민과의 공감을 일으켜 신뢰를 확장했어야 했지만 그렇게 하지 못했다.

 실제로 세월호 참사의 관재 측면이 드러난 것은 희생자와 실종자 유가족들의 항의, 희생된

 단원고 학생들의 휴대전화 동영상이었다.

 이렇게 여당과 야당의 싸움이 계속될 동안 한순간 가족을 잃은 유가족들과 이를

 지켜보는 국민들의 슬픔만 더욱 커져갔다.


 세월호 참사는 다시 생각해도 정말 안타까운 사고이다. 많은 새싹들이 하루 아침에 물 속으로

 사라져야 했던 다시는 일어나선 안되는 일이다. 위에서 계속 언급했 듯 물론

 해양사고였지만 기업의 탐욕, 행정의 무능 등으로 사고의 규모가 점차 확장되어 갔다는 점도

 결코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1년 후에도 10년 후에도 우리는 분명 세월호를 만나게 될 것이다.

 혹시라도 작은 기적이 일어나 유가족들의 요구가 이루어진다 해도

 세월호는 우리 곁을 떠나지 않을 것이다.

 그때 우리가 다시 만날때에는 많은 대표자들과 기관들의 과오가 재발하지 않도록,

 다시는 우리 아이들이 다치고 상처 받지 않도록 '노란색 리본'이 아닌 '노란색 안전띠'를

 매어줄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


 바쁜 일상과, 거짓된 욕망, 섣부른 패배의식으로 세월호를 덮어버리려 한다면

 세월호에서 시작된 비명은 결코 우리 곁을 떠나지 않을 것이다.

 304명의 안타까운 목숨과 수천명의 유가족과 시민들이 흘린 눈물이

 사리지지 않도록 우리는 세월호를 영원의 시간에 새겨야 한다.


 꼭 잊지말고. 그날의 사고를 기억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 3기 이강민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현승기자 2016.04.24 19:47
    세월호를 추모하는건 개인의 자유지만 정치화는 제발 안됐으면합니다
  • ?
    3기김윤정기자 2016.05.22 11:42
    앞으로 다시는 이런 사고가 일어나지 않길 바랍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038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887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2290
시민의 손으로 세워진 소녀상이 설치되기까지 18 file 2016.02.14 3기신수빈기자 19389
간호사들의 악습, '태움 문화' 1 file 2018.03.02 김고은 19405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410
미리 보는 2022 대선, 차기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조사분석! 2020.11.25 김성규 19414
4차 산업혁명···기계들이 꿰차버릴 일자리? 4 file 2017.02.03 박혜신 19437
대책위 보성-서울 도보순례, 광주지역에서도 백남기 농민 쾌유 빌어 13 file 2016.02.17 박하연 19455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19468
흉물속의 리그 file 2016.10.23 한종현 19522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19524
'박근혜는 하야하라!'전국에서 타오르는 열기, 광주 촛불 집회 2 file 2016.11.12 박하연 19550
지방 인프라 부족 현상, 이대로 보기만 할 수 없다 3 file 2019.02.18 김지현 19598
이례적인 공약...문재인 동물을 말하다 1 file 2017.02.24 정무의 19606
서울대, 잇단 성추문에 몸살 24 file 2017.01.12 이승욱 19618
장애인 복지와 인권, 그 이상과 현실 4 file 2017.02.01 최서영 19660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19678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19682
글로벌 여성 인권대사 2기, 그 화려한 막을 내리다 15 file 2016.02.10 이유수 19691
우리나라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해외 사례로는 무엇이 있을까? 2 file 2019.04.24 최민영 19730
정부세종청사 통근버스, 줄줄 새는 혈세 7 file 2016.02.24 정현호 19734
청소년들의 흡연 file 2014.07.30 1645 19758
등교시 단정한 교복.. 저희에겐 너무 답답해요 4 file 2016.03.24 박나영 19782
주인 없는 길고양이들.. 밥은 언제 먹나요? 5 file 2016.03.24 김보현 19830
교복이 마음에 드나요? 10 file 2016.04.03 유승균 19839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19873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19882
트럼프 보호무역주의, 어떤 영향이 있을까? 2017.02.24 김태욱 19885
커피 값으로 스마트폰을 사다?! 11 file 2016.02.20 목예랑 19895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19900
업사이클링?, 업사이클링 인지 정도에 대해... file 2019.06.17 김가희 19903
언어는 칼보다 강하다 2014.07.27 박사랑 19907
대만의 장세스, 그는 과연 영웅인가 살인자인가 file 2017.02.22 이서진 19911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19978
포항공항- 주민들과의 오랜 갈등 빚어…… 2 file 2016.08.21 권주홍 19997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19999
선거구 획정안, 국회는 어디로 사라졌나? 13 file 2016.02.07 진형준 20002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022
서울대 치대, 전원등록포기? 4 2016.03.08 임은석 20097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20100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104
다시 보는 선거 공약... 20대 국회 과연? 1 file 2016.04.24 이예린 20118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223
숨겨주세요, 여성용 자판기 2 file 2016.08.25 김선아 20224
권리는 없고 의무만 가득한 ‘19금’선거권 4 file 2017.02.05 최은희 20247
동탄 메타폴리스 화재, 인명 피해까지 발생해 3 file 2017.02.06 이채린 20257
공익과 사익의 충돌_이해관계충돌방지법 file 2020.05.04 임효주 20263
[오피니언] 모든 병의 근원! 흡연!!! 2014.07.27 전민호 20265
버스 정류장이 금연 구역이라고요? 2 file 2018.08.10 남지윤 20267
혼밥을 아시나요? 16 file 2017.02.19 민소은 202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